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36/290
-
Empirical Tests of Comparative Advantage: Factor Proportions, Technology, and Ge..
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최낙균 발간일 2011.08.29
무역구조,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I. Introduction
II. Basic Model and Database
1. Basic Model
2. Estimation Equation and DatabaseIII. Estimation Results
1. Estimation for the Pooled Data
2. Estimation by Regional Groups
3. Estimation by Sectoral Groups
4. Relative Strength of Competing ModelsI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 무역 데이터를 통합한 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세 가지 무역모형 중에서 헥셔 ‒ 오린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중력모형과 리카도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의한 결과에서 부존자원 및 기술격차의 부호가 모형의 예측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거리, 국경, 언어, 식민지, FTA 등 중력모형의 변수들이 무역의 흐름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모형의 설명력은 산업 및 지역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본 요소의 파라메터 추정 부호는 자원집약적 부문의 경우 예상과 다르게 마이너스 부호를 가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기술격차도 산업별 분석에서는 예상과 다르게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선진국, 유럽 국가, 중미 국가 에서 식민지 더미변수의 부호도 예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
-
-
2010 Annual Report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KIEP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연차보고서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KIEP 발간일 2011.06.23
경제발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Policy Analysis/Conference Proceedings/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Regional Study Series/Trade and Investment Study Series/Policy References/Working Papers/CNAEC Research Series/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국문요약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
원문보기목차
연구보고서/세미나자료모음/전략지역심층연구/지역연구시리즈/무역투자연구시리즈/연구자료/Working Paper/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동북아연구시리즈/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
국문요약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
장쑤성(江蘇省) 태양광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날로 심각해져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산업은 차세대 대체에너지원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서 우리나라를 위시한..
노수연 발간일 2011.06.15
산업정책, 에너지산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 태양광산업
1. 태양광산업의 개요
2. 중국 태양광산업의 현황
가.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
나. 주요 정책
제3장 장쑤성 태양광산업
1. 장쑤성 태양광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2. 주요 정책
3. 특징: 타 지역과의 비교
4. 도시간 비교 및 주요 클러스터
5. 소결
제4장 기업사례 분석
1. 썬테크
2. 트리나솔라
3. 썬링크PV
4. GCL
5.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장쑤성 태양광산업을 통해 본 지방정부-기업협력모델
2. 정부에 대한 시사점
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나. 차별화된 태양광산업클러스터의 건설
다.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 확대
3. 기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날로 심각해져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산업은 차세대 대체에너지원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서 우리나라를 위시한 전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우리와 경쟁 및 협력 관계에 있는 중국은 2007년부터 세계 최대의 태양광산업기지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지금까지 해외수출에만 의존하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향후에는 중국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의 확대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중국 태양광산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전반적인 발전 현황과 문제점, 시장잠재력 및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을 소개하는 자료가 많았다. 그러나 중국 지역시장 진출이나 우수로컬기업과의 협력 등 우리 정부 및 기업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특화된 심층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쑤성(江蘇省)을 사례로 중국 태양광산업 및 기업 현황과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7~11월간 3회에 걸쳐 현지조사(난징(南京), 우시(無錫), 창저우(常州), 쉬저우(徐州), 롄윈강(連雲港))를 진행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중국 태양광산업의 현황과 특징, 주요 정책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장쑤성 태양광산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쑤성은 중국 내 태양광산업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이곳에 위치한 태양광업체 중 6개사가 해외상장을 하는 등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태양전지의 경우 중국의 70%, 전 세계 생산량의 25%가 이곳에서 생산된다. 또한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태양광산업가치사슬의 모든 분야가 상대적으로 골고루 발전하였으며, 풍부한 생산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지역에만 기업들이 집중되어 있고, 각 도시에서 경쟁적으로 앵커기업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 형성에 몰두하고 있어 지역 내 과당경쟁의 우려가 있다. 4장에서는 썬테크, 트리나솔라, 썬링크PV, GCL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기업의 성장에서 기업가 정신과 지방정부의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입증했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태양광산업 및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부는 첫째, 중소․벤처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각종 방안을 마련하고, 둘째, 지역별로 차별화된 태양광클러스터를 구축하며, 셋째,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을 확대할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기업의 경우 태양광산업 가치사슬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해 경쟁력 있는 부분은 한국에서 직접 수출하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은 M&A나 신규법인 설립 등을 통한 중국 현지투자를 적극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태양광 시장 진출이나 중국 태양광업체와 협력을 추진하는 데 지역별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장쑤성 내에서도 도시별 강점을 고려해야 한다. -
2010 CRES Visiting Scholar's Paper Series
세계지역연구센터는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방문학자 프로그램을 2008년도부터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각국의 유수한 학자와 지역연구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구성과와 정보를 공유함으로..
Yang-Hee Kim ed. 발간일 2011.05.30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Acknowledgement
Contributors
1. The Sphere of Services as the Main Factor of Maintenance Employment and a Diversification of Economy of Uzbekistan / Tagaev Behzod
Introduction
Body
Conclusions
2. Education for Development: India and East Asia / Shovan Ray
Introduction
Literacy Imperatives Around the World: A Brief Sketch
The Chinese Experience
Prologue on Japan
Taiwanese Experience
The South Korean Experience
The Indian Experience
Contributions to Endogenous Growth Theory and HumanDevelopment
Conclusions
3.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urkey:Challenges, Opportunities and Economic Cooperation / Mahmut Tekce
Introduction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urkey
Turkey’s Trade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EU’s Free TradeAgreements
Effects of Korea-Turkey FTA: Risks and Opportunities
Potential Exports to Korea for Turkish Products
Beyond a Free Trade Agreement: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urkey
Conclusion
4. ASEAN Economic Community: Prospect for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in East Asia / Umi Karomah Yaumidin
Introduction
ASEAN Economic Community
The Prospectus of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Future Implications for Indonesian and Korean Monetary and Fiscal Management
Concluding Remarks
5. Cross-Strait ECFA Should be the Stepping Stone for Taiwan Joining in the East Asia Economic Integration / Chaw-Hsia Tu
Introduction
Economic Thinking of ECFA and the Possible Impacts on Cross-Strait Relations
ECFA and the Economic Effects on Taiwan
Policy Implications for other East Asia Countries
Conclusions
6. Korea's FT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Korean Wine Market / Timothy John Beal
Introduction
Korea's FT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Korean Wine Market
Conclusion
7. Korean Trade and Political Risk / Whitney Haring-Smith
Introduction
International Country Risk Ratings
Korea’s County Rating Systems
Comparison of Korea ExIm Bank Rating System to International Rankings
Korea’s Increasing Exposure to Country Risk
The Export-Import Risk Gap
Korean FDI Exposure
Case Study Review
POSCO in India
Daewoo Logistics in Madagascar
Conclusions
8. Research on Exit and Transformation of China’s Economical Stimulus Policies in the Post-Crisis Era / Du Feilun
Introduction
China’s Macroeconomic Stimulus Policies after the InternationalFinancial Crisis
The Conditions of China’s Economic Stimulus Polices Exit
The Route of China’s Economic Stimulus Polices Exit
The Direction of China’s Economic Policies Transformation in the Post-Crisis Era
Conclusion
9. Research on the Urbanization Problem of South Korea / Huang Zhengxue
Introduction
The Phase of Urbanization Development
To Upgrade Industrial Structur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Urban Hierarchical System
To Enhance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Coordinated Develop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o Play the Role of Government
Conclusion국문요약세계지역연구센터는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방문학자 프로그램을 2008년도부터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각국의 유수한 학자와 지역연구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구성과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협력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CRES Visiting Scholar’s Paper Series’는 이 프로그램의 하나의 성과물로서 이를 통하여 지역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합니다. -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전략과 시사점
본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일본 정부와 기업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을 분석하고 우리 정부와 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기업이 자국의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
김규판 외 발간일 2011.05.20
경제개발,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의의
2. 연구의 특징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범위 및 구성
제2장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강화 전략의 배경
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신흥시장의 부상
가. 급속한 아시아 신흥시장의 경제성장
나. 아시아 신흥국의 인프라 수요
다. 아시아 신흥국의 중간 소득층 확대
라. 일본의 해외직접투자에서 아시아 지역의 중요성 확대
2. 일본 내수시장의 한계
제3장 일본정부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
1. 신성장전략상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
2. 인프라 수출 전략
가. 일본정부의 인프라 수출 전략
나. 주요 분야별 추진 성과
3. BOP 비즈니스 지원정책
가. BOP 비즈니스의 개념과 사례
나. 일본정부의 BOP 비즈니스 지원정책
제4장 일본정부의 아시아 광역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
1. 아시아종합개발계획(CADP)
가. 추진 경위
나. 개요
2. 인도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MIC) 프로젝트
가. 추진 경위
나. 추진 현황
3. 인도네시아 경제회랑(IEDC) 프로젝트
가. 추진 경위
나. 개요
제5장 일본기업의 아시아 신흥시장 투자전략 변화
1. 전통적 일본기업 비즈니스 모델의 위기
2. 일본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전략 변화
가. 기존 일본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전략
나. 일본 제조업체의 신흥시장 진출 전략 수정방향
다. 일본 서비스업계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확대
제6장 평가와 시사점
1. 요약 및 평가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일본 정부와 기업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을 분석하고 우리 정부와 기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기업이 자국의 내수시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협력 방식으로 거국적으로(‘All Japan’) 아시아 신흥국 진출 전략을 강화한다면, 이는 우리에게 새로운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첫째, 왜 일본 정부와 기업이 기존 해외전략을 수정하고자 하는지 그 배경을 살펴보고, 둘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시아 신흥국 진출 전략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며, 셋째 이와 같은 전략 수정이 과연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장 ‘일본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강화 전략의 배경’에서는 일본 정부와 기업이 아시아 신흥시장에 주목하는 이유를 신흥국 시장의 부상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일본 내수시장의 한계라는 내부적 요인에서 찾고 있다. 제3장 ‘일본정부의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에서는 2010년 6월 민주당 내각이 각의결정(閣議決定)한 ‘신성장전략’ 중에서 아시아 신흥국 진출 전략의 일환인 ‘패키지형 인프라 해외진출’ 전략과 2009년부터 일본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BOP(Base or Bottom of the Economic Pyramid, 저소득층) 비즈니스 지원정책’을 정리․분석한다.
이어 제4장 ‘일본정부의 아시아 광역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에서는, 일본정부가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아시아종합개발계획(CADP), 인도의 델리․뭄바이 산업회랑(DMIC) 프로젝트, 인도네시아 경제회랑(IEDC) 개발계획을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다. 제5장 ‘일본기업의 아시아 신흥시장 전략 변화’에서는 일본기업의 전통적 비즈니스 모델이 위기에 처했다는 진단하에, 어떻게 아시아 신흥시장 진출 전략을 수정하고 있는지 저가전략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전략 달성을 위해 어떠한 세부전략을 추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6장 ‘평가와 시사점’에서는 일본 정부와 기업의 신흥국 진출 전략을 정리․평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전략 변화가 우리 정부와 기업에 시사하는 점이 무엇인지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키지형 인프라 수출 전략으로 표현되는 일본정부의 인프라 수출 강화 전략은 분명 우리에게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해 경쟁과 협력 전략이 동시에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해, 아시아 신흥국의 원전수주나 고속전철 부설 등과 같은 인프라 부문의 수주경쟁에서 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경쟁전략이 필요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일본과의 협력진출을 검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둘째, 일본정부가 ASEAN 국가 및 인도와 추진 중인 지역협력 프로그램에서 일본기업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우리의 인프라 수출 역시 이와 같이 기업진출을 연계하는 관점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일본정부의 BOP 비즈니스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는 우리의 유관 정부부처와 국책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BOP 비즈니스 참여기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고, BOP 비즈니스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시장수요 파악, 정보제공, 세미나 실시, 매칭 지원 등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본기업의 저가전략 강화는 전자산업은 물론 자동차산업 등으로 업종을 넓혀 더욱 확대될 전망이므로, 이에 대해 우리 기업은 브랜드에 대한 홍보 강화, 현지화전략 강화, 현지인의 수요를 반영한 제품개발 등의 방식으로 적극 대응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