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5건 페이지 115/123
-
KIEP, 미국 하와이 East-West Center(EWC)와 국제 컨퍼런스 개최연구원은 7월 24일부터 25일 양일간 미국 하와이 East-West Center(EWC) 회의실에서 "2014 Korea Dialogue Conference on Strengthening North Pacific Cooperation"을 주제로 EWC와 공동으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TPP 지역 내 국가들 간의 상호작용, 무역 및 투자 통합을 위한 경로, 북한의 경제·사회 변동 평가 등 북태평양 국가들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개최되었다. 이일형 원장이 개회사와 SessionⅠ의 사회를 맡았으며, 정형곤 부원장이 SessionⅢ 토론자로, 문성만 국제금융팀 연구위원이 SessionⅠ 한국 부분 발표자로 참석하기도 하였다. - 주제: 2014 Korea Dialogue Conference on Strengthening North Pacific Cooperation - 일시: 2014년 7월 24일(목) 18:00-21:00 ~ 7월 25일 (금) 09:00-17:00- 장소: 미국 하와이 East-West Center(EWC) 회의실-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하와이 East-West Center(EWC)- 문의: 지역무역협정팀 유새별 연구원(Tel: 02-3460-1083, E-mail: sbyoo@kiep.go.kr) * photo credit: East-West Center 세미나 공지사항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9 조회수 3,058
-
KIEP, '중국 내수시장의 새로운 기회와 한중 협력방안' 국제세미나 개최연구원은 7월 24일, 연구원 7층 회의실에서 "중국 내수시장의 새로운 기회와 한중 협력방안"을 주제로 국제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중국 내수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상황에서 신흥도시와 문화산업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국 진출의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한중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김흥종 부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세미나는 총 2개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제1세션은 중국 신흥도시의 소비 특성과 진출방안을 주제로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을 좌장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국가 이미지에 따른 제품 평가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난카이대학(南開大學)의 리둥진(李東進) 교수의 발표와 하얼빈, 창춘, 다칭 등 중국 동북지역 내수소비 동향에 대한 헤이룽장성 사회과학원(黑龍江省社會科學院) 다즈강(笪志剛) 소장의 발표, 그리고 중국의 신소비거점과 우리 기업의 진출방안에 대한 무역협회 이봉걸 수석연구원의 발표가 이어졌다. KIEP 정지현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장, 김부용 부연구위원, KOTRA 장상해 차장이 지정토론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제2세션에서는 중국의 콘텐츠산업 현황과 협력방안을 주제로 이장규 KIEP 선임연구위원을 좌장으로 하여 중국 영화산업의 해외협력 사례에 대한 베이징대학(北京大學) 리다오신(李道新) 교수의 발표,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환경변화와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한 KIEP 노수연 부연구위원의 발표, 중국 서부지역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현황과 한중 협력의 기회와 전망에 대한 시베이대학(西北大學) 야오후이친(姚慧琴) 교수의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영화진흥위원회 박희성 팀장, 콘텐츠진흥원 정미경 수석연구원, 문화관광연구원 박찬욱 부연구위원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 주제: 중국 내수시장의 새로운 기회와 한중 협력방안- 일시: 2014년 7월 24일(목) 14:00~17:40- 장소: KIEP 7층 회의실- 담당자: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김부용 부연구위원(Tel: 02-3460-1282) 보도자료 링크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4 조회수 2,262
-
세르비아 주재 IMF 김대행 수석대표 방원연구원은 본원 11층 회의실에서 세르비아 주재 IMF의 김대행 수석대표를 초청하여 "CESEE Countries: 25 Years of Transition"을 주제로 유럽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김대행 박사는 동유럽 CESEE 국가들, 특히 세르비아와 같은 발칸 국가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구조적 문제점들과 체제변화의 필요성, 그리고 직면한 과제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세르비아 경제의 현 상황이 통일 이후 북한 경제에 대해 갖는 함의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본 간담회에는 강유덕 유럽팀장 등 유럽팀을 비롯하여 정철 아시아태평양실장, 김보민 통일국제협력팀장, 이동은 국제거시팀장 등이 참석하였다. - 주제: CESEE Countries: 25 Years of Transition- 발표자: 김대행 박사 (세르비아 주재 IMF 수석대표)- 일시: 2014년 7월 23일(수) 16:00- 장소: KIEP 11층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3 조회수 3,101
-
임호열 실장, 중국 인민대 IMI 포럼 발표 및 IMI-KIEP MOU 체결식 참석임호열 국제협력정책실장은 7월 20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학교 Century Hall에서 개최된 제1회 International Monetary Forum에 참석해 Roundtable 2에서 The Internalization of Renminbi and Offshore Market Construction을 주제로 발표를 하였다. 본 행사는 중국 인민대학교가 주최하고 인민대 국제통화연구소(IMI)가 후원하였으며, 우리 연구원에서는 임호열 국제협력정책실장, 이승신 북경사무소장, 중국팀 양평섭 연구위원 등이 참석하였다. 또한 중국 뿐 아니라 IMF,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와 세계 각 대학의 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다. 같은 날 임호열 실장, 이승신 소장, 양평섭 연구위원은 MOU 체결식에 참석하여 인민대학교 국제통화연구소(IMI)와 KIEP 간 MOU도 체결하였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2 조회수 2,678
-
미국 William Paterson University 교수와 초·중·고 교사 14명 연구원 방문미국 William Paterson University 사회학과 박금재 교수와 교육학 교수 2명, 중·고등학교 교사 6명과 초등학교 교사 6명 등 14명이 7월 21일 오후 4시 연구원을 방문하였다. 김흥종 부원장은 7층 회의실에서 이들과 만나 연구원에 대한 소개를 했고, 이효영 다자통상팀 부연구위원이 “International Trade Trends and Koreas Trade Policy”를 주제로 세계경제의 추세와 규칙, 변화, 그리고 한국의 통상정책과 한-미 FTA에 대해 설명하였다. 미국 교사단은 한국에서의 FTA 교육, FTA의 원산지 규정과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한국 제품의 처리문제, 세계무역질서 등과 관련해 김흥종 부원장, 이효영 부연구위원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 일시: 2014년 7월 21일(월) 16:00- 장소: KIEP 7층 회의실- 주제: International Trade Trends and Koreas Trade Policy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2 조회수 2,633
-
규범연구회 전문가풀 세미나 개최연구원은 본원 8층 회의실에서 World Trade Advisors(Consulting firm)의 강성진 미국변호사를 초청하여 "최근 개정된 EU 반덤핑법규의 공익조항: 주요 내용 및 시사점"을 주제로 규범연구회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강성진 미국변호사는 EU 통상법상 EU 공익(Union Interest) 조항 개정 논의의 최근 동향과 무역구제제도 현대화 제안의 주요 내용 등에 대해 발제하였다. - 주제: 최근 개정된 EU 반덤핑법규의 공익조항: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발표자: 강성진 미국변호사(World Trade Advisors 한국지사장, 前LG디스플레이 법무팀)- 일시: 2014년 7월 21일(월), 10:30~12:30- 장소: KIEP 8층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21 조회수 1,942
-
러시아연방정부 분석센터 콘스탄틴 노스코프 기관장 외 4인 연구원 방문7월 14일 오전 10시 30분, 러시아연방정부 분석센터(Analytical Center for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의 콘스탄틴 노스코프(Konstantin Noskov) 기관장 외 4인이 우리 연구원을 방문해 러시아·유라시아팀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재영 구미·유라시아실장은 러시아연방정부 분석센터 대표단을 대상으로 우리 기관의 연구 성과를 비롯하여 연구원에 대해 소개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본 간담회에는 대표단 5인과 연구원 구미·유라시아실 이재영 실장, 러시아·유라시아팀 제성훈 팀장을 비롯해 총 10여명이 참석하였다. 러시아연방정부 분석센터는 러시아 국무총리실 산하 씽크탱크로 사회경제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 일시: 2014년 7월 14일(월) 10:30~11:45- 장소: KIEP 11층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14 조회수 2,341
-
KIEP, 중국 후베이성 사회과학원(HASS)과 제3차 공동세미나 개최연구원은 7월 10일, 중국 후베이성 사회과학원(HASS) 9층 회의실에서 "중국 중부지역 중점전략과 한·후베이 협력"을 주제로 KIEP-HASS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는 2012년 2월 체결된 KIEP과 HASS 간 연구협력 MOU의 일환으로 2012년 9월부터 매년 개최되는 공동세미나이며, 2012년에는 중국 우한에서, 2013년에는 한국 제주도에서 개최된 바 있다. 금년 세미나에서는 한국의 개발경험(한강의 기적)에 대한 정보 공유를 비롯하여 환경, 신형도시화, 문화 등 협력이 유망한 분야별로 양측의 협력 구상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 연구원에서는 정형곤 부원장, 최낙균 무역투자정책팀 선임연구위원, 정지현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7월 9일에는 정형곤 부원장이 한·후베이성 경제협력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기도 하였다. - 주제: 중국 중부지역 중점전략과 한·후베이 협력- 일시: 2014년 7월 10일(목) 8:30~- 장소: 중국 HASS 9층 회의실- 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중국 후베이성 사회과학원(HASS) - 담당자: 중국권역별·성별연구팀 박진희 연구원(Tel: 02-3460-1285) 세미나 공지사항 바로가기 보도자료 바로가기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10 조회수 2,401
-
인도·남아시아연구회 전문가풀 세미나 개최연구원은 본원 9층 회의실에서 인도 University of Delhi의 Sandip Kumar Mishra 교수를 초청하여 “Indian Perspective on Korean Unification and India-South Korea Relations under Modi Administration”을 주제로 인도·남아시아연구회 대외경제전문가풀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Mishra 교수는 한반도 통일 이슈를 한반도 수준, 지역 수준, 국제 수준의 세 수준으로 나누고, 한국 정부가 통일에 있어서 국제 수준의 국가들의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인도가 한반도 통일문제에 있어서 앞으로도 저자세(low-key)를 유지하겠지만, 남북한 모두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왔고 특히 남한과 가치와 비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인도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 주제: Indian Perspective on Korean Unification and India-South Korea Relations under Modi Administration- 발표자: Sandip Kumar Kishra (University of Delhi, 교수)- 일시: 2014년 7월 8일(화) 16:30- 장소: KIEP 9층 회의실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08 조회수 1,924
-
아시아 언론인 6인 및 미 동서센터 관계자 연구원 방문미 동서센터(East West Center)가 주최하는 국제 컨퍼런스에 참가하는 아시아 언론인 6인이 7월 8일 오후 2시 연구원을 방문하였다. 아시아 언론인들과 미 동서센터 관계자들은 연구원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김영귀 지역무역협정팀장의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김영귀 팀장은 "North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Role of China, Japan and Korea"를 주제로 한중일 3국 간 경제협력 현황, 한중일 FTA와 RCEP 등 동북아 제도적 경제통합과 장애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를 하였다. 참석자들은 RCEP와 TPP 협상 전망 비교, 한중일 간 공동체 의식 부재, 지역무역협정에 대한 한국의 언론 보도 등과 같은 사안에 대해 김영귀 팀장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 일시: 2014년 7월 8일(화) 14:00- 장소: KIEP 7층 회의실- 주제: North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and Role of China, Japan and Korea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14/07/08 조회수 2,19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