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79/290

  •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한국의 외환보유액 결정요인 분석과 적..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한국의 외환보유액 결정요인 분석과 적..

    외환보유액 관리는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 금융안정, 외자의 효율적인 배분, 환율정책 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왜 다른 개도국에 비하여 막대한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는지, 외환보유액이 적정 수준에..

    윤덕룡 외 발간일 2005.12.30

    환율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연구목적 및 필요성

    제2장 외환보유액 추이

    제3장 외환보유 동기
    1. 경험적 접근법
    2. 이론적 접근법
    가. 비용편익 접근
    나. 효용극대화 접근

    제4장 한국의 외환보유액 결정요인 추정
    1. 추정모형의 설정
    2. 추정결과

    제5장 한국의 적정외환보유액 추정
    1. 추정방법
    가. 경험적 추정
    나. 이론적 추정
    다. 행태적 추정
    2. 추정결과
    3. 정책적 시사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외환보유액 관리는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 금융안정, 외자의 효율적인 배분, 환율정책 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왜 다른 개도국에 비하여 막대한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있는지, 외환보유액이 적정 수준에 비하여 과소한지 혹은 지나치게 과도한지, 그리고 외환보유액을 관리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생략)
  •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소규모 개방경제모형하에서의 통화정책..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소규모 개방경제모형하에서의 통화정책..

    최근 인플레이션 타기팅을 통화정책 수단으로 채택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이는 자유변동환율제를 채택하는 국가가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타기팅이 최적 통화정책으로 떠오른 데 기인한다. 그러나 소규모 개방경제의 인플레이션 타기팅 채택은 물..

    양두용 외 발간일 2005.12.30

    통화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 자료의 특징

    제3장 새 케인지안 모형
    1. 소비자
    2. 국내재 생산기업
    3. 여타 세계의 수입업체
    가. 완전전가
    나. 불완전전가

    제4장 균형
    1. 국내의 IS 곡선
    2. 환위험에 노출된 이자율 평형정리와 무역수지
    3. 여타 세계의 IS 곡선과 총공급함수
    4. 국내재 총공급함수
    5. 불완전전가하의 수입재 총공급함수
    6. 정상상태하의 균형조건

    제5장 통화정책

    제6장 수량적 통화정책 효과 분석
    1. 대안적 통화정책의 동태적 효과 비교
    가.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 타기팅 정책
    나. 국내재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타기팅 정책
    다. 환율고정정책
    라. 이자율 준칙
    2. 대안적 통화정책과 사회후생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최근 인플레이션 타기팅을 통화정책 수단으로 채택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이는 자유변동환율제를 채택하는 국가가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타기팅이 최적 통화정책으로 떠오른 데 기인한다. 그러나 소규모 개방경제의 인플레이션 타기팅 채택은 물가안정과 환율 안정의 충돌로 인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충돌에 대한 사회후생 추정을 통한 최적 통화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생략)
  •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한국의 물가안정목표제하의 환율정책
    최근 국내 외환정책의 주요 이슈와 향후 과제 - 한국의 물가안정목표제하의 환율정책

    본 보고서는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에 기초하여 한국 물가안정목표제의 특징과 운용형태를 검토한 후 이 체제하에서의 환율정책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략)

    김은경 외 발간일 2005.12.30

    환율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물가안정목표제의 특징
    1. 물가안정목표제의 정의
    2. 물가안정목표제의 운영체계
    가. 제도적 장치
    나. 타기팅 구성을 둘러싼 논쟁
    3. 물가안정목표제와 환율

    제3장 한국 물가안정목표제의 특징
    1. 운용체계
    2. 물가안정목표제하의 통화정책 운용

    제4장 물가안정목표제하의 환율정책
    1. 외환위기 이후의 환율체제를 둘러싼 논쟁
    2. 실증모형 및 결과
    가. 모형 설정
    나. 추정 결과 및 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보고서는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에 기초하여 한국 물가안정목표제의 특징과 운용형태를 검토한 후 이 체제하에서의 환율정책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략)
  • 무역자유화가 고용 및 임금 양극화에 미친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무역자유화가 고용 및 임금 양극화에 미친 영향: 한국 제조업을 중심으로

    정부주도형 경제성장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한 1980년 이후 한국은 이전까지의 보호주의적 무역정책에서 벗어나 무역자유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개방적 무역정책의 수행으로 1980년 69.8%에 불과하던 수입자유화율은 2004년 99.9%로 높아졌고..

    김우영 외 발간일 2005.12.30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무역자유화와 노동시장에 대한 선행연구
    1. 무역자유화정책과 고용
    가. 이론적 배경
    나. 선행 실증연구
    2. 무역자유화와 임금 양극화
    가. 이론적 배경
    나. 문헌연구

    제3장 한국의 무역자유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1. 무역자유화의 진전
    2. 노동시장에 대한 기초 분석
    가. 자료
    나. 산업별 개방수준
    3. 한국의 고용
    4. 한국의 임금격차

    제4장 실증분석
    1. 무역자유화가 고용에 미친 영향
    가. 이론적 모형
    나. 계량모형
    2. 추정결과
    가. 전 산업에 대한 추정결과
    나. 부문별 추정결과
    3. 무역자유화가 제조업 임금 양극화에 미친 영향
    가. 지니계수로 측정한 임금격차
    나. 학력간 임금격차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정부주도형 경제성장의 한계가 나타나기 시작한 1980년 이후 한국은 이전까지의 보호주의적 무역정책에서 벗어나 무역자유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개방적 무역정책의 수행으로 1980년 69.8%에 불과하던 수입자유화율은 2004년 99.9%로 높아졌고, 평균관세율은 1981년 23.7%에서 2004년 7.2%로 크게 낮아졌다. 또한 최근 한국은 칠레, 싱가포르 등과 FTA를 체결한 데 이어 앞으로 더 많은 국가와도 FTA를 체결할 예정이어서 무역자유화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생략)
  • 전 세계적 양극화 추세와 해외 주요국의 대응
    전 세계적 양극화 추세와 해외 주요국의 대응

    이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적인 양극화 추세와 해외주요국의 대응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양극화 현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생략)

    김흥종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발전, 금융자유화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양극화란 무엇인가

    제2장 양극화, 왜 문제인가

    제3장 양극화의 원인
    1. 무역자유화
    2. 기술진보
    3. 자본자유화
    4. 기타

    제4장 양극화의 해외사례 선정과정
    1. 양극화의 기본구조
    2. 경제구조에 따른 구분
    가. 사회 · 경제적 성과 비교
    나. 경제구조의 특징
    3. 해외 대표사례 선정
    가. 소득불평등과 빈곤
    나. 임금격차
    다. 산업간 양극화
    라. 지역간 양극화
    마. 기업규모별 양극화

    제5장 양극화의 해외사례
    1. 소득불균등과 빈곤: 미국
    가. 현황
    나. 소득불균등과 빈곤층 확대의 원인
    다. 정책대응
    라. 성과 및 평가
    2. 임금수준의 양극화: 영국
    가. 현황
    나. 임금격차 확대의 원인
    다. 정책대응
    라. 성과 및 평가
    3. 수출과 내수의 양극화: 독일
    가. 현황
    나. 양극화의 원인
    다. 내수 부진
    4. 지역간 성장의 양극화: 이탈리아
    가. 현황
    나. 지역간 격차의 원인
    다. 정책대응: 이탈리아정부의 남부지역 개발정책 및 EU 차원의 지역정책
    5. 기업규모별 양극화
    가. 고용의 양극화: 스웨덴
    나. 생산성 양극화: 아일랜드

    제6장 양극화 해법의 기본방향과 해외사례의 시사점
    1. 양극화 해법의 기본방향
    2. 해외사례의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적인 양극화 추세와 해외주요국의 대응방안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양극화 현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생략)
  • ASEAN 및 회원국들의 지식재산권관련 현황과 한 ASEAN FTA의 시사점
    ASEAN 및 회원국들의 지식재산권관련 현황과 한 ASEAN FTA의 시사점

    한국과 ASEAN은 2006년 이내 FTA 타결을 목표로 2005년 2월 23~25일 제1차 협상을 개시, 10월 11~14일 현재 제7차 협상까지 마무리하였다. 한편 지식재산권은 경제협력분야에 추가 협력사업으로 규정토록 합의된 상태이다. (생략)

    엄부영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범위 및 목적
    2. FTA의 지식재산권 관련 부문에 관한 개관

    제2장 ASEAN 회원국들의 지식재산권 정책
    1. 개요
    2. 개별 회원국들의 지식재산권 정책
    3. ASEAN 회원국들에 의해 체결된 FTA
    가. 싱가포르 미국 FTA
    나. 싱가포르 일본 FTA
    다. 베트남 미국 FTA

    제3장 ASEAN의 지식재산권 정책
    1. 개요
    2. 기본협정 및 활동계획
    가. ASEAN 지식재산협력에 관한 기본협정
    나. ASEAN 지식재산권 활동계획

    3. 타 지역과의 지식재산권 관련 협력 프로그램
    가. EC ASEAN 지식재산권 협력 프로그램
    나. ASEAN WIPO 협력

    제4장 한국상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침해
    1. 한국 문화상품에 대한 지식재산권 침해 현황
    2. 기술경쟁력 비교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한국과 ASEAN은 2006년 이내 FTA 타결을 목표로 2005년 2월 23~25일 제1차 협상을 개시, 10월 11~14일 현재 제7차 협상까지 마무리하였다. 한편 지식재산권은 경제협력분야에 추가 협력사업으로 규정토록 합의된 상태이다. (생략)
  • 해외충격이 국내경기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해외충격이 국내경기변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2005년 8월 말 국제유가가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당시 원유시장 전문가들은 국제유가시장의 구조상 고유가 현상이 고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하였다. 환율 또한 국제유가의 고공행진과 함께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해외불안요인으로 지적..

    김권식 발간일 2005.12.30

    환율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국제유가와 환율이 국내경기에 미치는 효과 논쟁

    제3장 분석모형 설정
    1.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
    2. 해외충격의 식별

    제4장 해외충격이 국내경기변동에 미치는 효과
    1. 자료 및 적정시차의 선택
    2. 충격반응함수를 통한 효과 분석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2005년 8월 말 국제유가가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당시 원유시장 전문가들은 국제유가시장의 구조상 고유가 현상이 고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하였다. 환율 또한 국제유가의 고공행진과 함께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해외불안요인으로 지적되었다. 2005년 7월 이후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50원에서 1,030원까지 하락한 반면 엔/달러 환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120엔을 상향 돌파하였다. 이 결과 원/엔 환율의 10:1 비율이 크게 벗어나면서 디커플링 현상(8.6:1)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원화 강세 현상과 엔화 약세 현상 혹은 디커플링 현상의 심화는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약화시켜 국내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생략)
  • 2006년 세계 경제 및 통상환경 전망
    2006년 세계 경제 및 통상환경 전망

    1. 세계경제 성장 전망가. 2006년 세계경제 전망■ 세계경제는 고유가, 테러, 자연재해 등 외부의 충격에 매우 유연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바, 향후 최소 2006년 2~3분기 정도 지속적으로 장기추세선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이준규 편 발간일 2005.12.30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세계경제 성장 전망
    1. 세계경제 동향
    2. 2006년 세계경제 전망
    3. 2006년 세계경제 주요 위험요인

    제2장 주요국 경제 전망
    1. 미국
    2. 중국
    3. 일본
    4. 유럽
    5. 중남미
    6. 러시아
    7. 인도
    8. 동남아

    제3장 국제금융시장 전망
    1. 2005/2006년 국제금융시장 이슈
    2. 2005/2006년 환율 전망
    3. 주요국 정책금리 전망

    제4장 유가 전망
    1. 최근 유가 동향
    2. 2005년 국제유가 급등 원인
    3. 2006년 국제유가 5대 변수
    4. 2006년 유가 전망

    제5장 무역 및 투자 동향과 전망
    1. 수출입 동향과 전망
    2. 외국인투자 동향 및 2006년 전망

    제6장 2006년 주요 통상환경
    1. WTO/DDA 동향 및 2006년 전망
    2. 자유무역협정의 추진 현황 및 전망
    3. ASEAN+3 동향 및 전망
    4. 동북아경제협력 동향 및 전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1. 세계경제 성장 전망

    가. 2006년 세계경제 전망

    ■ 세계경제는 고유가, 테러, 자연재해 등 외부의 충격에 매우 유연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바, 향후 최소 2006년 2~3분기 정도 지속적으로 장기추세선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2006년 세계경제는 장기추세선인 3% 성장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2006년 2/4분기 이후에는 세계적인 동반금리 상승이 소비, 투자, 실질 GDP 성장에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증대시킬 것으로 판단됨.
    나. 2006년 세계경제의 주요 위험요인
    ■ 조류독감 확산 위험- World Bank는 조류독감이 전 세계적으로 사람에게까지 전염이 확산될 경우 8천억 달러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였음. 조류독감은 선진국보다 개도국에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고, 주요 피해산업은 농축산업, 여행 및 관광 산업 등임.
    ■ 글로벌 불균형의 조정 위험- 2006년 미국의 무역 적자규모는 8,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2006년 미국의 경상 적자규모는 GDP 대비 6.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미국 제조업의 높은 생산성, 달러화의 기축통화 역할, 외국인의 지속적인 달러화 자산 매입 등을 고려하더라도 글로벌 불균형의 지속에는 한계가 있어, 미국의 경상 적자 심화가 세계경제에 불안요인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음.
    ■ 세계 주택시장의 경착륙 위험- 2006년 세계적인 동반금리 상승으로 인한 모기지금리 상승, 고유가, 버블붕괴 심리 확산으로 인해 세계 주요국의 주택시장이 조정 또는 일부 국가에서 경착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2005년 현재 유럽은 영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조정이 발생하고 있고, 미국의 주택가격 조정이 고유가와 동시에 미국의 소비를 압박하는 경우 세계경제에 어려움을 더할 가능성이 있으나, 미국 주택시장의 경착륙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전망됨.
    ■ 고유가 지속 위험- 2006년 국제유가에 영향을 미칠 5대 주요 변수로는 미국 경제성장세 여부, 중국과 인도 등 신흥개도국의 에너지 수요 증가세 여부, 이란의 정세 변화, 이라크 내전양상, 자연재해로 인한 정유시설 파괴 등이 있음.
    ■ 세계적 동반금리 상승 위험- 2006년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주목하는 거시변수 중 하나는 물가지수가 될 것임. 인플레이션 압력 발생에 대한 우려가 2005년 말과 2006년 상반기 중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과 함께 유럽 등 기타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을 불러일으킬 것임. - 2006년에는 세계적인 동반금리 상승의 가능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어,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됨.
    ■ 테러 및 자연재해의 위험- 테러 방어, 자연재해에 대한 국제공조의 확대 및 세계경제의 유연성 증가로 이들이 세계경제에 미칠 영향은 2005년에 비해 낮아질 전망임. (생략)
  • Industrial Structural Interdependency in Northeast Asia: An International Input-..
    Industrial Structural Interdependency in Northeast Asia: An International Input-..

    동북아시아 국가간 경제협력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관련 국가간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동북아시아 국가(한국, 중국, 일본, 북한, 몽골)간의 I-O표를 작성해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Sumio Kuribayashi 발간일 2005.12.30

    경제협력,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Compilation of North Korea's 2002 Estimated I-O Table
    1. Assumptions
    2. Utilization of China's 1981 I-O table
    3. Total output, intermediate input, intermediate demand, final domestic
    demand, export, import
    4. Estimation of input coefficients by RAS
    5. Estimation of North Korea's 2002 non-competitive import-type I-O table

    III. Compilation of South Korea's 2002 Estimated I-O Table
    1. Competitive import-type I-O table
    2. Non-competitive import-type I-O table

    IV. The Compilation of North Korea Link I-O Table

    V. China and Japan

    VI. Compilation of Mongolia's 2002 Estimated I-O Table
    1. Assumptions
    2. Total output, intermediate input, intermediate-final-export-import demand
    3. Estimation of Mongolia 2002 non-competitive import-type I-O table

    VII. Interdependence among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Japan, and Mongolia

    VIII.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1. Single Sector Model and Simulation of effect of the Japan ODA to
    North Korea
    Appendix 2. Estimation of RAS i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Procedures
    국문요약
    동북아시아 국가간 경제협력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관련 국가간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동북아시아 국가(한국, 중국, 일본, 북한, 몽골)간의 I-O표를 작성해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 지역에서 북한의 의존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 한· 중· 일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한· 중· 일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대응전략

    본 연구는 한ㆍ중ㆍ일 FTA의 필요성에 대해 경제적 편익 증대라는 전통적인 동기와 대외환경변화 대처라는 상황적 논거 외에도, 발상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생략)

    이창재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협력,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발간사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한ㆍ중ㆍ일 FTA의 필요성
    1. 한ㆍ중ㆍ일 FTA의 경제적 편익
    2. 지역주의 추세에 대한 대처
    가. 세계적 지역주의 확산에 대한 대응
    나.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서 한ㆍ중ㆍ일의 역할
    3. 한ㆍ중ㆍ일 FTA의 장애요인으로부터 도출된 필요성
    가. 정치적 긴장관계 완화의 수단
    나. 무역블록화가 아닌 세계적 무역자유화의 수단
    다. 국내 취약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수단

    제3장 한ㆍ중ㆍ일 FTA의 거시경제적 파급효과
    1. CGE 모형
    2.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3. CGE 모형의 구성
    가. 최신 데이터의 필요성
    나. 자본축적
    다. 서비스 자유화
    4. 한ㆍ중ㆍ일 FTA 시나리오
    5. 분석결과 52
    가. 한ㆍ중ㆍ일 FTA의 거시경제적 효과
    나. 한ㆍ중ㆍ일 FTA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다. 한ㆍ중 및 한ㆍ일 FTA 비교

    제4장 제조업에 대한 파급효과
    1. 제조업의 특징 및 민감품목 선정
    가. 제조업의 중요성과 교역비중
    나. 민감품목 선정 방법론
    2. 전자산업
    가. 현황 및 특성
    나. 경쟁력 및 민감품목
    3. 자동차산업
    가. 현황 및 특성
    나. 경쟁력 및 민감품목
    4. 일반기계산업
    가. 현황과 특성
    나. 경쟁력과 민감품목
    5. 섬유산업
    가. 현황 및 특성
    나. 경쟁력 및 민감품목
    6. 철강산업
    가. 현황 및 특성
    나. 경쟁력과 민감품목
    7. 석유화학산업
    가. 현황 및 특성
    나. 경쟁력 및 민감품목

    제5장 농ㆍ수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1. 농업의 경쟁력 분석
    가. 한국의 역내 농업교역의 특성
    나. 주요 농산품의 경쟁력
    다. 민감품목 선정
    2. 수산업의 경쟁력 분석
    가. 한국의 대세계 무역
    나. 한ㆍ일간 수산무역
    다. 한ㆍ중간 수산무역
    3. 한ㆍ중ㆍ일 FTA에 따른 농ㆍ수산업의 효과분석
    가. 농업부문에 대한 효과
    나. 수산업에 대한 효과

    제6장 서비스 부문에 대한 시사점
    1. 서비스의 개념 및 중요성
    2. 서비스 분류 및 국제무역
    3. 한ㆍ중ㆍ일 경제의 서비스화
    4. 한ㆍ중ㆍ일 서비스 부문의 국제적 위상
    5. 한ㆍ중ㆍ일의 서비스부문 경쟁력 비교
    6. 한ㆍ중ㆍ일의 서비스 민감부문
    7. 한ㆍ중ㆍ일 FTA 서비스 부문의 방향

    제7장 한국경제의 대응전략 및 한ㆍ중ㆍ일 FTA의 추진방향
    1. 제조업 부문의 대응전략
    가. 제조업 전반의 대응방향
    나. 산업별 대책
    2. 농수산업 부문의 대응전략
    가. 농업
    나. 수산업
    3. 서비스 부문에 대한 시사점
    4. 한ㆍ중ㆍ일 FTA 형성 시나리오
    5. 한ㆍ중ㆍ일 FTA 추진과제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연구는 한ㆍ중ㆍ일 FTA의 필요성에 대해 경제적 편익 증대라는 전통적인 동기와 대외환경변화 대처라는 상황적 논거 외에도, 발상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