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86/290
-
무역원활화 규범화를 위한 개도국 지원방안의 모색
2001년 도하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를 포함한 싱가포르 의제가 논의되었고, 2003년 칸쿤 각료회의에서 협상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후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결정하였으나, 합의안 도출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2004년 8월 1일 협상 기..
이창수 외 발간일 2004.12.30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무역원활화의 개념 및 논의현황
1. 무역원활화의 개념
2. WCO와 APEC에서의 무역원활화
가. WCO에서의 무역원활화 논의
나. APEC에서의 무역원활화 논의
3. WTO/DDA에서의 논의와 기본골격 내용
가. WTO/DDA 무역원활화 논의
나. 무역원활화에 대한 선진국과 개도국의 입장차이
다. DDA 무역원활화 협상의 기본골격: Annex D의 내용
제3장 무역원활화의 쟁점 및 개도국의 입장
1. GATT 10조
가. 정보 접근 및 법령과 규제의 투명성
나. 사전판정
다. 의견수집과 협의절차의 도입
라. 검토 및 상소절차의 도입
마. 정리
2. GATT 8조
가. 국경통과 관련 서류의 간소화와 서류 요구사항의 표준화
나. 일반적 통관절차와 국경통과절차의 간소화
다. 수수료와 요금
라. 통관담당 부처간의 협력 제고
마. 통관절차의 자동화
3. GATT 5조
가. 통관절차 및 관련서류의 간소화와 표준화
나. 운송수단, 탁송종류, 운송업체 등에 대한 무차별성 보장
다. 화물통과에 대한 국제협력의 강화
4. 무역원활화 규범제정에 대한 개도국의 반대 이유 및 문제점
가. 분쟁해결절차 사용여부
나. 지원문제
다. 유예기간 문제
5. 요약
제4장 무역원활화의 경제적 효과
1. 무역원활화 경제적 효과에 대한 쟁점
2. 무역원활화의 경제적 효과
가. 무역원활화 데이터
나. 추정방정식 및 실증분석 결과
3. DDA 협상과 그 구성요소로서의 무역원활화
4. 정책적 시사점
제5장 개도국 협정참여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및 한국의 직접지원 내용 및 방향
1. 개도국 지원의 필요성
2. 개도국 협정참여를 위한 전략적 접근
가. 제도적 지원과 한국의 전략
나. 다자간 협정내 복수간 협정: 분쟁해결절차의 사용 분리
다. 조항별 협정체결
라. 유예기간의 차별적 적용
3. 한국의 직접지원 내용 및 방향
가. 직접적 지원의 형태
나. ODA 및 무역원활화 지원
다. 프로젝트 지원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무역원활화 규범화의 방향
2. 개도국 반대사유
3. 개도국 지원
가. 제도적 지원
나. 직접지원과 한국의 역할
4. 연구의 한계성
<부록 1>
<부록 2> 한국의 ODA 지원현황국문요약2001년 도하 각료회의에서 무역원활화를 포함한 싱가포르 의제가 논의되었고, 2003년 칸쿤 각료회의에서 협상방법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 후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결정하였으나, 합의안 도출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2004년 8월 1일 협상 기본골격 최종합의안이 채택됨으로써 싱가포르 의제 중 무역원활화 협상만이 공식 출범하게 되었다. (생략) -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금융국제화 진전과 향후 과제
금융국제화란 국내외 구분 없이 국경간 금융거래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국제화의 목적은 자본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된 금융국제화는 1990년대 일련의 신흥시장 위기로..
양두용 외 발간일 2004.12.30
금융자유화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I장 서론
<제1부>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의 평가
제II장 세계적인 금융국제화의 진전과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의 과제
1. 세계적인 금융국제화의 추이와 영향
가. 금융국제화의 진전과 요인
나. 금융국제화의 긍정적 파급영향
다. 금융국제화의 부정적 측면과 과제
2.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금융국제화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가. 변동환율제 도입과 환율운용
나. 외국자본의 국내금융업 진출
다.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 증대
라.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 부진
제III장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 및 경제성장
1. 서론
2.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의 세계적 추이
가. 금융국제화지수의 정의
나. 금융발전지수의 정의
다. 추정결과
3. 한국의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
가. 금융국제화지수의 추이
나. 금융발전지수의 추이
다. 금융국제화와 금융발전의 관계
4. 한국의 금융국제화와 경제성장
가. 배경
나. 자료
다. 실증분석결과
5.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2부> 금융국제화를 위한 정책제안: 외환제도 선진화와 역외금융시장 육성
제IV장 국내 외환제도 및 체제 개선방안의 고찰
1. 서론
2. 국내 외환자유화 변천 추이
가. 외환위기 이전의 외환자유화 조치
나. 외환위기 이후 외환자유화 조치
3. 국내 외환거래 체제 현황 및 문제점
가. 국내 외환체제 및 제도 특징
나. 국내 외환체제 및 제도 현황
다. 현행 외환체제 및 제도의 문제점 및 주요 이슈
4. 외환위기 이후의 외환자유화 조치의 평가
가. 외환시장 거래 및 규모의 변화
나. 외환거래 자유화 이후의 외환시장의 미시적 변화
다. 국경간 자본거래의 변화: 거시적 측면
5. 외환제도 및 체제개선 방안
가. 외환법으로의 전환
나. 외환시장과 자본시장간의 조화로운 발전
다. 원화 국제화 문제
제V장 주요국 역외금융시장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역외채권시장 육성의 관점에서
1. 서론
2. 아시아 각국의 역외금융시장
가. 일본
나. 싱가포르
다. 말레이시아(라부안)
라. 태국
3. 아시아 채권시장 육성논의와 역외채권시장 설립의 필요성
4. 한국의 역외금융시장 육성의 타당성 평가
가. 한국의 역외금융시장의 현황
나. SWOT 분석을 통한 역외채권시장의 타당성 평가
5. 역외채권시장 육성을 위한 제도적 고려사항
가. 원화 국제화 필요성 여부
나. 예탁결제 시스템
다. 매매체결 시스템: 거래소 역외시장부 개설
라. 과세
마. 기타 고려사항
6. 결론
제VI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금융국제화란 국내외 구분 없이 국경간 금융거래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국제화의 목적은 자본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다. 지난 수십 년간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된 금융국제화는 1990년대 일련의 신흥시장 위기로 부정적인 측면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신흥시장국 입장에서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생략) -
EMU협상의 정치경제학과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1997~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동아시아 국가들로 하여금 지역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위기의 전개과정에서 확인된 역내 국가들의 내부결속력 결여와 외부세력들의 방관자적 자세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이 지역협력 없이는 사상누..
김흥종 발간일 2004.12.30
경제통합, 금융통합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유럽 통화통합의 전개과정 1. EMS 이전 단계 2. EMS 3. EMU 가. 1994년 이전 나. 1994년 1월~1998년 12월 다. 1999년 1월 이후 제3장 EMU 협상과정의 주요 이슈와 EC 회원국의 입장 1. 통합방식에 관한 협상 가. 기본적 접근방식 나. 통화통합과 정치통합의 연관성 2. 통합의 구체적 내용 및 절차에 관한 협상 가. 유럽중앙은행의 지위 나. 통화통합의 일정 다. 경제적 수렴조건 라. 재정정책의 통제 및 국가간 재정이전 3. 주요국들의 입장 가. 독일 나. 프랑스 다. 영국 라. 각국의 전략과 협상결과의 대비 제4장 EMU 협상과정에서 활용된 주요 협상전략 분석 1. '분할지배' 방식 2. '직접적 위협' 방식 3. '지속적인 압력' 방식 4. '점진적 양보' 방식 5. '반대자의 적극 활용' 방식 6. '효과적인 중재 역할' 방식 7. '자국 입장의 적극적 설득' 방식 제5장 EMU 협상과정을 통해 본 통화통합의 정치경제학 1. EMU 협상의 성공요인 2. EMU 협상과 정치통합과의 관계 3. EMU 협상과정의 정치경제학적 특징 가. EMS 경험과 제도적 기반의 활용 나. 핵심적 양국관계 형성 및 유지 노력 다. 국가간 공조체제의 형성 및 안정화 라. 국가간 공조체제의 변화 및 이에 대한 대응 마. 협상 단계별로 적합한 전략의 활용 제6장 EMU 협상의 동아시아 통화통합에 대한 시사점 1. 논의의 배경과 최근 현황 가. 논의의 배경 나. 최근의 현황 2.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정치경제학적 특성 3. EMU 협상의 시사점 가. 최적통화지역의 전제조건 확보 나. ERM 위기와 통화통합의 순서에 대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 다. 구체적 청사진의 제시 라. 협상기회의 확대를 통한 문제해결 경험의 축적 마. 다양한 정책수단(회유책)의 구사 바. 핵심적 추진세력의 확보와 한국의 역활 4. 국가별 거시경제 여건과 통화협력에 대한 입장 제7장 결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1997~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는 동아시아 국가들로 하여금 지역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위기의 전개과정에서 확인된 역내 국가들의 내부결속력 결여와 외부세력들의 방관자적 자세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이 지역협력 없이는 사상누각에 불과함을 깨닫게 해주었던 것이다. 그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간에는 위기시 신용공여를 위한 치앙마이이니셔티브의 창설, 역내 교역의 활성화를 위한 FTA의 체결, 동아시아 채권시장 육성 방안 등 동아시아 국가간 경제협력의 광범위한 틀이 논의되어왔다. (생략) -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 5년의 평가: 가전산업의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수입선다변화제도는 지나친 대 일본 무역적조를 막고 국내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1977년부터 시행되어 1999년 6월에 완전 철폐되었다. 동 제도는 국산제품의 경쟁력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대일 수입적자를 해소하는데 일정역할을..
김정곤 외 발간일 2004.12.30
경제개방,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운영
제3장 수입선다변화제도 철폐의 영향과 대응
1. 캠코더
2. 휴대폰
3. 중대형 TV(25인치 이상)
4. 전기밥솥
제4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수입선다변화제도는 지나친 대 일본 무역적조를 막고 국내 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1977년부터 시행되어 1999년 6월에 완전 철폐되었다. 동 제도는 국산제품의 경쟁력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대일 수입적자를 해소하는데 일정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대외적인 비판을 받았을 뿐 아니라 WTO의 규범과도 배치되어 대외적으로 제도 철폐의 압력이 지속되었다. 또한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안팎의 제도개혁의 요청과 맞물려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철폐는 불가피하였다. (생략) -
영화시장 개방에 대한 경쟁정책적 고찰
본 연구는 세계무역기구(WTO)/도하개발어젠다(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서 진행되는 영화산업의 개방 논의에 대응하여 영화산업의 추가개방이 국내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중 경쟁정책 관련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윤미경 외 발간일 2004.12.30
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가. 연구의 구성
나. 연구의 방법
제2장 DDA 시청각서비스협상 논의 현황
1. UR에서의 개방수준
2. 주요 현안 및 논의 전망
제3장 세계 영화산업의 현황과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
1. 세계 영화산업의 현황
2.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과 교역
가. 영화산업의 비약적 성장
나. 국제경쟁력 향상과 수출입 추이
제4장 영화유통시장의 경쟁구조
1. 영화산업의 특성
2. 영화산업의 구조
가. 제작
나. 배급 및 상영
다. 후속시장
3. 국내 및 수입영화의 유통구조
가. 배급 및 상영체계
나. 후속시장의 유통구조
4. 영화유통시장에서의 경쟁과 시장지배력
가. 배급사간 경쟁
나. 극장간 경쟁
다. 배급과 상영부문간의 관계
라. 수직통합 추세
5. 소결
제5장 경쟁법을 통한 영화유통시장의 사후적 규제
1. 영화시장 규율에 관한 경쟁법적 고찰
2. 영화산업에 대한 미국의 경쟁정책
가. 끼워팔기에 대한 파라마운트 판결
나. 파라마운트 판결 이후의 경쟁정책적 이슈
3. EU의 UIP에 대한 제재
4. 한국 공정거래법의 영화산업 적용에 대한 평가
가. 끼워팔기의 공정거래법상 규제
나. 공정거래법에 의한 거래거절의 규제
다. 수직결합의 공정거래법상 규제
제6장 영화시장의 개방에 대한 경쟁정책적 시사점
1. 영화산업 개방에 대비한 국내 경쟁법의 정비
2. 영화산업에서의 분쟁해소를 위한 추가적 장치
3. 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 대한 시사점
부록
1. 끼워팔기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판례
2. 거래거절의 반경쟁성이론과 미국의 판례법
3. 수직결합에 대한 법경제적 분석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본 연구는 세계무역기구(WTO)/도하개발어젠다(DDA) 시청각서비스협상에서 진행되는 영화산업의 개방 논의에 대응하여 영화산업의 추가개방이 국내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중 경쟁정책 관련 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에서 영화 및 비디오 제작ㆍ배급업과 음반녹음업을 개방하였으며, 이에 따라 한국 영화시장의 추가개방은 1966년 이후 시행된 스크린쿼터의 개선 혹은 철폐를 의미한다. 영화계 일부에서는 스크린쿼터와 같은 시장보호장치가 없다면 외국 영화사가 자사의 시장지배력을 남용하여 반경쟁적 행위를 조장할 소지가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사전예방차원에서 미국에 기반을 두는 다국적 외국 영화사의 영향력 및 시장점유율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스크린쿼터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략) -
Income Distribution, Intra-industry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East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이 국가간 소득격차와 외국인 직접투자와 어떻게 관계가 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90-2000년간 일본과 다른 동아시아국가간의 SITC 5단위별 양국..
손찬현 외 발간일 2004.12.28
산업구조,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Theoretical Framework
III. The Data
IV. The Results
1. The Distribution of IIT
2. The Estimation Results
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국문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이 국가간 소득격차와 외국인 직접투자와 어떻게 관계가 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90-2000년간 일본과 다른 동아시아국가간의 SITC 5단위별 양국간 수출입통계를 이용하여 산업내 무역을 수평적산업내 무역과 수직적산업내 무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생략) -
A New Approach to the Asian Finance Cooperation: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채권시장의 부진은 아시아국가의 금융시스템 취약성에 원인이 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기업의 지나친 은행 대출의 의존으로 인하여 아시아 지역 저축이 기업의 직접투자가 불가능하였다. 그 대신 저축된 자본은 미국과 유럽에 있는 국제금융센터..
CHEN Hong 발간일 2004.12.25
금융통합, 자본시장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1.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2. The background of “Asian Bond Market Initiatives”
III. Challenges and Options Faced by China
1.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s of bond markets
2. China's Bond Market: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V. Conclusion
References국문요약채권시장의 부진은 아시아국가의 금융시스템 취약성에 원인이 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기업의 지나친 은행 대출의 의존으로 인하여 아시아 지역 저축이 기업의 직접투자가 불가능하였다. 그 대신 저축된 자본은 미국과 유럽에 있는 국제금융센터로 흘러 들어가 다시 아시아 지역으로 역유입 되었다. 이 같은 경우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자금의 만기불일치 와 통화불일치라는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들은 아시아의 금융시장의 불안정에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아시아 주요국 사이에서 아시아 채권시장을 개발하려는 합의가 있어 왔다. 중국의 경우, 자국의 채권시장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아시아 채권시장의 육성에 핵심이 되어왔다. (생략) -
Real Interest Rate Linkages in the Asian-Pacific Region: A Time-Varying Paramete..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10개국과 일본·미국 두 개 금융시장의 실질이자율 연결 정도를 1981년부터 2003년까지 분기별 단기이자율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연결 정도는 실질이자율등가(real interest rate parity; RIP)를 이용하여 구하..
Kiyotaka Sato 발간일 2004.12.25
금융통합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Analytical Framework
1. Real Interest Parity
A. Assuming Rational Expectations
B. Using Forecasted Inflation Rates
2. The Time-Varying Parameter Model
III. Data
IV. Empirical Results
1. Tests of RIP by Constant Parameter Estimation
A. RIP Test Under Rational Expectations
B. RIP Test with Forecasted Inflation
2. Tests of RIP by Time-Varying Parameter Estimation
A. Time-Varying Parameter Estimation Under Rational Expectations
B. A Time-Varying Parameter Estimation with Forecasted Inflation
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Data Appendix
A. Data for nominal interest rates
B. Data for price index국문요약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10개국과 일본·미국 두 개 금융시장의 실질이자율 연결 정도를 1981년부터 2003년까지 분기별 단기이자율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연결 정도는 실질이자율등가(real interest rate parity; RIP)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실질이자율 연결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예측된 인플레이션을 이용하여 ex ante RIP의 변동계수(time-varying parameter) 추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10개국의 실질이자율 결정에 미국과 일본의 실질이자율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생략) -
The Spoke Trap: Hub-and-Spoke Bilateralism in East Asia
한·일 FTA는 다른 동아시아국가의 적극적인 FTA 체결을 유도하는 도미노효과의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결과는 동북아지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과 일본은 쌍방으로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도미노효과..
Richard E. Baldwin 발간일 2004.12.25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Why Hub-and-Spoke Bilateralism is Bad Economically
1. Allocation effects
2. Accumulation and location effects
A. Hysteresis in Location
III. Why Hub-and-Spoke Bilateralism? Some Theory
1. The mercantilist View of Trade Negotiations
A. Political Economy of Hub-and-Spoke Bilateralism
2. Domino Effect Applied to Hub-and-Spoke Bilateralism
A. Race to Be First
IV. An Empirical Measure of Hub-ness
1. Motivating Our Hub-ness Measure
2. Application to the Western Hemisphere
3. Does the HM Show the U.S. to Be a Hub?
A. Does the HM Show Brazil to Be a Hub for Southern Cone Nations
4. Application to East Asia
A. Hb-ness of Japan-China and Korea
V. Implications for the Likely Evolution of East Asian Regionalism
1. East Asian Bicycle: Two Hubs, Many Spokes
A. Problems with the Bicycle
VI. Anti-Spoke Strategies from Around the World
1. Customs Union Solution: How to Join the Hub
A. The EFTA's Solution: An FTA Union that 'shadows' the Hub
B. Singapore: Cashing in on Unilateral Free Trade
C. Mexico's Solution: Aggressive Pursuit of Hub status
VII. Anti-Spoke Strategy for East Asian: A Proposal
1. Plan A: An East Asian Free Trade Union
2. Plan B: An FTA Union
VI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A: NICNIR Analysis of Hub-and-Spoke Bilateralism
Appendix B: PTAs and the New Economic Geography국문요약한·일 FTA는 다른 동아시아국가의 적극적인 FTA 체결을 유도하는 도미노효과의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결과는 동북아지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중국과 일본은 쌍방으로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도미노효과를 유도하는 정치경제학적 힘의 원리는 허브 와 Spoke 쌍방주의로 분리되어 비효과적이고 불협화음을 만들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생략) -
Regional Integration in Northeast Asia: Approaches to Integration Among China, K..
한·중·일 3국은 유럽처럼 19세기부터 서로 대립해 왔으며 아직도 경제통합을 망설이고 있으나 유럽은 이러한 역사적인 대립에도 불구하고 이미 공동사회를 구축하고 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전후로 동아시아에서는 경제통합에 대한 약간의..
홍정표 발간일 2004.12.25
경제통합,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s Integration in the Northeast Asia Possible?
II. Economic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III. The Current Situation for Political Integration
IV. Near but Near Neighbors
V. New Generation Leaders in Japan and China
VI. Toward an Asian Common Community
References국문요약한·중·일 3국은 유럽처럼 19세기부터 서로 대립해 왔으며 아직도 경제통합을 망설이고 있으나 유럽은 이러한 역사적인 대립에도 불구하고 이미 공동사회를 구축하고 있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전후로 동아시아에서는 경제통합에 대한 약간의 시도는 이루어졌으나 정치적인 통합은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는 3국이 역사적인 배경에서 서로 적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불확실한 주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은 아직도 반일감정을 가지고 있으나 한·일, 일·중간의 문화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새로운 세대의 지도자들은 동북아시아에서 지역통합을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