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64/123
-
조충제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 ‘한·인도 협력 컨퍼런스’ 발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조충제 아시아태평양본부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이 3월 16일(목)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 융합혁신경제포럼과 한국무역협회, 국립외교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한·인도 협력 컨퍼런스’에 발표자로 참석했다. 본 컨퍼런스는 미국의 보호주의, 중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 강화 등에 대한 유망 대안 시장으로 인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제 침체기에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인도 진출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마련되었다. 조충제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은 본 행사에 참석하여 “모디노믹스와 한·인도 경제 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 조충제 아시아태평양본부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한국무역협회(홈페이지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6 조회수 2,041
-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 ‘트럼프노믹스 시대, 한국의 전략 국제포럼’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윤덕룡 국제거시금융본부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이 3월 15일(수) 서울 여의도 컨퍼런스센터에서 ‘트럼프노믹스 시대, 한국의 전략은?’을 주제로 열린 국제포럼에 참가하여 토론을 진행했다. 본 포럼은 한국 정치의 격변기에 세계 각국의 석학들이 머리를 맞대고 우리 경제의 앞날을 논의하고자 TV조선과 한국경제연구원(KERI)이 공동으로 마련한 자리였다. 윤덕룡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경제 질서 재편과 동북아”라는 주제로 진행된 세션1의 지정토론을 맡아 마틴 아이헨바움 미국 노스웨스턴대 경제학과 교수와 마이클 패티스 중국 베이징대 경영대학원 교수의 발표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 행사 관련기사는 TV조선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5 조회수 1,595
-
현정택 원장, ‘한·미 FTA 업그레이드’ 주제로 매일경제 기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의 기고문이 “[인사이드칼럼] 한·미 FTA 업그레이드”란 제목으로 3월 15일(수) 매일경제 지면에 게재되었다. 현정택 원장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5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살펴보고, 보완해나가야 할 부분과 앞으로의 한미 통상 이슈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를 제언했다. 우선 현정택 원장은 최근 미국은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한·미 FTA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한·미 FTA는 미국에도 이익을 가져다주었다고 분석했다. 미국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한미 FTA로 인해 미국의 무역적자가 158억 달러 줄어들었으며, 한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점유율은 2012년 8%대에서 지난해 10%로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발효 5년 차인 올해는 대부분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되므로, 앞으로의 성과를 더욱 확산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칠레 FTA를 비롯하여 아세안(ASEAN), 인도와의 FTA에 대해 개선 협상을 하고 있는 사례를 참고하여 한·미 FTA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협정 내용 업그레이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 기고문은 매일경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5 조회수 1,187
-
KIEP, ‘한-미 FTA와 최근 통상 이슈 세미나’ 공동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월 14일(화)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대한상공회의소, 법무법인(유) 율촌, 스텝토 앤 존슨(Steptoe & Johnson LLP)과 공동으로 ‘한-미 FTA와 최근 통상 이슈’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한-미 FTA 발효 5주년을 맞아 그 동안의 성과를 점검하고, 강화되고 있는 미국의 보호무역조치(반덤핑·상계관세 등)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최근 새롭게 부각되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비즈니스 기회와 관련된 정보도 이번 행사를 통해 제공되었다. 정철 무역통상본부장은 첫 번째 발표를 맡아 한-미 FTA 성과와 활용 방안에 대해 논했다. 이어 법무법인(유) 율촌의 하태형 고문이 에너지 분야에서의 한-미 신경제협력 이슈에 대해 발표하고, 박상태 고문이 관세 측면에서의 한-미 FTA 성과와 전망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커닝햄(Richard O. Cunningham) 스텝토 앤 존슨(Steptoe & Johnson LLP) 미국변호사가 트럼프 시대의 한-미 통상 관계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세미나 자료집은 홈페이지 세미나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주제: 한-미 FTA와 최근 통상 이슈- 일시: 2017년 3월 14일(화), 14:00~17:00- 장소: 서울 상공회의소회관 의원회의실-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대한상공회의소, 법무법인(유) 율촌, 스텝토 앤 존슨(Steptoe & Johnson LLP) * 정철 무역통상본부장 정보 바로가기* 사진제공: 법무법인 율촌(홈페이지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4 조회수 1,580
-
현정택 원장, ‘리더십 부재 해소…G2와 적극적으로 만나야 한다’ 주제로 이투데이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이투데이와 ‘리더십 부재 해소…G2와 적극적으로 만나야 한다’를 주제로 진행한 인터뷰가 3월 10일(금) 보도되었다. 인터뷰는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중국의 사드(THAAD) 보복 조치 등 이른바 ‘주요 2개국(G2)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탄핵 심판 이후 한국의 대응자세에 대해 다루고 있다. 현정택 원장은 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리더들이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미국과 중국을 적극적으로 만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 보복은 꽤 오래 갈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와 여당이 이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등 감정적인 대응을 해나가선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갈등은 정부 차원에서 중국 측에 일관적으로 사드는 안보를 위한 조치라는 당위성을 가지고 설득해나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통상 환경 악화에 대비해 대내적으로는 우리 산업과 시장구조를 바꾸는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이투데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0 조회수 1,653
-
조동희 유럽팀 부연구위원,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년도 기본연구사업 착수발표회’ 토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조동희 구미·유라시아본부 유럽팀 부연구위원이 에너지경제연구원 서울에서 주최한 ‘2017년도 기본연구사업 착수발표회’에 외부토론자로 참석했다. 본 행사는 에너지경제연구원이 “통합평가모형을 통한 파리협정 타결에 따른 국내외 경제 영향 분석”이라는 주제로 올해 기본연구사업에 착수하기에 앞서 산·학·연·정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 과제의 시의성을 검토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동희 유럽팀 부연구위원은 외부토론자 자격으로 발표회에 초청되어 연구의 질적 향상과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펼쳤다. * 조동희 구미·유라시아본부 유럽팀 부연구위원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10 조회수 1,090
-
현정택 원장, ‘2017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GFC)’ 사회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한국경제TV와 한경미디어그룹이 “초불확실성의 시대…한국의 선택”을 주제로 3월 9일(목)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개최한 ‘2017 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GFC)’에 사회자로 참석하였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이한 본 컨퍼런스는 국내외 경제 전문가들과 미국, 중국, 유럽 등 전 세계에 퍼진 고립주의로 글로벌 초불확실성이 만연해진 시대에 한국 경제의 해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현정택 원장은 첫 번째 세션 ‘협력과 갈등의 G2(미국과 중국), 한국의 선택’의 사회를 맡아 베리 아이켄그린 UC버클리대 교수와 주닝 칭화대 교수의 트럼프 정부의 무역장벽 강화와 법인세 감세 정책 등에 대한논의를 주재했다. 해당 세션은 미국과 중국이 환율조작 논란, 안보 정책 등을 놓고 갈등하는 상황에서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논하는 자리였다. 행사 관련기사는 한국경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관련기사 바로가기1, 바로가기2, 바로가기3, 바로가기4 *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09 조회수 3,779
-
KIEP, 사우디 국책연구기관 전략개발센터(CSD) 인사 초청 및 자문회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3월 6일(월) 세종 국책연구단지 본원에 사우디 국책연구기관 전략개발센터(Center for Strategic Development, CSD) 소속 연구진들을 초청하여 자문협력회의를 개최하였다. 본 회의는 사우디 비전 2030 자문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연구원의 설립 및 운영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제공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현정택 KIEP 원장과 사우디 하심 알 다바그(Hashim Al Dabbagh) CSD 대표, 라미 니아지(Rami Niazy) 박사, 메슬레 알 하지리(Meslet Al Hajri) 박사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 행사명: 사우디 국책연구기관 전략개발센터(CSD) 인사 초청 및 자문회의- 일시: 2017년 3월 6일(월), 11:00~12:00- 장소: 세종 국책연구단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문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구미·유라시아본부 아중동팀 정재욱 부연구위원(jwjung@kiep.go.kr)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06 조회수 1,557
-
현정택 원장, ‘스트롱맨 트럼프·시진핑·아베와 더 협력하라’ 주제로 조선일보 기고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의 기고문이 “‘스트롱맨’ 트럼프·시진핑·아베와 더 협력하라”란 제목으로 3월 4일(토) 조선일보 위클리비즈 지면에 게재되었다. 현정택 원장은 최근 국제 정세는 ‘스트롱맨’들의 등장으로 달라지고 있다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대외 강경책을 통해 국내 정치의 기반을 넓히려 한다고 분석했다. 그 대표적 인물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 일본 아베 총리를 꼽은 현 원장은 각 지도자의 외교·안보·경제를 아우른 전반적인 대외정책을 평가했다. 이어 한국이 보호무역주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어떤 경제발전책을 써야할지에 대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이 국제 규범에 기초를 둔 합의를 잘 이행해 나감으로써 다른 나라와의 협력을 공고히 하고, 기존 협정에 대한 신뢰 기반을 확대해 나갈 것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전체 기고문은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기고문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04 조회수 1,338
-
현정택 원장, ‘GFC서 한·미·중 경제해법 도출 기대’ 주제로 한국경제TV 인터뷰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현정택 원장이 한국경제TV와 진행한 인터뷰가 ‘GFC서 한·미·중 경제해법 도출 기대’란 제목으로 3월 3일(금) 보도되었다. 인터뷰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행보를 강행하는 가운데 중국이 시진핑 2기 정부의 출범을 앞둔 상황에서 G2의 역할에 대해 논했다. 현정택 원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 경제관계를 제로섬(zero sum)으로 바라보며, 안보와 경제문제를 뒤섞어 나토(NATO) 및 일본에 방위비 분담을 강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국내 경제의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리스크 관리와 산업구조 재편을 꼽았다. 한계기업 정리와 금융부채 관리, 통화스와프 확대를 통한 달러 비축 등을 통해 단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경제 리스크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아울러 앞으로는 교육·문화·관광·지식정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4차 산업혁명에 맞는 규제완화 및 제도개혁을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오는 3월 9일 열리는 <2017 세계경제금융컨퍼런스(GFC)>에서 현정택 원장은 ‘협력과 갈등의 G2, 그리고 한국의 선택’을 주제로 한 1세션의 좌장을 맡아 신고립주의 시대 한국 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전체 인터뷰 내용은 한국경제TV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정보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7/03/02 조회수 1,75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