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5건 페이지 96/123
-
KIEP, '일대일로(一帶一路)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가져올 한중 협력의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제 13차 KIEP-AMR 세미나 개최연구원은 8월 1일(토)부터 5일(수)까지 중국 네이멍구 후허하오터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가져올 한중 협력의 새로운 기회를 주제로 하여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경제연구원(AMR)과 공동으로 제13차 KIEP-AMR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김준동 KIEP 부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세미나는 총 3개 세션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임호열 동북아경제실장과 양평섭 북경사무소장이 각각 세션 1과 세션 3의 사회를 진행하였다. 이승신 중국팀장이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가져올 한중 협력의 새로운 기회에 대한 주제 발표를 하였고,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의 한중 간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전략적 협력 발표, 이재영 구미·유라시아실장의 한국과 몽골의 경제협력: 성과와 전략적 과제 발표를 비롯해, 정지현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장, 제성훈 러시아·유라시아팀장 등 한중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 일시: 2015년 8월 2일(일)- 장소: 중국 네이멍구 후허하오터- 주제: 일대일로(一帶一路)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가져올 한중 협력의 새로운 기회-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거시경제연구원(AMR)- 문의: 중국팀 김영선 연구원 (Tel: 044-414-1272, Email: youngsun@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8/13 조회수 1,769
-
KEEP 프로젝트 온라인 탐험단 1기 멘토링 간담회 개최연구원은 8월 8일(토) 마이크임팩트 스튜디오에서 KEEP 프로젝트 온라인 탐험단 1기 멘토링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맞춤형 지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인 KEEP 프로젝트의 온라인 탐험단 참가자들이 전 세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탐구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최근 지역 이슈 등을 듣는 멘토링으로 진행되었다. 김상현 성균관대학교 교수, 권경덕 KDI 전문위원, 김홍원 KIEP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전문연구원이 멘토로 참석하였으며, 김상현 교수는 Research Paper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권경덕 전문위원은 글로벌 인재되기 - 베트남 이야기, 김홍원 전문연구원은 중국 지역경제 연구경험과 주요 연구 내용에 대해 각각 강연을 하였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8/13 조회수 1,334
-
KIEP, 14th Annual U.S.-Korea Opinion Leaders Seminar (OLS)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7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워싱턴에 있는 KEI Conference Facility에서 14th Annual U.S.-Korea Opinion Leaders Seminar(OLS)를 개최하였다. 세미나에는 한국과 미국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참석하여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하였다.현오석 전 경제부총리는 7월 13일 만찬사를 통해,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는 데 있어 미국의 역할과 한미 간 협력의 중요성, 그리고 한국 경제의 현 상황과 향후 세계 경제 전망 등에 대해 연설을 하였다. * 만찬사 전문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31 조회수 1,455
-
KIEP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멕시코 ITESM의 Adolfo Laborde 교수)연구원은 7월 24일(금) 연구원 201호 회의실에서 멕시코 Instituto Technologico y de Estudios Superiores de Monterrey (ITESM)의 Adolfo Laborde 교수를 초청하여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Free Trade between Korea and Mexico: Obstacles and Advantages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Laborde 교수는 한국과 멕시코 간의 경제협력 현황과 FTA 가능성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Laborde 교수는 멕시코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양국 간 FTA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지난 12년 간 양국 간 교역은 상당히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양국이 FTA의 순이익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않는 한 FTA 체결은 불확실하므로, 멕시코-일본 간 제휴 협정(Mexico-Japan Economic Association Agreement)과 같은 형식으로 FTA를 준비하거나 양국 기업인들 간의 상호 연결을 강화하는 것, 그리고 자동차 산업 부문에서 협력의 경험이 있는 지역들에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 등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세미나에는 미주팀 권기수 팀장, 김진오 전문연구원, 박미숙 전문연구원, 이시은 연구원, 권혁주 연구원 등 연구진이 참석하여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제: Free Trade between Korea and Mexico: Obstacles and Advantages- 일시: 2015년 7월 24일(금), 10:30~11:30- 장소: KIEP 2층 중회의실(201호)- 문의: 대외협력지원단 연구협력팀 박나연 연구원 (Tel: 044-414-1245, email: nypark@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27 조회수 1,537
-
이일형 원장, '미국과 중국의 경제협력 제2라운드' 제목으로 헤럴드경제 기고우리 연구원 이일형 원장의 기고문이 미국과 중국의 경제협력 제2라운드 제목으로 7월 23일 헤럴드경제 26면에 게재되었다. 이일형 원장은 지난 20년 간 세계화를 이끌어내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던 미국과 중국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준비중인 제2라운드 경제협력에 대해 전반적인 설명을 하고, 우리나라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양국의 전략에 적극 동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즉, 선진국에서 주도하는 TPP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경제구조 개혁을 이룩하고,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 등에 우리의 전략을 결합시켜 해외 건설 수주나 글로벌 가치사슬을 확대하는 등 양쪽의 전략을 먼저 도입함으로써 혜택을 얻어야 된다고 보았다. 전체 기고문은 헤럴드경제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23 조회수 1,600
-
김흥종 선임연구위원, '극적 회생 가능성 높지 않은 그리스' 제목으로 조선일보 기고우리 연구원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의 기고문이 극적 回生 가능성 높지 않은 그리스 제목으로 7월 23일 조선일보 A35면에 게재되었다.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기고에서 채권단의 3차 구제 금융안이 당장 그리스 정부의 신용경색을 풀고 그리스 정부가 지속 가능한 정부 재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로 인한 부채 누적을 해결하고 다시 유로권의 일원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구조개혁을 통해 독일 등 선진 경제권의 경쟁 압력을 이겨낼 수 있는 경제 체력을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그리스가 채권단의 더욱 가혹한 개혁안을 통해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몇 년 뒤 다시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상황이 반복 될지도 모른다고 강조했다. 전체 기고문은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기고문 바로가기 * 김흥종 구미·유라시아실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23 조회수 1,734
-
이일형 원장, ‘중소기업 활성화로 저성장 탈출해야’ 제목으로 이데일리 기고우리 연구원 이일형 원장의 기고문이 ‘중소기업 활성화로 저성장 탈출해야’ 제목으로 7월 16일 이데일리에 게재되었다. 이일형 원장은 기고에서 대기업들이 효율적인 자본투자와 상대적으로 적은 노동력을 고용하하면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해온 반면 인구증가에 따른 노동력은 중소기업으로 유입됐고, 중소기업의 상대적으로 저조한 기술혁신에 따라 대기업과의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는 구조적 요인이 한국 경제성장률의 부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 원장은 최근 내수와 수출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 수출이 한국경제에 주는 혜택이 줄었고, 중소기업들의 생산성이 낮아 국제경쟁력에서 밀리다보니 수출 비율이 급격히 낮아졌다고 보았다. 또, 규모의 경제를 누리는 대기업이 내수시장으로 들어오면서 중소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졌고, 원화가치 하락으로 수입을 통해 자본재와 중간재를 내수시장에 공급해온 중소기업 및 수입업자들이 타격을 받은 점들을 지적하였다. 이 원장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경쟁구조가 확립된 시장 틀 안에서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향상하고 서비스 진입장벽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전체 기고문은 이데일리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17 조회수 1,649
-
KIEP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이집트 Helwan University의 Nashwa M. Mohamed 박사)연구원은 7월 16일(목) 연구원 201호 회의실에서 이집트 Helwan University의 Nashwa M. Mohamed 박사를 초청하여 방문학자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Are China’s Exports Crowding Out or Coexisting with Korea’s Exports in the Arab Region?’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Mohamed 박사는 아랍 지역에서 중국과 한국 간의 수출 경쟁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아랍지역에서의 수요 결정 요인, 이 지역에 대한 중국과 한국 수출 구성 요소의 유사성, 중국의 수출 비중이 한국을 위협하는지, 그리고 아랍 지역에서 한국의 수출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Mohamed 박사는 연구 결과 아랍 지역에서 중국과 한국의 수출은 서로 경쟁적이기보다는 공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다만, 아랍 지역과 한국 간 무역량이 각각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여전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FTA나 한국의 대 아랍 투자를 통해 경제협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세미나에는 아중동팀 이권형 팀장, 손성현 연구원, 박재은 연구원, 장종문 연구원 등 연구진이 참석하여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 주제: Are China’s Exports Crowding Out or Coexisting with Korea’s Exports in the Arab Region?- 일시: 2015년 7월 16일(목), 10:30~11:30- 장소: KIEP 2층 중회의실(201호) - 문의: 대외협력지원단 연구협력팀 박나연 연구원 (Tel: 044-414-1245, email: nypark@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16 조회수 1,442
-
윤덕룡 선임연구위원, '그리스, 쌍둥이 적자가 핵심문제' 제목으로 조선비즈 기고우리 연구원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의 기고문이 7월 14일 조선비즈에 그리스, 쌍둥이 적자가 핵심문제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윤덕룡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그리스 사태의 핵심은 쌍둥이 적자, 즉 경상수지가 지속적으로 적자를 보이고 재정수지 역시 오랜 기간 적자를 지속해온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그리스와 유럽중앙은행 및 다른 EU 국가들과의 협상 이슈는 주로 과거 발생한 부채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그리고 향후 추가적인 부채의 발생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의 2가지라고 설명하고, 다양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결국 경제적으로 단순화시켜보면 정부와 국민들이 수입에 비해 과다한 지출을 지속해와서 발생한 쌍둥이 적자가 핵심문제라고 강조하였다.전체 기고문은 조선비즈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고문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14 조회수 1,892
-
아세안 및 한중일 거시경제조사기구(AMRO) 대표단 연구원 방문7월 7일 화요일, 아세안 및 한·중·일 거시경제조사기구(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AMRO) 대표단이 연구원을 방문하였다. 수미오 이시카와(Sumio Ishikawa) 박사(Principal Economist), 아키스 후타라바라트(Akhis Hutabarat) 박사(Economist), 김현중 박사(Economist)로 이루어진 AMRO 방문단은 이일형 원장과 만남을 가진 이후, 정성춘 국제거시금융실 실장을 비롯한 KIEP 연구진들과 만나 우리 연구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듣고, 2015년 2분기 경제 상황과 2016년 경제 전망, 그리고 경제 성장에 있어 하방 리스크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07/14 조회수 1,51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