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210/290
-
Korea’s Five Years in the OECD: FINDING A NEW PATH
제2회 한국-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의는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우리가 이번 세미나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두 가지다. 첫째로,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으로서 지난 5년 동안의 성과를 평..
안형도 발간일 2001.12.30
경제개발, 경제발전원문보기목차OPENING sessionxx
Opening Remarks
Doo-Yun Hwang
Keynote Speech
Soogil Young
William Witherell
sessionxx I. OECD's Contribution to Korea's Economic Policy Formulation
Presentation
· Korea and the OECD: A Partnership for Creating a More Market-Oriented
Economy
Randall S. Jones
· Korea's Five Years as an OECD Memb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s
Economic Reform
Byong-Won Bahk
· OECD/CLP and the KFTC, Interaction and Vision
Joseph Seon Hur
Comment
Yong-Kyun Cho
Kyung-soo Kim
Young-Ki Lee
DoHoon Kim
sessionxx II. Structural Adjustment and Systemic Risks
Presentation
· Structural Adjustment and Systemic Risk
Wolfgang Michalski
· Structural Adjustment and Systemic Risk: Financial Sector Issues
Caroline Atkinson
· Korea's Financial Reform: A Systemic Risk Approach
Jang-Young Lee
Comment
Paul F. Gruenwald
Yunjong Wang
Chungsoo Kim
Moon-Soo Kang
sessionxx III. Sustainable Growth and the Role of Human Capital
Presentations
· The Role of Human Capital in Long-term Economic Growth
Barry McGaw
·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Visions and Strategies
Soobong Uh
Comment
Hyehoon Lee
Deok soo Kong
Jong-Wha Lee
Kisung Lee
Sung Whan Choi
CLOSING sessionxx
Closing Remarks
William Witherell
Kyung Tae Lee
국문요약제2회 한국-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의는 한국의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우리가 이번 세미나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두 가지다. 첫째로,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으로서 지난 5년 동안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래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확인하는 데 있다. 둘째로, 경제협력개발기구가 선두적 역할을 해왔던 국제경제 주도권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이해를 넓히는 데 있다. -
병행수입에 대한 WTO TRIPS논의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받는 제품이 어떤 한 국가에 수입되어 판매되는 경우 두가지 유통 경로가 있을 수 있다. 통상 우리가 알고 있는 정규적인 유통 경로는 원 지적재산권 소유자가 직접 수입하여 판매를 하거나 지적재산권을 전용 또는 독점적으로..
윤미경 외 발간일 2001.12.30
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공중보건과 병행수입에 대한 WTO에서의 논의
1. TRIPS이사회에서의 논의
2. 도하 각료회의에서의 결정 사항
3. 공중보건과 병행수입의 관계
제3장 병행수입에 대한 이해
1. 병행수입의 정의 및 유형
2. 병행수입에 대한 법적 접근
3. 병행수입에 대한 경제적 접근
제4장 주요국의 관련 제도
1. 한국
2. 미국
3. EU
4. 일본
5. 개도국
6. 기타국
제5장 결론
1. 병행수입 허용요건에 대한 고찰
2. TRIPS협정: 향후 논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국문요약지적재산권으로 보호받는 제품이 어떤 한 국가에 수입되어 판매되는 경우 두가지 유통 경로가 있을 수 있다. 통상 우리가 알고 있는 정규적인 유통 경로는 원 지적재산권 소유자가 직접 수입하여 판매를 하거나 지적재산권을 전용 또는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이양 받은 전용사용권자를 통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이렇게 판매되는 수입품과 경쟁적으로, 그리고 병행으로 형성되는 유통 경로를 병행수입(parallel import)이라 하는데, 이 경우 병행수입업자는 외국에서 적법하게 판매된 동일한 제품을 구매하여 원 소유자나 국내의 전용사용권자의 동의 없이 국내로 적법한 절차를 통하여 수입, 판매한다. 이 경우 병행수입품이 수입국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하는지가 문제가 되는데 이 문제는 지적재산권이 어느 시점에서 소멸되는가 하는 권리소진 문제와 관련이 있다. (생략) -
북한의 경제회복을 위한 자본수요 추정과 적정 투자방향의 모색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현재 경제상황을 자신의 능력으로는 성장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되는 빈곤함정에 빠진 경제로 간주하고 있다. 빈곤함정에 빠진 경제란 국내의 생산수준이 너무 낮아서 국내저축으로 자본의 감가..
윤덕룡 외 발간일 2001.12.30
북한경제원문보기목차I. 서론
II. 북한의 경제환경
1. 북한경제의 현실
2. 북한경제 침체의 원인
3. 빈곤함정에 빠진 북한경제
III. 이론적 분석을 통한 북한의 자본수요 및 적정투자방향 추정
1. 북한의 경제회복을 위한 자본수요 추정
2. 북한의 산업별 성장 기여도에 따른 적정 투자방향
3. RCA를 통해서 본 북한의 경쟁력 변화와 투자방향
IV. CGE분석을 통한 북한의 자본수요 및 적정투자방향 추정
1. CGE 모형
2. 북한의 사회회계 행렬
3. CGE 모형의 구성
4. 분석 결과
V. 분석결과의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3. 맺음말국문요약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현재 경제상황을 자신의 능력으로는 성장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되는 빈곤함정에 빠진 경제로 간주하고 있다. 빈곤함정에 빠진 경제란 국내의 생산수준이 너무 낮아서 국내저축으로 자본의 감가상각을 보전하지 못하는 경제를 뜻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없으면 이러한 경제는 계속해서 더 가난해 지거나 아니면 소위 빈곤속의 균형이라는 지점에 도달하여 계속 가난 속에서 살게 된다. (생략) -
APEC 무역원활화의 경제적효과
APEC은 1989년 출범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무역원활화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나 초기 10년간 APEC TILF(Trade and Investment Liberalization and Facilitation) 활동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관세인하를 주요수단으로 하는 무역자유화에 보다 많은 인..
김상겸 외 발간일 2001.12.30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APEC 무역ㆍ투자 자유화 및 원활화 (TILF) 논의 동향
1. APEC의 TILF 논의 전개과정
2. 무역 원활화 관련 논의 동향
제3장 무역원활화와 국제무역
1. 무역원활화의 개념
2. 무역원활화와 국제무역: 이론적 접근
3. 무역원활화의 실증분석 사례
제4장 무역원활화의 경제적 영향 분석
1. 설문조사 결과 분석
2. 무역원활화의 교역 증대효과
3. APEC 무역원활화의 효과: 한국의 사례분석
제5장 요약 및 결론
【별 첨 1】Shanghai Accord
【별 첨 2】APEC Principles on Trade Facilitation
【별 첨 3】설문지 양식
【부
록】
참고문헌
국문요약APEC은 1989년 출범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무역원활화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나 초기 10년간 APEC TILF(Trade and Investment Liberalization and Facilitation) 활동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관세인하를 주요수단으로 하는 무역자유화에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자해왔다. 또한 1994년 제2차 정상회의시 역내 선진국은 2010년, 개도국은 2020년까지 무역 및 투자자유화를 달성한다는 보고르목표가 설정된 이후에도 APEC은 관세인하 분야에서 상당한 자유화의 성과를 거두었다. (생략) -
주요국의 서비스업 시장개방현황과 WTO 뉴라운드 서비스협상
우리 경제가 지향하는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에 관건이 되는 생산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서비스교역의 자유화가 관건이 된다. 이는 서비스업의 개방은 상당부분이 외국업체가 국내에 자회사나 지사를..
김준동 외 발간일 2001.12.30
경제개방,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통신서비스
1. WTO 통신서비스 협상 동향 및 전망
2. 국내 및 주요국 통신서비스 시장의 개방현황
3. 향후 통신서비스 협상에의 시사점
제3장 환경서비스
1. WTO 환경서비스 협상 동향 및 전망
2. 국내 및 주요 진출대상국 환경서비스 개방 현황
3. 향후 협상에 대한 시사점
제4장 에너지서비스
1. WTO 에너지서비스협상 동향 및 전망
2. 주요국 에너지서비스 개방 현황
3. 향후 에너지서비스협상의 정책적 시사점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서비스 분야별 시장현황
I. 통신서비스
1. 세계 통신서비스의 산업동향
2. 한국 및 주요국 통신서비스시장의 현황 및 전망
Ⅱ. 환경서비스
1. 세계 환경서비스 산업동향
2. 한국 및 주요 진출 대상국 환경서비스 시장 현황
Ⅲ. 에너지서비스
1. 세계 에너지산업 동향
2. 주요국 에너지시장의 현황 및 전망국문요약우리 경제가 지향하는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에 관건이 되는 생산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서비스교역의 자유화가 관건이 된다. 이는 서비스업의 개방은 상당부분이 외국업체가 국내에 자회사나 지사를 설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진기술을 가진 외국업체의 진출 자체가 국내 서비스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WTO 뉴라운드 서비스협상은 우리 경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는 우리의 교역상대국의 시장을 개방시킴으로써 우리 서비스산업의 대외진출에도 기여하게 된다. (생략) -
국제관세의 비교분석 및 부문별 무세화협상의 경제적 효과
주요국의 관세제도 및 관세율구조에 대해 국제비교해 보면, 한국의 경우 사용빈도가 적은 종량세가 여러나라에서 상당한 정도로 이용되고 있다. OECD(1999)의 서베이 대상이 된 28개국 중에서 OECD 회원국의 대부분은 전체품목 중 약 95%, 비회원국..
최낙균 외 발간일 2001.12.30
관세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론
2. UR 공산품협상의 평가 및 시사점
제2장 주요국 관세제도의 비교분석
1. 종량세 제도
2. 비율과세
3. 계절관세 제도
4. 관세할당
제3장 주요국 관세율구조의 비교분석
1. 개관
2. 우리나라의 관세율구조
3. 주요국의 관세율 구조 비교 분석
제4장 request/offer 대상 품목의 통계분석
1.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및 분석방법론
2. 한국의 주요교역상대국에 대한 관세인하 요청 품목 분석
3. 주요교역상대국의 한국 관세인하 요구품목 분석
제5장 부문별 무세화협상의 경제적 효과
1. 데이터베이스 및 연구방법론
2. 부문별 무세화협상의 효과 분석
제6장 요약 및 정책시사점
1. 관세제도 및 관세율구조의 국제비교
2. 국별ㆍ품목별 협상방식 채택시 협상전략
3. 부문별 무세화협상의 효과 분석 및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국문요약주요국의 관세제도 및 관세율구조에 대해 국제비교해 보면, 한국의 경우 사용빈도가 적은 종량세가 여러나라에서 상당한 정도로 이용되고 있다. OECD(1999)의 서베이 대상이 된 28개국 중에서 OECD 회원국의 대부분은 전체품목 중 약 95%, 비회원국은 거의 100%가 종가세 체제이다. 일반적으로 농산품에 종량세가 많이 분포하지만, 미국과 일본은 공산품 관세항목 대비 각각 4.2%, 3.5%에 대해 비종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EU, 캐나다, 호주는 각각 0.5%, 0.3%, 0.8%에 대해 비종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경우 비종가세 항목 비중이 0.2%로 Quad 국가들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그런데, 종량세의 보호효과(the protective impact)는 수입된 제품의 단위 가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측정하기가 어려우며, 동일한 관세항목하에 있는 비싼 제품 보다 싼 제품에 대해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현행 WTO규정에 따르면 각회원국은 종량세든 종가세든 어느 정도 투명성만 확보된다면 이의 선택은 각회원국에 맡겨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은 실질적으로 보호코자 하는 품목, 특히 저가수입품에 대한 산업보호를 모색하는 경우에는 종량세의 도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생략) -
WTO 무역분쟁의 추이와 한국관련 분쟁사안에 대한 종합평가 및 정책시사점
한국이 1980년대 후반기 경상수지흑자를 기록하면서 주요국으로부터 시장개방을 위한 통상압력을 받아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TO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4년까지 한국과 관련되어 GATT에 공식 제기된 무역분쟁은 거의 없었다..
채욱 외 발간일 2001.12.30
무역분쟁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국제무역분쟁의 추이 및 특징
1. 분쟁 및 분쟁해결 현황
2. 주요 분쟁 분야 및 원인
3. 분쟁 및 분쟁해결의 특징
제3장 한국관련 무역분쟁의 현황과 전망
1. 분쟁 및 분쟁해결 현황
2. 주요 분쟁 분야 및 원인
3. 향후 무역분쟁의 전망
제4장 한국관련 주요분쟁사례 및 평가
1. 주요 분쟁사례
2. 종합평가 및 시사점
제5장 정책과제
1. 대외적 추진과제
2. 대내적 추진과제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국문요약한국이 1980년대 후반기 경상수지흑자를 기록하면서 주요국으로부터 시장개방을 위한 통상압력을 받아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TO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4년까지 한국과 관련되어 GATT에 공식 제기된 무역분쟁은 거의 없었다. 1993년 폴리아세탈수지에 대한 한국의 반덤핑 조치에 대해 미국이 제소한 바가 있고, 그 이전에는 1988년에 미국, 호주, 뉴질랜드 등이 각각 한국의 쇠고기 수입제한조치에 대해 GATT에 제소한 것이 GATT시대를 통틀어 다자차원에서 제기된 한국관련 무역분쟁의 전부였다. (생략) -
핀란드의 정보사회화 전략과 정보통신산업 발전요인 분석
2000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미국의 정보통신산업 침체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정보통신산업이 침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닷컴거품론이 확산되면서 정보통신산업의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박영곤 발간일 2001.12.30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핀란드의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과 정보사회화 전략
1.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
2. 정보사회화 전략
제3장 핀란드의 정보통신산업 현황
1. 정보사회화 현황
2. 정보통신산업 현황
제4장 핀란드의 정보통신산업 성공요인과 지원정책
1. 정보통신산업의 성공요인
2. 정부의 지원정책
제5장 결론 및 시사점국문요약2000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미국의 정보통신산업 침체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정보통신산업이 침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닷컴거품론이 확산되면서 정보통신산업의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독일, 중국, ASEAN 등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정보통신산업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지속되고 있다. 이는 대다수 국가들이 정보통신산업을 21세기 주력 기반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생략) -
EU확대와 한국의 대응전략: CGE모형분석을 중심으로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회원국 확대라는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를 맞고 있다. 애초 1957년 유럽경제공동체(European Economic Community)의 창설 이후, 수차에 걸쳐 회원국을 확대해 오던 EU가 수년전부터 EU에의 가입을 희망해 오던 ..
이종화 외 발간일 2001.12.30
경제통합원문보기목차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중·동구국가들의 EU가입 전망과 교역관계
1. 중·동구 국가들의 EU가입 현황과 전망
2. EU-중동구와의 교역현황
3. 한-EU 교역 및 투자 현황
4. 한-중·동구 교역현황
Ⅲ. EU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
1. EU의 주요 교역장벽
2. EU의 지역주의 정책
3. EU확대의 제3국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IV. CGE모형의 구성과 EU확대 시나리오
1. 무역자유화의 효과와 측정방법
2. 독점적 경쟁
3. 모수의 설정과 EU확대 시나리오
V. EU확대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1. 거시 경제적 영향
2. 후생의 변화 요인
3. 산업별 분석
4. 민감도 분석과 CGE모형의 추정과정
ⅤI. 정책적 시사점
1. EU확대에 대한 한국 산업의 대응
2. FTA의 필요성
VII. 결론
<참고문헌>
<부록1> 각 국가간 관세장벽
<부록2> 일반균형연산모형의 주요 방정식 체계국문요약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회원국 확대라는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를 맞고 있다. 애초 1957년 유럽경제공동체(European Economic Community)의 창설 이후, 수차에 걸쳐 회원국을 확대해 오던 EU가 수년전부터 EU에의 가입을 희망해 오던 중동구 국가들과의 통합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EU에의 가입을 희망하는 국가들은 10개의 중·동구국가들(Central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CEECs)과 사이프러스, 말타, 터키 등 모두 13개국에 이르며, 이들 모두와 가입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같은 대규모적인 EU의 확대는 전례없는 것으로 EU에게는 물론 이들 가입희망국 모두에게 상당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생략) -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발전과 정부의 지원정책
최근 전세계적인 정보통신산업 침체와 함께 한국의 정보통신산업도 침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Nokia TMC, 한국 HP, 한국 IBM, 컴팩코리아 등 세계적인 외국기업들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확대되고 있고,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박영곤 발간일 2001.12.30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제2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과 정보사회화 전략
1. 정보통신산업 성장배경
2. 정보사회화 전략
제3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현황
1. 정보사회화 현황
2. 정보통신산업 현황
제4장 아일랜드의 정보통신산업 성공요인과 정부의 지원정책
1. 정보통신산업의 성공요인
2. 정부의 지원정책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최근 전세계적인 정보통신산업 침체와 함께 한국의 정보통신산업도 침체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Nokia TMC, 한국 HP, 한국 IBM, 컴팩코리아 등 세계적인 외국기업들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확대되고 있고,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정보통신산업을 발전시킨 아일랜드의 성공사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의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