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66/123
-
KIEP, 전 세계 34위, 국내 1위 싱크탱크로 선정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국제관계프로그램 산하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TCSP: The Think Tank and Civil Social Program)’이 실시한 전 세계 싱크탱크 평가에서 세계 6,846개 연구기관 중 34위에 올라, 2012년 이후 국내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KIEP의 주력 연구 분야인 ‘국제경제정책’ 부문에서는 미국 전미경제정책연구소(NBER),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 영국의 채텀하우스(Chatham House), 일본의 IDE-JETRO 등을 제치고 세계 5위에 올랐다. 또한 ‘공공정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연구기관에서도 국내 1위로 랭크되었으며, ‘최고의 신규 아이디어/패러다임 개발’ 분야에서 국내 1위이자 국내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2년 연속 랭크되어 정부정책에 미치는 심대한 영향력과 세계적 담론을 선도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표] 2016 Global Go To Think Tank 주요 부문별 KIEP 순위 * 관련기사 보러가기: 연합뉴스(바로가기1), 매일경제(바로가기2), 서울경제(바로가기3)* TTCSP 홈페이지에서 관련자료 보러가기: 2016 Global Go To Think Tank Index Report(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6 조회수 2,052
-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 ‘한-유라시아 경제연합 국가의 산업협력 방안 세미나’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이 1월 24일(화) 서울 매니페스토정책연구소에서 열린 ‘한-유라시아 경제연합 국가의 산업협력 방안 세미나’에 참석하여 토론을 진행했다. 본 행사는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최근 국제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새로운 산업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매니페스토정책연구소가 주최한 자리였다. 박정호 러시아·유라시아팀장은 이번 포럼에서 ‘한-유라시아 경제연합 국가와의 산업협력방안’ 및 ‘중앙아시아의 경제특구 정책과 산업혁력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후, 토론자로 나서 관련 사안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진행했다. * 박정호 구미·유라시아본부 러시아·유라시아팀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4 조회수 1,019
-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장벽 올린 트럼프, 중국 때리기 전에 한국?’ 주제로 YTN 라디오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이 1월 24일(화) YTN 라디오 <김우성의 생생경제>와 ‘장벽 올린 트럼프, 중국 때리기 전에 한국?’을 주제로 진행한 전화 인터뷰가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자유협정(NAFTA) 재협상에 이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까지 공식 선언한 가운데, 미국이 탈퇴한 TPP가 갖는 효력을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는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은 TPP 논의가 시작된 배경부터 발효가 되기까지의 배경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12개국이 참여하는 매우 큰 규모의 FTA라고 소개했다. 이어 트럼프의 TPP 탈퇴 선언 등 보호무역주의 및 자국 내 일자리 창출중심으로 이어지는 정책이 장기적으로 타국과의 무역 감소로 이어져, 결국 미국 내 GDP 감소, 물가 상승 및 기업경쟁력 약화 등의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중국이 추진 중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상대적인 부상에 대해선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TPP보다는 낮은 수준의 협정이기 때문에 그 만큼의 파급력이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전체 인터뷰는 YTN 라디오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듣기 바로가기*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17/01/24 조회수 1,557
-
현정택 원장, ‘신년특별대담, 현정택 KIEP 원장에게 듣는다’ 주제로 한국경제TV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한국경제TV <금융리더초대석>에 출연하여 ‘[신년특별대담] 현정택 KIEP 원장에게 듣는다’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1월 24일(화) 방송되었다. 인터뷰는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2017년 우리경제가 당면한 불확실성을 논의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 및 전문가의 혜안을 들어보는 시간이었다. 현정택 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에 따른 미국 정책 담당자들이나 연구자들, 경제전문 외신의 우려를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분야에서 모든 관계를 거래 중심으로 보기 때문에 국제적 통상 및 무역관계도 제로섬(zero-sum) 게임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자유무역협정(FTA) 재검토, 환율조작국에 대한 수입규제 선언 등 주요 정책을 주시하여 우리는 상황에 따라 여러 참모들을 접촉해 즉각 대응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다보스 포럼에서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대척점에 서면서 미-중간 충돌이 예상된다는 전망에 대해 현정택 원장은 한국은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지 않도록 환율 조작국 및 수입규제 제품 지정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한국경제TV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4 조회수 1,762
-
정영식 국제금융팀장, ‘美 트럼프 시대 개막, 글로벌 증시 눈치보기’ 주제로 한국경제TV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정영식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장이 한국경제TV <증시라인11>에 출연하여 ‘美 트럼프 시대 개막, 글로벌 증시 눈치보기’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1월 23일(월) 방송됐다. 인터뷰는 45대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호가 출범하면서 우리경제 및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정영식 국제금융팀장은 도널드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사 속에 담겨있는 미국의 경제정책 및 무역정책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정책을 펼치는 데 있어 대외적으로 전개될 양상을 설명하며, 통상이슈와 관련하여 외부적으로 가할 압박에 대해 설명했다. 6대 국정과제를 통해 향후 10년간 연 경제성장률 4% 달성, 2,500만개의 일자리 창출 등의 진취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에 대해 자국경제를 살리겠다는 확실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한국경제TV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 정영식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금융팀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3 조회수 1,347
-
현정택 원장, ‘전세계가 트럼프 대비… 우린 탄핵정국에 제자리’ 주제로 문화일보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문화일보와 진행한 인터뷰가 ‘[트럼프 시대] “전세계가 트럼프 대비… 우린 탄핵정국에 제자리”’란 제목으로 1월 23일(월) 지면에 게재됐다. 인터뷰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통상압박 등을 둘러싼 한국경제의 위기에 경제연구원장들의 제언을 담고 있다. 현정택 원장은 경제학에서 무역은 기본적으로 플러스 섬(plus-sum) 게임이지만 트럼프 정부의 기본정책은 한마디로 제로섬(zero-sum) 게임이라며, 미국이 그간 손해 본 만큼 게워내라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로서는 경제 문제는 경제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미 FTA 발효 후 5년간 미국도 한국에 대한 수출이 늘어나는 등 이득을 봤다는 사실을 강조하라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 효과를 설명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셰일가스 구매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피력하라는 제언도 잊지 않았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문화일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3 조회수 1,397
-
현정택 원장, ‘2017 위기의 한국경제’ 주제로 SBS CNBC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SBS CNBC <용감한 토크쇼 직설>에 출연하여 ‘[신년 특집] 2017 위기의 한국경제’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1월 23일(월) 방영됐다. 인터뷰는 올해 우리나라 및 세계 경제 전반을 진단하고, 지난 10년의 한국경제를 평가하며 앞으로의 대응전략을 알아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제1차관, 김경수 성균관대학교 교수와 함께 패널로 출연한 현정택 원장은 한국경제의 ‘10년 주기설’을 언급하며 우리나라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진단했다. 또한, 한국의 현재 정치적 불안정성이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IMF가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대로 하향조정한 데 대해서는 저성장 극복을 위한 재정정책의 확대적 편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내수 부문의 구조적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당부하며, 산업 활동에 대한 규제를 줄여야 공공부문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에서도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SBS CNBC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보기 바로가기1, 바로가기2, 바로가기3, 바로가기4*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23 조회수 1,686
-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브렉시트 방침은 나왔지만, 이행은 산 넘어 산’ 주제로 MBC 라디오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이 1월 19일(목)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와 ‘브렉시트 방침은 나왔지만, 이행은 산 넘어 산’을 주제로 진행한 전화 인터뷰가 전파를 탔다. 인터뷰는 며칠 전 메이 영국총리가 유럽연합(EU)과 완전히 결별하는 이른바 하드 브렉시트를 선언한 가운데 영국의 EU 탈퇴 이슈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다. 김흥종 유럽팀 선임연구위원은 하드 브렉시트와 소프트 브렉시트의 차이를 설명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우리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만약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할 경우, 추후 우리나라와의 새로운 무역관계 형성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브렉시트가 현실화 되면 파운드화 가치가 더욱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로 인해 영국경제가 수출 증가 등의 호황을 맞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전체 인터뷰는 MBC 라디오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 인터뷰 다시듣기 바로가기* 김흥종 구미ㆍ유라시아본부 유럽팀 선임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19 조회수 1,144
-
현정택 원장, ‘中 사드 보복 심각하진 않을 듯… 아세안과 FTA 확대도 방법’ 주제로 서울신문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서울신문과 진행한 인터뷰가 ‘[경제연구원장 릴레이 인터뷰] “中 사드 보복 심각하진 않을 듯… 아세안과 FTA 확대도 방법”’이란 제목으로 1월 19일(목) 지면에 게재됐다. 인터뷰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통상압력이 기정사실화되는 등 안팎으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현재 상황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현정택 원장은 중국의 이른바 사드(THAAD) 보복은 그리 심각한 양태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며, 중국의 경제 관료들은 한국과의 갈등이 자국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알고 있기 때문에 강경 모드인 공산당과는 다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감소 요구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홍보와 설득을 통해 정부 차원에서 우리가 미국 경제에 끼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논리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3%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관련해서 경제체질의 개선이 최우선 과제라고 소개하며, 지식서비스 산업 융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서울신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19 조회수 1,550
-
현정택 원장, ‘트럼프 시대, 경제연구원장들이 꼽은 3대 리스크는?’ 주제로 이데일리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서울신문과 진행한 인터뷰가 ‘트럼프 시대, 경제연구원장들이 꼽은 3대 리스크는?’이란 제목으로 1월 16일(월) 지면에 게재됐다. 인터뷰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내외 경제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경제연구원 및 학회장 6분을 대상으로 트럼프 시대 한국 경제의 최대 리스크에 대해 논하고 있다. 현정택 원장은 한·미 FTA 재협상은 트럼프 행정부의 우선순위는 아니며, 올해 한·미 FTA 5주년을 맞아 협정 개선 혹은 후속 협의는 반드시 있을 것으로 보이므로 우리 정부가 잘 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국정공백을 하루빨리 해소하는 게 시급하므로 현재 행정부가 대외 문제에 관해 120% 활동할 수 있도록 국민, 언론, 국회가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이데일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1, 바로가기2, 바로가기3*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1/16 조회수 1,417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