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5건 페이지 91/123
-
KIEP, 한미언론교류단 해외 언론 간담회 진행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월 11일(수) 동-서센터(EAST-WEST Center) 주관으로 한미언론교류단과 해외언론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해외 언론 간담회는 서진교 무역통상실장의 환영사와 함께 KIEP을 소개하고, TPP 체결과 관련한 경제전망에 대한 주제가 논의되었다.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 이루어진 이번 해외언론 간담회는 한국과 미국의 정치·안보·경제·사회·문화 등의 이슈를 논의하고 한·미 교류 증진 확대를 위해 개최되었다. 이번 간담회에는 CNN, Al Jazeera America, The Huffington Post 등 미국의 유수 매체들이 참석하였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16 조회수 1,029
-
KIEP, ‘2015 통상산업포럼 국제컨퍼런스’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월 10일(화) 서울 나인트리컨벤션에서 ‘2015 통상산업포럼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했다. KIEP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A New Paradigm for the World Trading System’이라는 주제로 거대지역경제통합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개방향, 그리고 그것이 우리나라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일형 원장의 환영사와 함께 본 세미나는 ‘Mega-FTAs와 국제 무역 체제의 변화’, ‘환태평양동반자협정 (TPP): 한국의 현 위치와 대응방안’, 그리고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향후 전망과 한국에의 시사점’ 3가지 주제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이 토론자로 참석했으며 마지막 세션은 이일형 원장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 중국, 일본 등 각 나라의 주요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했다. -주제: A New Paradigm for the World Trading System-일시: 2015년 11월 10일(화) 10:00~17:50-장소: 나인트리컨벤션 광화문, 그랜드볼룸 3층-담당자: 무역통상실 다자통상팀 김종덕 팀장(Tel: 044-414-1181) 무역통상실 지역무역협정팀 금혜윤 전문연구원(Tel: 044-414-1205)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16 조회수 1,036
-
KIEP, ‘북한 경제개발 지원과 해외 통일재원 조달 방안’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월 12일(목)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북한 경제개발 지원과 해외 통일재원 조달 방안’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국내 저명 연구진들이 북한의 금융개혁 및 특구 개발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해외재원 조달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일형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세미나는 황부기 통일부 차관, 조명철 새누리당 국회의원, 홍익표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의 축사가 이어졌다. 특히 이일형 원장은 개회사에서 “북한의 경제개발 지원과 조달 방안과 관련해서 국제적인 협력이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또한, 한반도를 둘러싼 러시아, 중국, 일본, 미국 등의 4강의 학자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통일이 모든 국가에 큰 혜택이 올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으며,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과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세미나는 임호열 동북아경제실장이 좌장을 맡았고, 총 3개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중국•베트남 금융개혁이 북한에 주는 함의’에 대해 김영찬 초청연구위원이 첫 번째 발표를 진행했으며,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의 ‘북한의 경제특구•개발구 지원 방안’, 장형수 한양대학교 교수의 ‘남북통일과정에서의 해외재원조달: 주요 이슈와 정책방안’이 발표되었다. 또한, 진승호 기획재정부 대외경제협력관,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상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토론에 참석하였다. - 주제: 북한 경제개발 지원과 해외 통일재원 조달방안- 일시: 2015년 11월 12일(목) 9:00-14:00- 장소: 서울웨스틴조선호텔 오키드룸-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일국제협력팀 최유정 연구원(TEL: 044-414-1187) [사진 1] 이일형 원장 개회사 [사진 2] 황부기 통일부 차관 축사 [사진 3] ‘북한 경제개발 지원과 해외통일 재원 조달방안’ 세미나 발표자 및 토론자 단체사진(왼쪽부터) 장형수 교수(한양대학교), 양문수 교수(북한대학원대학교), 김영찬 초청연구위원, 임호열 동북아경제실장, 진승호 대외경제협력관(기획재정부), 임강택 선임연구위원( 통일연구원), 이상제 선임연구위원(한국금융연구원). [사진 4] 임호열 동북아경제실장 토론 진행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12 조회수 2,278
-
KIEP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 (미시건 대학교 Alan Deardorff 교수)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1월 11일(수) 오후 2시부터 KIEP 3층 회의실에서 미국 미시건 대학교의 Alan Deardorff 교수를 초청하여 Rue the ROOs: Rules of Origin and the Gains (or Losses) from Trade Agreements를 주제로 KIEP 전문가 초청세미나(KIEP Leading Expert Seminar, LES)를 개최하였다. Deardorff 교수는 원산지 규정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원산지 규정의 특성화된 유형 구분과 FTA에서 원산지 규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우리가 겪게 될 최상의 상황을 3가지로 정의했다. Deardorff 교수가 정의내린 3가지는 △다자무역체제, △지속적인 FTA체결로 더 많이 누적되는 원산지 규정, △원산지나 완전한 가치 기준이 아닌 각 부분에 따른 FTA 관세 내 허용이다.Deardorff 교수는 강의를 마친 후 김종덕 다자통상팀장, 최낙균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 황운중 지역무역협정팀 부연구위원, 그리고 조문희 다자통상팀 부연구위원 등 KIEP 연구진들과 원산지 규정와 앞으로 우리의 역할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주제: Rue the ROOs: Rules of Origin and the Gains (or Losses) from Trade Agreements -날짜: 2015년 11월 11일(수) -장소: KIEP 회의실(333호) -문의: 다자통상팀 김도희 연구원(044-414-1031)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12 조회수 1,270
-
‘Vector Autoregressive Model - Applications’ 관련 전문가간담회11월 6일(금) 원내 소회의실 225호에서 충북대학교 경제학과 문성만 교수의 ‘Vector Autoregressive Model - Applications 주제로 간담회가 열렸다. 문성만 교수는 Vector Autoregressive(VAR) 모델의 기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VAR 모델의 역할과 적용법에 대해 강의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강유덕 유럽팀장, 이웅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을 비롯한 KIEP 전문가들이 참석했다.-주제: Vector Autoregressive Model - Applications-일시: 2015년 11월 6일(금) 10:00-장소: KIEP 소회의실(225호)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06 조회수 1,194
-
강태수 선임연구위원, ‘’자본 수출‘이 답이다’ 제목으로 서울신문 기고강태수 선임연구위원의 기고문이 ‘‘자본 수출’이 답이다’ 제목으로 11월 2일 서울신문 30면에 게재되었다. 강태수 선임연구위원은 필요 이상의 자본유입은 경제운용에 큰 짐이라며, 미국 금리인상을 계기로 누적된 유입규모의 일부를 내보내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이에 강태수 선임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이 자본의 급격한 유출은 억제하면서, 국내 금융시장을 확실히 차별화하고 시장이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안정적인 디레버리징 관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강태수 선임연구위원은 더 이상 자본유출 공포에 시달릴 수는 없다며 경상수지 흑자로 들어온 외화가 국내에 머물기보다 해외로 나가 국부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고문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1/02 조회수 1,466
-
이일형 원장, ‘한국 수출의 새로운 지평2’ 제목으로 헤럴드경제 기고이일형 원장의 기고문이 ‘한국 수출의 새로운 지평2’ 제목으로 10월 29일 헤럴드경제 26면에 게재되었다. 이일형 원장은 올해 총 수출이 작년대비 약 8% 정도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우리의 주요 수출품 중 70% 정도는 작게나마 글로벌시장 점유율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수출의 부가가치 기준으로 볼 때 작년보다 조금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이일형 원장은 우리에게 실질적으로 들어오는 수익인 수출의 부가가치가 총 수출액보다 중요하다며 수출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질서 있는 시장경제’ 도입 통해 비효율적 시장구조와 규제를 과감히 제거하는 노력과 해외 기업이 투자를 꺼리는 이유인 노동시장에 대한 개혁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전체 기고문은 헤럴드경제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기고문 바로가기*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0/29 조회수 1,561
-
KIEP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미국 브루킹스 연구원 David Dollar박사)10월 29일(목) 미국 브루킹스 연구원의 데이빗 달러(David Dollar)박사가 연구원 전문가 초청세미나에서 ‘Chinas Financial Market: Risks and Prospects의 주제를 발표했다. 달러 박사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파트에서 중국이 경제위기 이후 과다한 투자에 이어 현재는 낮은 산업발전을 지향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중국 경제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 서비스, 교육, 금융 부문 등 중국 경제 구조 개혁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중국 경제의 안정화가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하며 세미나를 마무리했다. 본 강연에는 이승신 중국팀장, 이장규 중국팀 선임연구위원, 신꽃비 중국팀 부연구위원, 한민수 국제거시팀 부연구위원 등 KIEP 전문가들이 참석해 강연을 듣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주제: China’s Financial Market: Risks and Prospects-일시: 2015년 10월 29일(목), 9:30~11:00-장소: KIEP 201호 회의실-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협력정책팀 김민제 연구조원 (minjekim@kiep.go.kr, 044-414-1137)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0/29 조회수 1,986
-
OECD측 인사 연구원 방문10월 28일(수) OCED측 인사 김상겸 APEC 선임 상담전문가, Hildegunn Kyvik Nordas 선임 무역정책 분석가, 그리고 Dorothee Rouzet 무역정책 분석가 3명이 연구원을 방문하여 OECD STRI(서비스무역제한지수) 소개와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에서의 한국의 현황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번 방문은 OECD 업무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도 깊은 발표와 STRI 프로젝트 관심분야 선정, 그리고 앞으로 한국의 서비스정책 개혁과 분석 지원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OECD측 인사 방원에는 서진교 무역통상실장,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 김종덕 다자통상팀장을 비롯하여 많은 KIEP 연구진들이 회의에 참석해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주제: OCED KOREA Cooperation on Services-날짜: 2015년 10월 28일(수) 오후 2시-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회의실(333호)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0/29 조회수 1,242
-
러시아CIS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0월 28일 본원 3층 중회의실에서 Gleb A.Ivashentsov 전 주한러시아 대사를 초청하여 The Ukrainian challenge for Russia주제로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Gleb A.Ivashentsov대사는 우크라이나 위기와 이에 대한 러시아의 전반적인 견해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위기의 중요 교훈과 이슈를 살펴보며 앞으로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관계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Gleb A.Ivashentsov대사의 강의가 끝난 후, 이재영 구미·유라시아실장과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민지영 러시아·유라시아팀 전문연구원 등 KIEP 전문가들과 질의응답 세션이 진행됐다. -주제: The Ukrainian challenge for Russia-일시: 2015년 10월 28일(수), 10:30-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회의실(333호)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5/10/29 조회수 1,309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