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79/123
-
현정택 원장, “갈등해소 위한 ‘사회적 자본’ 쌓아라” 주제로 파이낸셜뉴스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파이낸셜뉴스와 진행한 인터뷰가 “갈등해소 위한 ‘사회적 자본’ 쌓아라”란 제목으로 8월 4일(목) 지면에 게재되었다. 현정택 원장은 인터뷰에서 최근 우리 사회는 성장률 둔화, 소득격차 확대, 청년실업 증가, 고령화 심화라는 각종 갈등요인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할 경우 다시 성장률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한국사회의 신뢰, 공동체적 규범, 제도 확립 등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통한 경제성장이라는 선순환 구조 정립을 제안했다. 우리 경제정책이 나아갈 방향으로는 과잉설비 업종의 생산자원 재분배, 신산업 분야의 육성 및 투자확대, 서비스업종 규제완화 등 전반적인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구조조정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성과연봉제나 임금피크제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파이낸셜뉴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8/04 조회수 2,111
-
정철 무역통상본부장,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자문관 위촉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정철 무역통상본부장이 8월 1일(월)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개최된 ‘통상자문관 위촉장 수여 행사’에 참석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신임 통상자문관으로 위촉되었다. 통상자문관은 통상 분야의 전문성을 정책 추진에 상시 활용할 수 있도록 2014년 8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제도다. 본 행사에는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이 참석하여 위촉장을 수여하였다. * 정철 무역통상본부장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산업통상자원부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8/01 조회수 2,211
-
황운중 지역무역협정팀 부연구위원, ‘Mega FTA 시대의 도래와 해외진출확산을 위한 우리의 대응전략’ 세미나 관련 전문가 간담회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황운중 무역통상본부 지역무역협정팀 부연구위원이 7월 28일(목)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Mega FTA 시대의 도래와 해외진출확산을 위한 우리의 대응전략’ 세미나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토론을 진행하였다. 서울신문이 주최한 본 간담회는 8월 30일(화)에 개최될 ‘Mega FTA’ 세미나의 주제 선정, 발표자와 패널 섭외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구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황운중 지역무역협정팀 부연구위원은 이번 간담회에서 토론 및 자문을 통해 세미나 사전 준비에 도움을 주었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8 조회수 1,492
-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 ‘한·중 난기류…중국 비관세장벽 카드 꺼낼까?’ 주제로 연합뉴스TV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이 연합뉴스TV와 ‘한·중 난기류…중국 비관세장벽 카드 꺼낼까?’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7월 27일(수)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최근 정부의 사드(THAAD) 배치 결정으로 예상되는 한·중 관계의 난기류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은 전화 인터뷰에서 이번 일을 계기로 중국이 FTA 추가협상을 요구하거나 한·중 산업단지 조성에서 비우호적 입장을 견지할 수도 있다고 말하며, WTO 규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중국의 비관세 장벽 및 보호주의 강화를 전망했다. 전체 인터뷰는 연합뉴스TV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7 조회수 2,517
-
현정택 원장, ‘세계경제 판 바뀌는데...구조·산업개혁 인식 너무 안일’ 주제로 서울경제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서울경제와 진행한 인터뷰가 ‘세계경제 판 바뀌는데...구조·산업개혁 인식 너무 안일’이란 제목으로 7월 25일(월) 지면에 게재되었다. 인터뷰에서 현정택 원장은 미국이 신산업 혁명으로 세계 경제 회복을 주도하고 중국과 일본이 구조개혁과 경제체질 개선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구조개혁이나 산업개혁 등에 있어 변화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사드(THAAD) 배치 결정으로 커지고 있는 중국과의 갈등에 대해서는 중국이 우리와의 서비스협정에 미온적으로 나올 여지가 있다는 우려를 내비쳤다. 더불어 미국 대선후보들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우리 입장에선 최대한 빨리 가입할수록 유리하다고 평가하며, 세계 50여개 국가와 맺은 FTA에 중소기업이 올라타게 하여 수출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우리 경제가 기회를 찾는 길임을 피력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서울경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1, 바로가기2*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5 조회수 1,952
-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 ‘한·몽골 전략적 경제협력 확대 강화’ 제목으로 위클리공감 기고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의 기고문이 ‘한·몽골 전략적 경제협력 확대 강화’란 제목으로 7월 25일(월) 위클리공감에 게재되었다.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은 한국과 몽골이 1990년 수교 이후 상호 경제협력을 꾸준히 증가시켜 오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제사회에서 유라시아 대륙이 부상함에 따라 몽골의 전략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몽골은 한국의 자원 및 식량 안보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유라시아 물류·운송 협력의 거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몽골과의 전략적 경제협력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전체 기고문은 위클리공감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5 조회수 1,927
-
KIEP, ‘2016 외국 언론인 초청’ 면담 진행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22일(금) 서울 사무소 3층 주민회의실에서 ‘2016 외국 언론인 초청’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행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언론인 국제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주최한 미국 언론인 대상 학술면담으로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와 공공외교 증진을 목표로 추진되었다. 이번 면담에 참석한 정철 무역통상본부장과 김영귀 무역통상본부 지역무역협정팀장은 한·미 FTA, 석탄에너지, 한국과 북한의 경제관계 등 다양한 이슈를 둘러싼 언론인들의 질문에 답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본 회의에는 Charleston Gazette의 롭 바이어스 뉴스룸 총괄자, Morris Publishing Group의 프랭크 덴톤 언론부문 부사장, East-West Center의 레이먼드 버거트 국장, Los Angeles Times의 미첼 랜스버그 외신/국가부 차장, Washington Post의 드류 하웰 기자, CNN international의 수잔 황 프로듀서, King 5 News의 테드 랜드 기자 등 미국 주요 언론사의 언론인들이 참석했다. - 행사명: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2016 외국 언론인 초청’ 면담 - 일시: 2016년 7월 22일(금) 10:40~12:0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사무소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2 조회수 1,858
-
미국 일리노이주 하원의원 방원7월 20일(수) 로라 파인(Laura Fine) 미국 일리노이주 하원의원 일행이 본원을 방문하여 원내 인사들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외교부의 주정부·주의회 인사 초청사업으로 방한한 로라 파인(Laura Fine) 미국 일리노이주 민주당 하원의원과 배우자 마이클 파인(Michael Fine)은 이날 KIEP 부원장실에서 김준동 부원장과 정철 무역통상본부장을 접견하고 한미관계 및 경제정책 관련 상호간에 이해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 행사명: 미국 일리노이주 하원의원 방원 행사- 일시: 2016년 7월 20일(수) 15:30~16:3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1 조회수 2,762
-
KIEP, 한국은행(BOK), 피터슨연구소(PIIE)와 공동으로 ‘2016 BOK-KIEP-PIIE International Conference’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7월 19일(화)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한국은행(BOK), 피터슨연구소(PIIE)와 공동으로 ‘2016 BOK-KIEP-PIIE International Conference’를 개최하였다.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운영(Monetary Policy Options for Small Open Economies)”을 주제로 진행된 본 회의는 세계경제의 통합으로 글로벌 경제와 주요국 정책 변화가 각국의 경제 및 통화정책 운영여건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에서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가 취할 수 있는 바람직한 통화정책 및 정책조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통화정책의 독립성 확보 및 금융안정망과 통화스와프 점검 등 소규모 개방경제가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은 무조건 확장 정책을 지향하기보다 구조개혁이 뒷받침되어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본 행사는 “Capital Flows and Exchange Rates”와 “Policy Implications for Small Open Economies”를 주제로 총 두 개의 세션과 패널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이중 첫 번째 세션에서 김경훈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은 “Exchange Rate Flexibility, Financial Market Openness, and Economic Growth”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오찬 이후 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강태수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 선임연구위원이 발표자로 나서 “Global Market Volatility and Cross Border Capital Flows: How Should Emerging Markets Respond?”에 대해 설명했다.이번 컨퍼런스에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일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토마스 조단(Thomas Jordan) 스위스 중앙은행 총재를 비롯한 4개국 중앙은행 총재(이스라엘, 네팔, 수리남, 카타르), 아담 포센(Adam Posen) 피터슨연구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 행사명: 2016 BOK-KIEP-PIIE International Conference- 주제: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운영(Monetary Policy Options for Small Open Economies)- 일시: 2016년 7월 19일(화) 09:00~18:00- 장소: 서울 플라자호텔- 주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은행(BOK),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금융팀 강은정 전문연구원(ejkang@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20 조회수 2,438
-
귄기수 미주팀장, ‘중남미 3대 시장이 열린다 한·콜롬비아FTA 발효’ 주제로 KTV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권기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장이 ‘중남미 3대 시장이 열린다 한·콜롬비아FTA 발효’를 주제로 KTV와 진행한 인터뷰가 7월 19일(화) 방영되었다. 인터뷰는 지난 15일 발효된 한국과 콜롬비아의 FTA를 두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수출에 미칠 효과와 양국 간 경제협력에 대해 다루고 있다. 권기수 미주팀장은 콜롬비아에 대해 시장성과 성장성, 안정성을 두루 겸비한 포스트브릭스(post-BRICs)의 대표주자라고 소개했다. 콜롬비아는 시장규모적인 측면에서 중남미 전체 3위이고 경제규모도 남미국가 중 브라질, 아르헨티나 다음으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콜롬비아 경제는 2003년 이후 본격적인 성장세로 접어들면서 4.4-4.5%대 성장률을 상이하고 있는데 그 원인 중 하나가 천연자원, 광물자원 분야의 개발 잠재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이라고도 덧붙였다. 전체 인터뷰는 KTV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07/19 조회수 2,311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