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81/123
-
강유덕 유럽팀장, ‘한·EU FTA 발효 5주년, 소비자후생 제고방안’ 세미나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강유덕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장이 7월 5일(화)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된 ‘한·EU FTA 발효 5주년, 소비자후생 제고방안’ 세미나에 참석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 한국소비자원은 개원 29주년을 맞아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한·EU FTA 발효 5주년, 소비자후생 제고방안에 대해 학계 및 관련 유관기관의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하고자 본 세미나를 마련하였다. 강유덕 유럽팀장은 종합토론에서 한·EU FTA의 소비자후생 효과 및 주요 수입농축산물 분야 수입변화와 시사점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 사진제공: 한국소비자원(홈페이지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5 조회수 2,009
-
현정택 원장, ‘브렉시트 그 이후, 영국 어디로…’ 주제로 SBS CNBC 출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SBS CNBC에 출연하여 ‘브렉시트 그 이후, 영국 어디로…’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7월 5일(화)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IMF가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 GDP가 2018년까지 5.2%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한 가운데 브렉시트가 영국 및 세계경제에 초래할 후폭풍에 대해 다루고 있다. 현정택 원장은 브렉시트 결정을 이제 와서 뒤집기에는 절차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이번 일로 영국경제의 타격을 예상했다. 파운드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국제통화로서의 입지가 흔들리고 신용평가마저 강등될 경우 영국의 주요산업인 금융업 또한 경기가 나빠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영국이 앞으로 복지문제 등으로 경제력이 감소하는 부분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라고도 언급했다. 국제사회의 공조 움직임에 대해서는 일단 영국과 EU의 줄다리기 싸움이 끝날 때까지 타 국가들은 지켜볼 양상이라고 전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SBS CNBC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5 조회수 2,884
-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브렉시트(Brexit): 혼란과 기회’ 특별 세미나 발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이 7월 5일(화) ‘브렉시트(Brexit): 혼란과 기회’를 주제로 서울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특별 세미나에 참석하여 발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브렉시트의 현황과 이에 따른 정치·경제 등 제반 분야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영국의 EU 탈퇴는 여론을 모르던 유럽 기득권 중도 정당의 무능과 태만이 드러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당분간 유럽 선거에서 기존 정당의 위기 및 반성이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브렉시트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단기적 금융시장의 여파보다 중장기적 실물 부문에서의 영향을 전망했다. 본 세미나에는 이태호 외교부 경제조정관, 최진우 한양대학교 교수, 강선구 LG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전혜원 국립외교원 유럽아프리카연구부 교수 등 경제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 뉴시스, SBS, 코리아포스트*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5 조회수 3,349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에너지연구소 연구진 방원7월 4일(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에너지연구소와 지속가능발전연구중심 소속 4명의 연구진이 본원을 방문해 다양한 이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본 미팅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에너지연구소와 KIEP 간의 협력 및 교류 강화의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번 기회를 통해 양 기관에서 추진 중인 연구 과제를 소개하고 향후 협력 기회 및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방문에는 한원커 NDRC 에너지연구소 소장을 비롯하여 순레이훙 NDRC 에너지연구소 외사처 처장, 슝샤오핑 NDRC 지속가능발전연구중심 부연구원 등이 동석하였다. 또한, 원내에서는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과 이승신 중국팀장, 이현태 중국팀 부연구위원, 노수연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부연구위원 등의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행사명: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에너지연구소 연구진의 본원 방문 간담회- 일시: 2016년 7월 4일(월), 10:00~12:0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호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4 조회수 2,841
-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영국 EU 탈퇴, 그 이후’ 주제로 SBS CNBC, 채널A 출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이 7월 4일(월) SBS CNBC와 채널A에 출연하여 ‘영국 EU 탈퇴, 그 이후’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방영되었다. SBS C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영국의 EU 탈퇴 결정 원인에 초점을 맞춰 브렉시트를 초래한 요인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영국이 과거 대영제국에 대한 향수 등을 토대로 국가 정체성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식이 만연해 있었다며 여기에 이민, 난민, 재정, 복지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맞물려 국민들의 불만이 쌓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김흥종 선임연구위원은 직접 영국을 방문하여 느낀 현지 분위기를 알려주었다. 런던 내에서는 브렉시트 결정 이후 EU 탈퇴를 반대하는 시위로 도시 전반이 격앙되어 있지만, 런던 외의 지역은 대체적으로 조용히 축배를 들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렇게 영국 내에서 지역별로 브렉시트에 대한 의견차이가 나는 이유는 전통적으로 영국의 중하층이 가진 세계화에 대한 박탈감이 이번 결과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SBS CNBC 및 채널A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1(SBS CNBC), 바로가기2(채널A)*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4 조회수 3,359
-
KIEP, ‘제1회 동아시아경제파트너십 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3일(일) 일본 동경 국제연합(UN)대학에서 ‘제1회 동아시아경제파트너십 포럼’을 개최하였다. 본 포럼은 한·중·일 3국 연구기관의 연구교류 차원을 뛰어 넘은 심도 있는 경제협력방안 모색과 정책제언 도출을 위해 KIEP가 일본 일중산학관교류기구(JCBAG) 및 중국 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CAITEC)과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중·일 중심의 동북아 경제권이 앞으로 NAFTA와 EU 경제권을 뛰어넘어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며 RCEP 등 아시아 지역의 경제통합을 위해 한·중·일 FTA 추진을 강조했다. 총 3세션으로 구성된 본 행사에서 이창재 KIEP 초청연구위원은 제1세션에서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철학 및 중요성’을 주제로 발표를 하였다. 또한, 정철 아시아태평양본부장은 제2세션의 토론을 맡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실현 및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 제3세션에서는 최보영 협력정책팀장이 발표자로 나서 ‘한·중·일 FTA와 3자 협력의 촉진’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 주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체결과 한·중·일 3자 협력을 중심으로- 일시: 2016년 7월 3일(일), 09:00~20:00- 장소: 일본 동경 국제연합(UN)대학-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일중산학관교류기구(JCBAG), 국제무역경제합작연구원(CAITEC)- 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협력정책팀 이서영 연구원(☎044-414-1010)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3 조회수 2,255
-
KIEP, ‘미국서부경제학회 제91차 국제학술발표대회(WEAI 91th Annual Conference)’ 공동주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2일(토, 현지시간) 미국 포틀랜드에서 개최된 ‘미국서부경제학회 제91차 국제학술발표대회(WEAI 91th Annual Conference)’에서 한국국제금융학회(Korea International Finance Association, KIFA), 아시아금융학회(Asia Finance Society, AFS)와 함께 「Asian Economy Session」을 주관하였다. 본 회의는 양적완화 및 미국 통화정책이 미치는 영향, 중국 경기둔화의 전망과 영향 등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총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Asian Economy Session」에서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은 세션1에 토론자로 참여했다. 정성춘 국제거시금융본부장은 세션2의 좌장을 맡아 한국 및 아시아 금융관련 이슈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고, 김경훈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은 동세션에서 ‘환율 변동성과 자본시장 개방 그리고 경제 성장(Exchange Rate Flexibility, Capital Market Openness and Economic Growth)’에 대한 발표를 이어갔다. - 일시: 2016년 7월 2일(토, 현지시간)- 장소: Hilton Portland and Executive Tower, Portland, Oregon, U.S.A-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국제금융학회(Korea International Finance Association, KIFA), 아시아금융학회(Asia Finance Society, AFS)- 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금융팀 강은정 전문연구원(ejkang@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02 조회수 1,438
-
귄기수 미주팀장, ‘2016 한·중남미 함께 가는 미래 포럼’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 권기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장은 6월 30일(목) 서울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2016 한·중남미 함께 가는 미래 포럼’에 토론자로 참석하였다. 외교부가 주최한 이번 포럼은 한국과 중남미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여 정치·경제·사회 분야에서의 한-중남미의 공통된 관심사에 대한 이해증진과 미래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본 행사에서 권기수 미주팀장은 제2세션의 토론을 맡아 “글로벌 경기침체 극복을 위한 한국과 중남미의 대응 전략 및 협력 방안”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 사진제공: 외교부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16/06/30 조회수 1,597
-
서진교 선임연구위원, ‘브렉시트 충격 최소화해야’ 주제로 KBS 뉴스해설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서진교 무역통상본부 다자통상팀 선임연구위원이 ‘브렉시트 충격 최소화해야’를 주제로 KBS에 출연하여 진행한 뉴스해설이 6월 28일(화) 전파를 탔다. 서진교 선임연구위원은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브렉시트의 배경에 대해 분석했다. 브렉시트는 영국의 내부적 분열과 고립주의라는 정치적 위기에서 촉발된 선택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국의 대책 역시 조급한 정책실험보다는 차분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전체 인터뷰는 KBS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서진교 무역통상본부 다자통상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6/28 조회수 1,500
-
현정택 원장, ‘브렉시트 사태, 한국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은?’ 주제로 KTV 출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KTV <4시&브리핑>에 출연하여 ‘브렉시트 사태, 한국 하반기경제정책 방향은?’을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6월 28일(화) 생방송으로 방영되었다. 인터뷰는 영국의 유로존 탈퇴로 국내외 금융시장이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다루고 있다. 현정택 원장은 브렉시트(Brexit)가 발생한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이로 앞으로의 한국경제, 나아가 세계경제 전망을 분석했다. 브렉시트로 국내 주식시장이 상승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금융부분에서의 불확실성이 있긴 하지만, 한국이나 중국 등 아시아시장은 직적접인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성장률 전망치의 하향조정에 대해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의 평균 성장률이 내려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KTV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16/06/28 조회수 2,193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