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74/123
-
KIEP, 2016년도 연구자문위원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21일(금) 서울 롯데호텔에서 2017년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KIEP 2016년도 연구자문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본 회의는 최근 대외경제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우리경제의 성장 모멘텀을 회복하기 위한 정책마련과 내년도 연구 과제를 추진하고자 KIEP가 매년 마련하는 행사다. 이날 정부 및 산학연분야의 연구자문위원들이 모여 현재 KIEP의 내부여건과 외부 고객들의 수요를 반영한 각 분야별 사업목표, 연구과제 및 개별 사업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현정택 원장은 연구자문위원들의 고견을 연구과제와 사업에 적극 반영토록 하겠으며 추가적으로 필요한 연구주제에 대해서는 수시연구과제 등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에는 KIEP 전임 원장들을 비롯해 김희정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 천준호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 등 국내 각계의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문위원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행사명: 2016년도 KIEP 연구자문위원회- 일시: 2016년 10월 21일(금), 17:00~19:00- 장소: 서울 롯데호텔-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21 조회수 1,018
-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하드 브렉시트 우려에 파운드 급락, 영국엔 지금 무슨 일이?” 주제로 MBC 라디오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이 10월 19일(수)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와 “하드 브렉시트 우려에 파운드 급락, 영국엔 지금 무슨 일이?”를 주제로 진행한 전화 인터뷰가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최근 영국의 파운드화 가치가 크게 하락한 가운데 브렉시트 사태를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영국 정부의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를 두고 영국법원에서 심리 중인 상황을 전달하며, 영국은 양원제이기 때문에 양쪽 의회에서 승인을 해야 행정부가 움직일 수 있다는 정치적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이르면 이달 말 혹은 다음 달 중으로 나올 법원의 판결에 주목하며, 이에 따라 달라질 영국 내 브렉시트 관련 대응 및 추후상황을 예측했다. 전체 인터뷰는 MBC 라디오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듣기 바로가기 *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9 조회수 1,455
-
KIEP, ‘제5차 KIEP-HASS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19일(수) 중국 후베이성 우한(武漢)시 추텐위에하이호텔에서 ‘제5차 KIEP-HASS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KIEP가 중국 후베이성 사회과학원(HASS)과 매년 공동으로 주최하는 학술세미나이며, 올해는 “도시발전과 한·후베이 협력”을 주제로 개최되었다. 특별히 이번 행사는 주우한총영사관과 후베이성 경제 및 정보화 위원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한 ‘한·후베이성 경제협력포럼’과 함께 추진되었으며, 양국의 학자 및 전문가들이 활발한 논의를 통해 한국과 후베이성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류위탕 HASS 부원장의 개회사와 김준동 KIEP 부원장 및 정재남 주우한총영사관 총영사의 축사로 시작된 본 세미나는 총 4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정지현 동북아경제본부 중국권역별성별팀장은 첫 번째 세션에서 “한국과 후베이성의 혁신역량과 협력 방향”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오찬 이후 이어진 오후 세션의 사회를 맡은 임호열 동북아경제본부장은 “대외무역 신업태와 한·후베이 협력”, “초나라 문화와 한·후베이 협력”을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을 주재했다. 이상훈 동북아경제본부 중국권역별성별 부연구위원은 이중 제3세션의 발표자로 나서 “후베이성 산업구조 변화와 한·후베이 교역 확대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본 행사에는 HASS 소속 바이제, 천리위앤, 양즈쩐 박사 및 조정원 한양대학교 교수, 유정원 계명대학교 교수 등 국내외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주제: 도시발전과 한·후베이 협력- 일시: 2016년 10월 19일(수), 9:30~17:00- 장소: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 추톈위에하이호텔-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중국 후베이성 사회과학원(HASS)- 문의: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박진희 연구원(044-414-1285, jhpak@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9 조회수 1,996
-
김효상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 “미국이 금리 올리면 우리 증시에서 3조원 유출된다” 주제로 MBC 라디오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효상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이 10월 18일(화)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와 “미국이 금리 올리면 우리 증시에서 3조원 유출된다”를 주제로 진행한 전화 인터뷰가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미국의 연말 금리 인상 가능성과 이에 따른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김효상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은 최근 출간된 ‘예상되는 미국 금리인상의 국내 파급효과 및 시사점’ 보고서(오늘의 세계경제)에서 미국이 과거에 금리를 0.25%p 인상했을 때 외국인들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분석했다. 이에 대해 해당 연구결과의 분석방법과 시기, 대상 등을 설명하고 미국이 금리를 올렸을 때 왜 자금 유출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여러 원인들을 짚어보았다. 더불어 장기적으로 미국이 긴축적 재정정책을 펼치게 된다면 우리나라에도 금리인상 압박이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밝혔다. 전체 인터뷰는 MBC 라디오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듣기 바로가기* 김효상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 부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8 조회수 1,624
-
KIEP, ‘제20차 한·중남미 비즈니스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14일(금)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20차 한·중남미 비즈니스포럼(The 20th Korea-Latin America Business Forum)’을 개최하였다. 올해로 20차를 맞이한 이번 포럼은 급변하는 중남미지역의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중남미 진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KIEP와 중남미관련 유관기관들의 주도 하에 마련되었다. 본 포럼에서는 한·중미 FTA 협상 추진, 안정적 경제성장, 쿠바의 시장개방 등에 힘입어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중미·카리브지역과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중점적으로 고민해보았다. 총 4부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권기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장은 세 번째 세션의 사회를 맡아 “한·중남미 통상협력 강화방안”에 대한 발표와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본 행사에는 Javier Sancho 전 코스타리카 외무차관, Philip Paterson 옥스퍼드 애널리티카(Oxford Analytica) 수석연구원, 김종섭 서울대 교수, 신승철 한·중남미협회 상근부회장, 박종근 KOTRA 해외진출종합상담센터장 등 국내외 각계 중남미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 주제: 중남미 비즈니스 환경, 한-중미·카리브 협력강화 방안, 한·중남미 통상협력 강화방안, 업종별·국별 진출방안- 일시: 2016년 10월 14일(금), 9:00~18:00- 장소: 소공동 롯데호텔 3층 사파이어볼룸-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중남미협회, 한국무역협회, 해외건설협회, 삼일회계법인, 한·중남미경제협력센터- 문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 이시은 전문연구원(044-414-1267)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4 조회수 1,634
-
케냐공공정책연구원(KIPPRA) 인사 방원10월 14일(금) 케냐공공정책연구원(KIPPRA) 인사 일행이 본원을 방문하여 원내 전문가들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정성춘 국제거시금융본부장과 정재욱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부연구위원은 이날 KIPPRA 소속 모하메드 무크라스(M. S. Mukras) 이사장, 딕슨 카잉가(Dickson Khainga) 소장 등 5명의 이사진과 간부들을 접견하고, KIEP의 연구 성과 및 연구원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부분을 소개했다. 또한 KIPPRA 인사들은 케냐공공정책연구원에 대해 소개하고 나아가 케냐의 경제현황을 브리핑하며, 향후 KIEP와의 공동 연구 및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 행사명: 케냐 공공정책연구원(KIPPRA) 인사 방원 및 원내 전문가 면담- 일시: 2016년 10월 14일(금), 10:00~11:0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층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4 조회수 1,141
-
KIEP, ‘쿠바 경제개방과 한·쿠바 경제협력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13일(목) 본원 회의실에서 ‘쿠바 경제개방과 한·쿠바 경제협력’을 주제로 쿠바 세계경제연구소(Center for World Economy Studies)의 글라디스 에르난데스(Gladys Hernandez) 선임연구원을 모시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글라디스 에르난데스 선임연구원은 현재의 세계경제 상황에 대해 언급하고, 쿠바가 직면한 경제적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미국의 제재 해제 움직임과 더불어 쿠바의 대내외적 경제정책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활발한 토론이 있었다. 이번 행사에는 이재영 구미·유라시아본부장, 권기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장, 라미령 아시아태평양본부 동남아대양주팀 부연구위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다양한 학술정보를 교류했다. - 일시: 2016년 10월 13일(목), 10:00~11:30- 장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33호 회의실 - 주제: 쿠바 경제개방과 한·쿠바 경제협력- 발표자: 글라디스 에르난데스(Gladys Hernandez) 쿠바 세계경제연구소(Center for World Economy Studies) 선임연구원- 문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 이시은 전문연구원(044-414-1267)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13 조회수 1,801
-
귄기수 미주팀장,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 ‘Young KSPians(YKSP) 1차 지역연구워크숍’ 강연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구미·유라시아본부 권기수 미주팀장과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 이철원 유럽팀 전문연구원이 10월 7일(금) 세종 KDI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진행된 ‘Young KSPians(YKSP) 1차 지역연구워크숍’에 참석하여 강연자로 나섰다. YKSP 지역연구워크숍은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의 일환으로 차세대 국제개발협력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워크숍에는 국제개발협력분야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들이 참여하여 KSP 협력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YKSP 지역별 연구주제를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원에서는 권기수 미주팀장과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박영호 아중동팀 연구위원, 이철원 유럽팀 전문연구원이 각각 강연자로 나서 중남미, CIS, 아프리카, 중동부유럽의 경제 현안 등에 대한 강연을 펼쳤다. * 권기수 구미·유라시아본부 미주팀장 정보 바로가기*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 정보 바로가기* 박영호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 이철원 구미·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전문연구원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KDI 국제개발협력센터(홈페이지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07 조회수 1,835
-
KIEP, ‘통일 후 주변 4강의 對한반도 경제정책 전망’ 국제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0월 7일(금)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통일 후 주변 4강의 對한반도 경제정책 전망(Economic Policies of Neighboring Countries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을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저명한 한반도 전문가들이 관련 주제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고, 정부 고위인사, 학계와 연구기관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심도 있는 토론을 통해 통일 후 주변국들의 경제정책 변화가 한반도와 동아시아에 미치는 함의를 분석하기 위해 마련되었다.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개회사를 통해(김준동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 대독) 이번 회의가 남북통일이 동아시아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와 각국이 통일 한반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풍부하게 논의됨으로써 통일에 대한 국제적 논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총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된 본 행사의 첫 번째 세션은 미국과 일본 측 연구진들의 연구결과 발표 및 토론이 있었다. 발표를 맡은 미국 기업연구소(AEI)의 니콜라스 에버슈타트(Nicholas Eberstadt) 선임연구위원은 통일 5년 후 북한의 1인당 GDP가 최대 16,768 달러, 10년 후에는 19,160 달러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일본의 토모히코 이누이(Tomohiko Inui) 가쿠슈인대 교수와 권혁욱 니혼대 교수는 한반도 통일로 인한 총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하고, 북한 지역에 대한 R&D 투자가 늘어나고 기술 수준이 향상되면 생산유발효과는 커진 것으로 예상했다.두 번째 세션에서는 리팅팅(Tingting Lee) 중국 베이징대 교수가 한반도 경제통합은 남한 지역에서 원가절감 및 군비 축소 등 ‘코리아 리스크’의 완화로 전체 생산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기적으로 중국 동북지역-한반도-극동러시아-몽골을 연결하는 보다 큰 경제권을 형성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마지막 발표를 맡은 세르게이 루코닌(Sergey Lukonin) 러시아 과학원 국제경제·국제관계연구소(IMEMO) 선임연구위원은 러시아의 대북 경제교류 현황을 살펴보고, 통일 후 러시아와의 유망한 경협사업으로는 나진·하산 프로젝트, 포베다 프로젝트(북한 철도 현대화 사업), 물류·에너지 회랑, 광산업, 카지노 및 관광업 등을 제시했다.이번 세미나에는 현오석 AIIB 국제자문단 위원(전 경제부총리)을 비롯하여 이종화 고려대 교수, 김병연 서울대 교수,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니콜라스 에버슈타트(Nicholas Eberstadt) 미국 기업연구소(AEI) 선임연구위원, 토모히코 이누이(Tomohiko Inui) 일본 가쿠슈인대학교 교수, 정형곤 KIEP 선임연구위원, 임호열 KIEP 동북아경제본부장 등 각계 주요 인사 및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 주제: 통일 후 주변 4강의 對한반도 경제정책 전망 (Economic Policies of Neighboring Countries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After Unification)- 일시: 2016년 10월 7일(금), 08:30~14:00- 장소: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의: 통일국제협력팀 임소정 연구원(sjim@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07 조회수 1,503
-
최낙균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 ‘막 오른 신규 면세점 경쟁…실효성 논란’ 주제로 한국경제TV와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최낙균 무역통상본부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이 한국경제TV와 ‘[뉴스포커스] 막 오른 신규 면세점 경쟁…실효성 논란’을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10월 4일(화)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신규 면세점 입찰에 대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면세점사업 적자 상황 및 추가 면세점 선정 문제 등을 다루었다. 최낙균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정부의 신규 입찰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기업들의 평가 점수가 공개되는 등 평가 기준이 보다 명확하게 적용되어 선정 절차에 대한 투명성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한국경제TV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최낙균 무역통상본부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6/10/04 조회수 1,87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