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89/290

  • ASEAN+3(한·중·일) 경제동향 및 한국과의 경협 현황
    ASEAN+3(한·중·일) 경제동향 및 한국과의 경협 현황

    ASEAN+3(한·중·일)는 1980년대 중반이후 고도성장을 시현하여 세계경제성장 센터로 부상한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동북아의 한국,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일본, 개혁개방정책이후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중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3년 말 ..

    정재완 외 발간일 2004.11.2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Ⅰ. ASEAN+3의 경제현황
    1. ASEAN+3의 경제적 위상
    2. ASEAN+3 역내의 경제 동향

    Ⅱ. ASEAN+3 회원국의 국별 경제동향
    1. ASEAN
    2. 한중일

    Ⅲ. ASEAN+3 협력체제
    1. 추진 배경
    2. 추진 현황
    3. 추진성과 및 전망

    Ⅳ. 한국과의 경제관계
    1. 교 역
    2. 투 자
    3. 공적개발원조
    국문요약
    ASEAN+3(한·중·일)는 1980년대 중반이후 고도성장을 시현하여 세계경제성장 센터로 부상한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동북아의 한국,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일본, 개혁개방정책이후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한 중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3년 말 현재 인구면에서는 12억 9,300만 명의 중국을 비롯 총 20억 1,060만 명이 거주, 전세계 인구의 31.9%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제규모는 2003년 현재 7조 달러로, 일본의 장기침체와 달러화 대비 지역 통화의 상대적인 약세 등으로 조금 줄어들었지만 전세계 GDP의 19.3%를 차지하고 있다. (생략)
  •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Imperfections: Evidence from Geographical Features ..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Imperfections: Evidence from Geographical Features ..

    실질경기변동이론에 따르면 국제자본시장이 완전할수록 국가간의 소비증가율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야 하며 소비의 상관계수가 생산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야 한다. 이에 대한 논리는 다음과 같다. 국제자본시장이 존재하고 한 국가의 개인..

    오용협 발간일 2004.11.15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Consumption risk sharing: specification

    III. Consumption correlation and output correlation for the world

    IV. Consumption risk sharing for 27 countries in the world

    V. Regional features

    VI. Concluding remarks

    Appendix: Data

    References
    국문요약
    실질경기변동이론에 따르면 국제자본시장이 완전할수록 국가간의 소비증가율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나야 하며 소비의 상관계수가 생산의 상관계수보다 높게 나타나야 한다. 이에 대한 논리는 다음과 같다. 국제자본시장이 존재하고 한 국가의 개인이 다른 국가의 자산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면 국제자본시장을 구성하는 국가의 개인들은 이 자본시장에 존재하는 자산에 대한 투자로 얻는 이익이나 손실을 공유하게 된다. (생략)
  • 對중남미 경제협력 중장기 전략
    對중남미 경제협력 중장기 전략

    우리나라의 對중남미 경제협력정책 여건은 1990년대와 크게 다르다. 즉, 우리나라는 최초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칠레와 체결, 발효시켰으며, 지난 1987년부터 추진해온 미주개발은행(IDB)에의 가입을 목전에 두고 있고, 중국경제의 부상에 따른 국..

    김원호 외 발간일 2004.11.1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Ⅰ. 對중남미 경제협력 중장기 전략

    Ⅱ. 한-아르헨티나 경제협력 강화방안

    Ⅲ. 한-브라질 경제협력 강화방안

    Ⅳ. 한-칠레 경제협력 강화방안
    국문요약
    우리나라의 對중남미 경제협력정책 여건은 1990년대와 크게 다르다. 즉, 우리나라는 최초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칠레와 체결, 발효시켰으며, 지난 1987년부터 추진해온 미주개발은행(IDB)에의 가입을 목전에 두고 있고, 중국경제의 부상에 따른 국제원자재 가격의 급상승을 경험하고 있으며, 동아시아-중남미지역의 정부간 회의인 동아시아중남미협력포럼(FEALAC)의 지역의장국 지위를 수임한 상태다. (생략)
  • Impacts of Exchange Rates on Employment in Three Asian Countries: Korea, Malaysi..
    Impacts of Exchange Rates on Employment in Three Asian Countries: Korea, Malaysi..

    환율의 변동은 산업내 그리고 산업간 고용의 이동을 초래한다. 환율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로는 Grourinchas(1998), Burgess and Knetter(1998), Klein and Triest(2000), 그리고 Campa and Goldberg(2001) 등이 있다. 기존 연구들..

    김완중 외 발간일 2004.11.05

    환율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Rates and Employment
    III. Model Specification and Data
    IV. Estimation Results
    V. Summary and Conclusion
    국문요약
    환율의 변동은 산업내 그리고 산업간 고용의 이동을 초래한다. 환율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로는 Grourinchas(1998), Burgess and Knetter(1998), Klein and Triest(2000), 그리고 Campa and Goldberg(2001) 등이 있다. 기존 연구들은 미국 그리고 일본 등 선진국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생략)
  • 한·멕시코 경제협력 정책과제
    한·멕시코 경제협력 정책과제

    본 보고서의 각 장은 멕시코의 무역다변화전략 활용과 對중국 경쟁력 향상 필요성에 부응한 경제ㆍ통상협력정책을 기본전제로 하여 농업, 첨단과학기술, 에너지 및 환경, 항공운송 및 관광산업부문에서의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통한 윈-윈 전략 마련..

    김원호 발간일 2004.10.15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서언

    제1장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1. 멕시코의 경제현황
    2.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현황
    3. 한ㆍ멕시코 경제협력 증진과제

    제2장 한ㆍ멕시코 농업부문 협력
    1. 머리말
    2. 한국과 멕시코의 농업구조 비교
    3. 멕시코의 농업 생산
    4. 멕시코의 농산물 무역
    5. 한ㆍ멕시코 농산물 교역
    6. 한ㆍ멕시코 농업협력 방향

    제3장 한ㆍ멕시코 첨단과학기술산업 협력
    1. 머리말
    2. 첨단과학기술의 정의 및 종류
    3. 한국의 첨단과학기술 현주소
    4. 한국의 첨단과학기술 육성책
    5. 멕시코의 첨단과학기술 현주소
    6. 멕시코의 첨단과학기술 육성책
    7. 한ㆍ멕시코 첨단과학기술 협력 현황
    8. 협력 증진방안

    제4장 한ㆍ멕시코 에너지 및 기후변화협약부문 협력
    1. 서론
    2. 양국의 에너지 및 기후변화협약 관련 현황
    3. 양국의 에너지 및 기후변화협약 대응정책
    4. 양국 에너지 및 기후변화협약부문 협력 현황
    5. 양국간 협력 증진방안
    6. 결론

    제5장 한ㆍ멕시코 항공운송 및 관광산업 협력
    1. 서론
    2. 멕시코의 항공운송산업 현황
    3. 멕시코의 관광산업 현황
    4. 결론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본 보고서의 각 장은 멕시코의 무역다변화전략 활용과 對중국 경쟁력 향상 필요성에 부응한 경제ㆍ통상협력정책을 기본전제로 하여 농업, 첨단과학기술, 에너지 및 환경, 항공운송 및 관광산업부문에서의 상호 보완적인 협력을 통한 윈-윈 전략 마련에 초점을 두었다. (생략)
  • 1990년대 이후 중동의 경제개혁
    1990년대 이후 중동의 경제개혁

    1970년대에 막대한 오일달러 덕분에 고성장을 달성했던 중동국가들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제유가가 급락하자 극심한 성장 정체와 거시경제적 불안정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산유국뿐만 아니라 비산유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는데, 이는 ..

    박복영 발간일 2004.10.10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제2장 경제개혁의 배경
    1. 중동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2. 1980년대 이후 국내경제의 악화
    3. 외부적 요인

    제3장 경제개혁의 방향
    1. 개관
    2. 재정건전화
    3. 민영화
    4. 금융 및 외환제도 개혁
    5. 무역자유화

    제4장 경제개혁 이후의 거시경제적 성과 분석
    1. 평가방법
    2. 경제성장률의 변화
    3. 물가상승률의 변화
    4. 재정수지의 변화
    5. 국제수지의 변화
    6. 환율의 변화

    제5장 주요국의 경제개혁 사례연구
    1. 요르단의 민영화정책
    2. 이집트의 환율제도 개혁

    제6장 평가 및 시사점
    1. 평가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표. 중동국가의 주요 지표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1970년대에 막대한 오일달러 덕분에 고성장을 달성했던 중동국가들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제유가가 급락하자 극심한 성장 정체와 거시경제적 불안정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산유국뿐만 아니라 비산유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는데, 이는 비산유국 역시 인접한 산유국 경제에 크게 의존하면서 산유국과 유사한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1980년대의 경험은 중동국가들에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 중반 이후 세계화의 진전, WTO의 탄생과 세계무역질서의 변화, 경제통합 추세의 강화, 냉전체제의 해체 등과 같은 국제경제질서의 변화도 중동에서 경제개혁을 촉진한 배경이 되었다. (생략)
  • 리비아 경제제재 해제와 건설시장 확대방안
    리비아 경제제재 해제와 건설시장 확대방안

    리비아는 장기간에 걸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인해 경제회복 또는 재건의 기회를 상실한 채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 왔다. 1980년대 말 발생한 두 건의 민간항공기 폭파사건에 리비아가 연루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1992년부터 유엔의 광범위한..

    박영호 발간일 2004.10.10

    경제발전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경제제재 해제와 리비아 경제환경의 변화
    1. 경제제재 해제와 의의
    2. 미국의 경제제재 완화 배경
    3. 경제제재 해제에 따른 리비아 경제환경의 변화

    제3장 우리 건설업체의 진출확대 방안
    1. 리비아 건설시장 규모와 특징
    2. 우리 건설업체의 수주확대 방안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국문요약
    리비아는 장기간에 걸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인해 경제회복 또는 재건의 기회를 상실한 채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 왔다. 1980년대 말 발생한 두 건의 민간항공기 폭파사건에 리비아가 연루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1992년부터 유엔의 광범위한 경제제재를 받아왔으며, 더욱이 1996년에는 미국의「이란ㆍ리비아 제재법」(ILSA)이 발효되어 리비아의 석유개발을 제한함으로써 1970년대 초반 당시 330만 배럴에 달했던 원유생산이 절반수준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그 결과 리비아경제는 마이너스 또는 저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재정부족으로 각종 개발계획을 중단 또는 연기하는 등 정상적인 경제운영이 불가능하였다. (생략)
  • A Critical Assessment of India’s Banking Sector Reform
    A Critical Assessment of India’s Banking Sector Reform

    금융산업, 특히 은행부문의 발전은 일국경제의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하는 핵심 요인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기초하여 인도정부는 1991년 외채위기 이후 은행부문의 개혁을 가장 중요한 경제정책 중 하나로 추진해오고 있다. (생략)

    유태환 발간일 2004.10.04

    금융제도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The Evolution of the Indian Banking Sector
    1. Pre-Reform Period
    2. Post-Reform Period

    III. The Implication of Reforms on the Structure of the Banking Sector

    IV. Conduct of the Banking Sector in Background of Reforms
    1. Reserve Ratios Reduction and the Interest Rate Deregulation
    2. Capital Adequacy and Non-Performing Assets
    3. Branch Operation

    V. Performance of Banking Groups
    1. Reforms and Operation Achievement
    2. Measuring Return on Assets and Intermediation Costs
    3. Evolution of Costs and Profitability

    VI. Conclusion

    References 40
    국문요약
    금융산업, 특히 은행부문의 발전은 일국경제의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하는 핵심 요인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기초하여 인도정부는 1991년 외채위기 이후 은행부문의 개혁을 가장 중요한 경제정책 중 하나로 추진해오고 있다. (생략)
  •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냉전의 종식과 함께 동북아 경제협력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는 1990년대에 동북아 지역내 교역과 투자의 괄목할만한 증가로 나타났다. (생략)

    김윤형 외 발간일 2004.09.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Part I Rationale for Enhancing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Some
    Possible Options
    1. Rationale for Institutionalizing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Some Possible Options-3
    2. Reflections on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 33
    3. Rationale for Enhancing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ion and Some
    Possible Options:
    A European Perspective - 65

    Part II Toward Formal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Beginning with a
    Bilateral FTA
    4. Toward Formal Economic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Beginning with a
    Bilateral FTA - 115
    5. A Bilateral or Trilateral FTA? - 137
    6. Emerging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 in Northeast Asia: Building
    Blocs and Stumbling
    Blocs - 163

    Part III Investment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7. Toward Northeast Asian Production Networks - 195
    8. Need for Developing Financing and Policy Initiatives in Northeast Asia
    - 229
    9. Need for Developing Financing and Policy Initiatives in North Korea -
    253

    Part IV Financi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10. Monetary and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The Chiang Mai
    Initiative and Beyond - 295
    11. Toward an Asian Currency Union - 311

    Part V Major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Comments - 379
    국문요약
    냉전의 종식과 함께 동북아 경제협력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는 1990년대에 동북아 지역내 교역과 투자의 괄목할만한 증가로 나타났다. (생략)
  • Revisiting the Open Regionalism of APEC
    Revisiting the Open Regionalism of APEC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내 협력은 경제적인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공히 특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까지는 역내 국가들은 무역블록 형성에 반대하면서 다자간 무역체제를 지지해왔으며, 1990년대 말에야 비..

    최석영 발간일 2004.09.20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REGIONALISMS IN APEC REGION

    1. Economic Regionalism
    1.1 Overview
    1.2 Underly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1.3 Potential Risks

    2. Political Regionalism
    2.1 Overview
    2.2 Underlying Patterns of Existing Arrangements

    III. “OPEN REGIONALISM” of APEC

    1. APEC as New Regional Governance
    1.1 Soft Regionalism
    1.2 Vision-setting and Implementation
    1.3 Broadening of the Horizon

    2. “Open Regionalism” of APEC
    2.1 Background
    2.2 What does “Open Regionalism” mean?
    2.2.1 The Second Report of EPG
    2.2.2 Bergsten's Observation
    2.2.3 “Open Sub-regionalism”

    3. Assessments and New Challenges
    3.1 Introduction
    3.2 An APEC-wide PTA and “Open Regionalism”
    3.3 Security Agenda and “Open Regionalism”

    IV. CONCLUSION
    1. Regionalisms in APEC Region
    2.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국문요약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역내 협력은 경제적인 측면과 정치적 측면에서 공히 특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이전까지는 역내 국가들은 무역블록 형성에 반대하면서 다자간 무역체제를 지지해왔으며, 1990년대 말에야 비로소 경제적 지역주의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고 할 수 있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