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270/290

  • Tax Implicantions of International Capital Mobilty
    Tax Implicantions of International Capital Mobilty

    본 보고서는 개방경제에서 세금중립에 관한 논의를 시작으로 하고 있다. 논의의 초점은 자본주에 기반한 과세와 자본지대에 기반한 과세를 구분짓는 데 있다. 폐쇄경제에서 개방경제로 이행하는 초기 단계에서 세금정책은 극적일 수 있다. 국가 간 ..

    전주성 발간일 1993.12.01

    자본시장, 조세제도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1. Tax Neutrality In an Open Economy
    A. Source-based Taxation and Capital Import Neutrality
    B. Residence-based Taxation and Capital Export Neutrality
    C. Implications for Optimal Tax Policy and Policy Coordination

    2. The Taxation of Foreign Source Income

    3. Tax Distortions to International Investment
    A. The Effects of Foreign Tax Credits and Tax Deferrals on the Effective Tax Rate on Foreign Source Income
    B. The Effectiveness of Investment Incentives
    C. Tax Effects on Financing Decisions
    D. Tax Effects on Multinational R&D Decisions
    E. Relative Tax Advantage of a Portfolio vs. Direct Investment

    4. Implications for Korean Tax Policy
    A. Incentives in the Tax Laws
    B. Tax Treaties
    C. Tax Policy Concerning the Form of Foreign Investment
    D. Summary of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
    국문요약
    본 보고서는 개방경제에서 세금중립에 관한 논의를 시작으로 하고 있다. 논의의 초점은 자본주에 기반한 과세와 자본지대에 기반한 과세를 구분짓는 데 있다. 폐쇄경제에서 개방경제로 이행하는 초기 단계에서 세금정책은 극적일 수 있다. 국가 간 금융자본 유동성이 클수록 국제 세금중재를 위한 기회도 커진다. 효율성 제고는 국제 세금조정의 어려움이 좋은 예가 되는 것처럼 동일 과세와 같은 최적의 세금비율에 관한 비현실적으로 높은 제약을 요할 수 있다. 외국자본 수입의 실질 과세방법은 꽤 복잡한 편이다. 양식화된 이론 양식에서 설명될 수 있는 다른 많은 왜곡 자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외국자본수입에 대한 이중과세를 경감하기 위한 국가별 노력은 때론 불완전하고 수입유형에 따라 균형이 잡혀있지 않다. 다국적 과세방법은 실제와 금융행위에 영향을 미치면서 극도로 복잡한 양상을 띄고 있다. 또한 국제금융 흐름의 대안적인 방식의 존재는 추가적으로 복잡성을 유발할 수 있다. 외국인직접투자는 간접투자보다 매우 다양한 법적인 세금징수에 직면할 수 있다. 외국인투자를 유치하는데 있어 세금협정과 투자 인센티브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것만큼 명쾌하지 않다. 본 보고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국제자본수입에 과세에 대한 실제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다.
  • Leveraging Technology for Strategic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 : Case of the..
    Leveraging Technology for Strategic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 : Case of the..

    오늘날 한국은 세계3대 소비전자제품 및 부품 생산국이다. 그리고 한국 전자제품은 세계 3대 규모의 산업이 되었다. 또한 소비전자제품의 3대 수출국이며 부품과 재수출을 포함하여 5위를 차지하고 있다. 1970년 한국은 세계시장에 55백만 달러 상당..

    홍유수 발간일 1993.12.01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I. Introduction

    II. History of the Korean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III.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Electronics Industry

    IV.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ical Dependence

    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국문요약
    오늘날 한국은 세계3대 소비전자제품 및 부품 생산국이다. 그리고 한국 전자제품은 세계 3대 규모의 산업이 되었다. 또한 소비전자제품의 3대 수출국이며 부품과 재수출을 포함하여 5위를 차지하고 있다.
    1970년 한국은 세계시장에 55백만 달러 상당의 전자제품을 팔았다. 이십년이 지난 1992년 그 숫자는 세계 시장의 6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202억 달러로 급등하였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증가하는 교역제한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제조한 개인용 컴퓨터와 VCR은 전체생산의 4분의 3이상을 수출하며 세계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방법론적인 문제
    한국전자 산업이 명백한 후발주자 임에도 그렇게 성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인가? 한국이 경험한 특별한 경우로부터 다른 산업화 과정에 있는 나라들을 위해서 어떤 교훈을 제공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들이 본 연구에서 논의될 것이다. 주제와 관련해 이해를 돕기 위해, 우선 최근 한국 역사에서 전자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특징적으로 달성한 부분을 이해할 것이다.
  • Changing Patterns of Korea’s Trade in Goods and Sevices
    Changing Patterns of Korea’s Trade in Goods and Sevices

    한국은 60년대 이후로 수출지향적인 산업화정책으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달성하였다. 1962년에서 1992년까지 한국의 실제 국민총생산 연평균 성장률은 거의 8%에 달했으며, 80년대에는 10% 이상이었다. 또한 1992년 한국의 국민 1인당 국민 총생산은..

    유진수 발간일 1993.12.01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Contents

    I. Introduction

    II. Changing patterns in Korea's merchandise trade
    1. Exports and imports by commodity
    2. Exports and imports by country

    III. Changing patterns in Korea's trade in services
    1. Trade in services
    2. Technology trade

    IV. Prospects

    Reference
    국문요약
    한국은 60년대 이후로 수출지향적인 산업화정책으로 급격한 경제 성장을 달성하였다. 1962년에서 1992년까지 한국의 실제 국민총생산 연평균 성장률은 거의 8%에 달했으며, 80년대에는 10% 이상이었다. 또한 1992년 한국의 국민 1인당 국민 총생산은 1962년에 77배이상에 달하는 6,749불이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은 무역흑자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상품에 대한 경쟁력이 상당히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80년대 무역흑자는 한국의 원화 가치 절상과 임금상승의 원인이 된 심각한 노동분규에 기인한다. 한국 원화가치는 80년대 후반 24% 까지 절상되었고 임금은 같은 기간에 두배가 되었다.
    최근 개발도상국에 경기침체도 한국수출에 나쁘게 작용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들은 높은 실업률 때문에 이들 국가사이에 보호주의 정서가 우세하다. 한국은 고기술을 확보하고,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는데 어려움을 격고 있다. 따라서 특히 선진국에 있어서 한국수출 성장률을 최근 하락했다. 1989년-1992년 동안 연평균 수출 성장율 6%를 기록했던 반면에, 같은 기간동안 연평균수입성장률을 12.3%를 기록한 바 있다.
  • The Asian Dimention of EC Integration: Problems and Prospects
    The Asian Dimention of EC Integration: Problems and Prospects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과 공동으로 1993년 11월 10-11일 서울에서 유럽공동체의 아시아 차원의 문제점과 전망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에는 유럽과 아시아 각국의 저명한 학자와 전문가가 모..

    김박수 발간일 1993.12.01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Foreword

    1. The Economic Effects of European Integration on Asian Countries

    2.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Asia: Empirical Evidence and Prospects

    3. Trade Issues between Korea and the EC: Observation based on the Case Study

    4. Changes in Trade Structure between the EC and Korea

    5. Japan's Bilateral Relations with the EC for Better Ones

    6. The Trade Impact of European Integration: The Case of Taiwan

    7. European Integration and SINO-EC Economic Relations

    8. Current Economic Issues and Future Prospects between the EC and ASEAN

    9. Roundtable Discussion

    Appendices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과 공동으로 1993년 11월 10-11일 서울에서 유럽공동체의 아시아 차원의 문제점과 전망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세미나에는 유럽과 아시아 각국의 저명한 학자와 전문가가 모여, 이슈에 관한 의견을 공유하고 유럽과 아시아국가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개념을 발전시키는 자리가 되었다.
  • Regional Context for Korea’s Dynamism
    Regional Context for Korea’s Dynamism

    한국은 동북아시아 경제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미국과 한국의 저명한 학자들이 1993년 10월 12일 서울에서 한국의 역동성을 위한 지역적 관계: 확실성과 불확실성 세미나에 참가하였다. 본 세미나는 세기..

    이창재 발간일 1993.12.01

    원문보기
    목차
    Foreword

    I. The Regional Economic Context of Development in the Korean Peninsula

    II. U.S.-Korean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n Economic Context

    III. The Regional Political Context of Economic Develp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IV. Executive Summary

    V. Appendices
    국문요약
    한국은 동북아시아 경제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미국과 한국의 저명한 학자들이 1993년 10월 12일 서울에서 한국의 역동성을 위한 지역적 관계: 확실성과 불확실성 세미나에 참가하였다. 본 세미나는 세기가 바뀌는 시점에 한국의 미래 지역적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경제적 역할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자리는 미래 진보를 위한 다양한 정치-경제적 전망을 교환하는 자리가 되었다.
  •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와 우리의 경제협력방안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와 우리의 경제협력방안

    1988년 서울올림픽과 더불어 구소련과 우리나라 사이에 있던 벽이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점차 시베리아 열기로 나타났다. 풍부한 부존자원을 지닌 광활한 미개발지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시베리아는 우리들에게 꿈을 주기에 충분..

    이창재 발간일 1993.11.3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I. 서론

    II.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
    1. 러시아 극동지역의 정의
    2.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의 잠재력
    3. 극동지역의 경제적 비중
    4. 극동지역의 경제현황

    III. 극동지역의 교역
    1. 1990년 이전 극동지역의 교역
    2. 극동지역의 교역현황

    IV. 극동지역의 외국인투자
    1. 극동지역 전체의 외국인투자
    2. 연해지방의 외국인투자
    3. 하바로프스크지방의 외국인투자
    4. 사할린주의 외국인투자
    5. 나호드카 자유경제지대의 외국인투자

    V. 우리의 대극동지역 경제협력방안
    1.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현황
    2.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당면과제
    3. 한· 러시아 극동지역 경제협력의 문제점
    4. 우리의 대극동지역 진출방안
    국문요약
    1988년 서울올림픽과 더불어 구소련과 우리나라 사이에 있던 벽이 무너지기 시작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점차 시베리아 열기로 나타났다. 풍부한 부존자원을 지닌 광활한 미개발지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시베리아는 우리들에게 꿈을 주기에 충분하였다.그러나 구소련에서 개방과 개혁이 추진되고 소연방이 와해되는 과정에서 우리는 구소련 및 러시아 경제의 실상을 접하게 되었으며, 지난 몇 년간 구소련 및 러시아의 경제협력을 통해 일반 국민들도 시베리아 개발에는 열악한 자연환경 이외에도 많은 장애요인이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러시아 경제사정이 계속 악화되고 이로 인해 우리가 구소련에 제공하였던 경협자금에 대한 상환기일의 연기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국내에서는 러시아 경제협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대두되고 있으며, 시베리아 땅도 더욱 멀고 차게 느껴지고 있는 듯하다.신헌법의 채택 및 의회선거를 앞두고 있는 러시아 정국은 아직 불안한 상태이며,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러시아 경제의 하락현상도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내 경제개혁은 계속 추진되어왔기 때문에, 개혁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지만 과거 계획경제체제로의 회귀는 상상할 수 없으며, 러시아경제의 개방화 추세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일본의 對아시아 기술이전과 우리의 대응
    일본의 對아시아 기술이전과 우리의 대응

    일본의 산업 및 경제발전에 대한 기술의 역할과 공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로서 선진국, 중진국, 개도국 모두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본은 선진국의 기술을 도입/흡수/개량한 모방자로 출발하여 국내산업과 자체기술 개발능력의 제고에 성..

    홍유수 발간일 1993.11.29

    기술협력
    원문보기
    목차
    序 言

    Ⅰ. 序 論
    1. 硏究의 目的
    2. 硏究의 方法
    3. 硏究의 內容

    Ⅱ. 技術移轉의 理論과 日本의 經驗
    1. 技術移轉에 관한 旣存理論
    2. 技術革新과 産業構造의 高度化
    3. 技術進步와 技術移轉

    Ⅲ. 日本의 技術革新과 國際化
    1. 日本의 經濟成長과 技術進步
    2. 技術革新과 産業構造의 高度化
    3. 日本企業의 國際化

    Ⅳ. 日本의 對아시아 技術移轉과 아시아의 産業構造 調整
    1. 아시아 經濟의 重要性과 日本의 進出戰略
    2. 日本의 對아시아 技術移轉 現況과 特性
    3. 日本 偏重 아시아 分業體系의 形成과 發展
    4. 技術摩擦과 對應政策

    V. 아시아 分業體系의 發展과 競爭國의 産業/技術 戰略
    1. 新엔高時代의 日本의 構圖와 戰略
    2. 日本-아시아 分業體系의 發展 方向
    3. ANIEs의 戰略
    4. ASEAN와 中國의 戰略
    5. 韓國의 戰略形成에 대한 示唆點

    Ⅵ. 韓國의 進路와 戰略
    1. 아시아 分業體系의 發展과 韓國의 進路
    2. 國際競爭力과 技術開發
    3. 技術受容能力의 提高
    4. 資本/技術의 仲介와 海外進出
    5. 韓國-日本-中國 三國間 産業/技術協力

    Ⅶ. 結 論
    1. 日本의 戰略
    2. 韓國의 戰略

    參考文獻
    국문요약
    일본의 산업 및 경제발전에 대한 기술의 역할과 공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로서 선진국, 중진국, 개도국 모두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본은 선진국의 기술을 도입/흡수/개량한 모방자로 출발하여 국내산업과 자체기술 개발능력의 제고에 성공하였으며, 기술자립에 이어 타국에 대한 기술이전 및 기술수출도 꾸준히 확대하여왔다. 일본의 전형적인 기술이전의 패턴은 구미 선진국으로부터는 선진기술을 도입하고,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개도국에는 중급 및 성숙기술을 이전하는 것이었다.

    1960년대 이래 매우 활발하였던 일본의 대아시아 기술이전은 아시아 각국의 경제발전과 자국의 산업/경제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종종 아시아제국으로부터 일본의 기술이전방식 및 이전기술의 수준에 대하여 비판이 있어온 것도 사실이다. 미-일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흡수하여 조립/가공산업에 주력해온 한국은 자체기술개발의 소홀로 인하여 1990년대에 들어와 세계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급속히 상실해가고 있다. 비슷한 과정을 밟아온 것 같이 보이는 한국이 왜 일본과는 달리 고전하고 있는가? 한국이 기술 면에서 살아나갈 길은 무엇인가? 일본으로부터 배울 점은 무엇인가? 21세기에 선진통일복지국가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이 취해야 할 기술전략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국제무역분쟁의 현황과 GATT의 역할
    국제무역분쟁의 현황과 GATT의 역할

    채욱 발간일 1993.11.25

    무역분쟁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國際貿易紛爭과 GATT의 役割
    1. GATT의 基本性格 및 機能
    2. 國際貿易紛爭에서의 GATT의 役割

    II. GATT 紛爭解決節次의 槪要
    1. 紛爭解決 關聯 GATT 規定
    2. GATT 紛爭解決節次 現況
    3. GATT 紛爭解決節次의 向後 展望과 課題

    III. 國際貿易紛爭의 現況
    1. 國際貿易紛爭의 推移
    2. 貿易紛爭의 主要分野 및 原因
    3. 紛爭解決의 現況 및 問題點

    IV. 國際貿易紛爭의 向後 展望
    1. 貿易紛爭의 展望
    2. 貿易紛爭의 새로운 分野

    V. 우리나라의 貿易紛爭 事例
    1. 韓ㆍ美 쇠고기紛爭
    2. 폴리아세탈수지 關聯 韓ㆍ美 反덤핑紛爭

    VI. 우리에게 주는 示唆點
    국문요약
  • 지적재산권 국제화의 방향과 과제
    지적재산권 국제화의 방향과 과제

    현대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으로서 기술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컴퓨터 소프트웨어, 반도체 집적회로, 데이터베이스 등 정보산업이나 생명공학,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보호 필요성이..

    왕윤종 발간일 1993.11.25

    원문보기
    목차
    序言

    第1章 序 論

    第2章 知的財産權 保護制度의 國際化
    Ⅰ. 知的財産權 關聯 國際協約
    Ⅱ. UR/TRIPs 協商
    Ⅲ. 美國의 知的財産權 保護 政策

    第3章 知的財産權 保護의 經濟的 意味와 效果
    Ⅰ. 特許權 保護의 經濟的 意味와 效果
    Ⅱ. 特許와 市場構造
    Ⅲ. 競爭政策과 知的財産權
    Ⅳ. 기타 産業財産權과 著作權

    第4章 知的財産權 保護와 國際交易
    Ⅰ. 知的財産權 保護와 國際貿易
    Ⅱ. 知的財産權 保護와 直接投資
    Ⅲ. 知的財産權 保護와 技術貿易

    第5章 우리나라의 知的財産權 保護 實態
    Ⅰ. 産業財産權
    Ⅱ. 著作權
    Ⅲ. 新知的財産權

    第6章 知的財産權 國際化의 方向과 課題
    Ⅰ. 知的財産權 國際化의 基本方向
    Ⅱ. 知的財産權 國際化의 主要課題

    <參考文獻>
    국문요약
    현대산업의 눈부신 발전을 가능하게 한 원동력으로서 기술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컴퓨터 소프트웨어, 반도체 집적회로, 데이터베이스 등 정보산업이나 생명공학,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보호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지적재산권 분야의 보호범위의 외연이 확대되고 보호방법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새롭게 마련되고 있다.

    국제교역에 있어서 개도국의 비중이 증대하면서 선진국은 개도국의 경제발전이 선진국의 축적된 과학/기술의 불법도용과 같은 무임승차에서 비롯됐다는 입장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지적재산권 보호문제는 국제적 이슈로 대두되기에 이르렀고 지적재산권의 권리자와 이용자간의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분쟁해결의 제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WIPO나 GATT 등의 국제기구는 지적재산권제도의 정비를 위해 다각도의 논의를 벌이고 있다. 특히 UR/TRIPs 협정문은 이와 같은 지적재산권 보호의 국제화를 국제무역질서의 규범으로서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의 고도성장과정에서 GATT체제의 자유무역주의의 혜택을 크게 받았으며, 선진기술의 효과적인 도입을 통하여 부족한 국내기술을 보강하여왔다. 지적재산권 보호강화는 우리나라가 기술수입국으로서의 위치를 벗어나 기술자립성을 확립하기 위한 발판이다. 따라서 지적재산권 보호강화라는 국제적 조류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국내기술의 적극적인 개발을 통하여 산업구조의 체질개선을 이룩하고 선진국형 산업구조로 전환한다는 능동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 상해시 투자환경
    상해시 투자환경

    90년대에 접어들면서 중국은 80년대의 沿海經濟發展戰略이 심화시킨 지역간 발전격차와 産業構造의 不均衡을 시정하고 國民經濟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과감한 市場經濟 도입과 全面的인 對外開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

    박월라 발간일 1993.11.23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目次

    I. 序論

    II. 一般槪況
    1. 自然環境
    가. 位置와 面積
    나. 氣候
    다. 地形ㆍ地勢
    2. 行政區域
    3. 人口와 勞動力
    가. 人口 및 人口構成
    나. 勞動力

    III. 經濟槪況
    1. 上海經濟略史
    가. 組界時代
    나. 建國 이후 改革開放 이전 時期
    다. 改革開放 이후 時期
    2. 地域經濟 槪況
    가. 經濟成長
    나. 産業構造
    다. 投資
    라. 地方財政
    마. 消費規模 및 生活水準
    바. 中國經濟에서 上海經濟가 차지하는 比重
    3. 主要産業
    가. 農業
    나. 工業
    다. 商業ㆍ流通ㆍ金融業
    4. 基幹施設
    가. 輪送
    나. 通信
    다. 에너지
    5. 對外貿易
    가. 輸出入 規模
    나. 輸出入 構造
    6. 外資導入 및 外國人 直接投資
    가. 外國人 直接投資 規模
    나. 外國人 直接投資의 投資形態別 構成
    다. 外國人 直接投資의 國家別 構成
    라. 外國人 直接投資의 産業別ㆍ業種別 構成
    마. 技術導入

    IV. 地域開發 現況 및 開發計劃
    1 . 地域開發戰略
    가. 上海市 國民經濟ㆍ社會發展 10年計劃과 第8次 5個年計劃
    나. 浦東新區 開發計劃
    2. 浦西地域 開發區 現況 및 開發計劃
    가. 閔行經濟技術開發區
    나. 虹橋經濟技術開發區
    다. 漕河涇新興技術開發區
    3. 浦東新區 開發現況 및 開發計劃
    가. 浦東新區 經濟槪況
    나. 基幹施設 現況 및 建設計劃
    다. 4個 重點開發小區 現況 및 開發計劃
    라. 外國人投資 現況

    V. 外國人投資 關聯事項
    1. 外國人投資 優待措置 및 投資關聯 費用
    가. 稅金 및 優待措置
    나. 雇傭 및 賃金
    다. 土地關聯 費用
    라. 建物使用費用
    마. 公共서비스 料金
    바. 運輸ㆍ倉庫保管 費用
    사. 自動車 관련 費用
    2. 外國人投資 關聯機關 및 投資節次
    가. 外國人投資 審査ㆍ承認機關
    나. 中外合資ㆍ合作企業의 設立節次
    다. 獨資企業의 設立節次
    라. 浦東新區內의 外國人投資企業 設立節次
    마. 土地使用權 有償讓渡 節次
    3. 外國人投資 誘致方向과 ?勵ㆍ規制業種
    가. 投資誘致方向
    나. 投資奬勵業種 및 製品
    다. 投資規制業種

    VI. 上海經濟의 發展展望과 韓國企業의 對應姿勢

    參考文獻

    附錄
    〈附錄 1〉 上海市 外國人投資 關聯 法規 目錄
    〈附錄 2〉 上海市 各區ㆍ縣ㆍ局 外國人投資項目 審査ㆍ承認機關
    〈附錄 3〉 浦東新區 有關機構
    〈附錄 4〉 上海市 外國人投資 誘致希望項目
    〈附錄 5〉 浦東 進出 日本系企業 目錄(1992년 3월말 현재)
    〈附錄 6〉 上海 駐在 韓國商社 目錄
    국문요약
    90년대에 접어들면서 중국은 80년대의 沿海經濟發展戰略이 심화시킨 지역간 발전격차와 産業構造의 不均衡을 시정하고 國民經濟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과감한 市場經濟 도입과 全面的인 對外開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장 특징적인 현상은 중국의 改革 開放의 중점이 80년대의 廣東 福建을 중심으로 하는 華南地方으로부터 90년대에는 上海를 중심으로 하는 長江流域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중국은 浦東開發이라는 국가차원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上海를 太平洋 연안 최대의 貿易,金融,情報센터로 건설함과 동시에 國內 産業構造의 高度化와 國民經濟의 통합을 유도한다는 원대한 구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즉 중국은 浦東開發을 90년대 改革開放政策의 成敗를 가름하는 척도로까지 간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中國政府의 이와같은 적극적인 支援과 상해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經濟的 잠재력, 地域的 比較優位 등을 감안할 때, 장차 上海가 中國經濟의 핵심지역이 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금까지 山東省, 東北3省 등 渤海灣지역에 집중되어온 우리기업의 中國進出도 앞으로는 上海를 중심으로 한 長江流域으로까지 진출영역을 확대해나가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하겠습니다. 특히 최근 생산코스트의 급격한 상승 등 중국내 投資與件의 變化로 인해 對中進出企業의 內需指向型 투자로의 전환과 投資地域의 多邊化가 시급한 실정이라는 측면에서도 미래의 金融 情報 流通의 중심지로서 중국 內需市場의 動向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상해지역으로의 진출은 더이상 늦출 수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本 報告書는 上海市의 經濟現況과 投資環境을 여러가지 구성요소를 통해 정리하고, 上海經濟의 發展方向과 중국경제에서의 役割을 展望해봄으로써 이에 대한 우리기업의 對應姿勢를 분석한 것으로, 本센터 地域2室의 朴月羅 調査役이 집필하였으며, 원고정리에는 趙和順, 朴順子 硏究助員이 수고해 주었습니다. 아무쪼록 本報告書가 정부의 對中國 經濟協力方案 수립과 상해지역에 관심을 갖고 있는 우리 企業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끝으로 本 報告書의 내용은 필자 個人의 意見이며 本센터의 公式見解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1993년 11월
    對外經濟政策硏究院
    地域情報센터 所長
    姜 興 求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