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78/290

  • 일본의 대북한 경제제재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일본의 대북한 경제제재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일본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론은 2002년 9월 17일 제1차 일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납치문제에 대해 사죄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상회담을 통해서 공식적으로는 의혹으로 남아 있었던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미무라 미쯔히로 발간일 2005.12.30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일본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론은 2002년 9월 17일 제1차 일북 정상회담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납치문제에 대해 사죄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상회담을 통해서 공식적으로는 의혹으로 남아 있었던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가 사실로 확인되었다.납치 피해자의 사망이유 설명 및 생존자와 그 가족의 귀국 문제를 통해 일본 국민들의 북한에 대한 불신감은 외교교섭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아져 왔다. 그 불신감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북관계가 해결되지 않는 기초가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생략)
  • 한·일 FTA와 대기업의 직면과제
    한·일 FTA와 대기업의 직면과제

    다자간 신무역질서 정착으로 교역의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과 국리민복을 추구하는 국가들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들은 자유무역협정의 체결 등을 통해 좀더 앞선 무역자유화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FTA에 참가하는 국가들이..

    유장희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제2장 한· 일 양국의 수출구조와 경쟁력
    1. 한· 일 양국의 수출구조
    2. 주요 산업의 수출과 경쟁력 분석
    가. 반도체 및 전자기기 산업
    나. 섬유산업
    다. 석유화학산업
    라. 자동차산업
    3. FTA 체결의 국내산업에 대한 영향
    가. 품목별 가격탄력성 추정
    나. 탄력성에 의한 관세인하효과 측정

    제3장 FTA의 대기업에 대한 영향과 대응전략
    1. 대기업 사례연구
    가. A전자
    나. B그룹
    다. C주식회사
    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
    2. 한· 일 FTA에 따른 대기업의 구조 개선

    가. 한국 대규모 기업집단의 경영특성
    나. 일본의 기업지배구조 개혁 평가

    제4장 한· 일 FTA 이후의 산업구조조정
    1. 협력을 통한 산업구조조정
    2. 한국 대기업의 적응력 제고
    3. 국제화 분야
    4. 국제분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
    5. 제3국 공동개척 시나리오

    제5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다자간 신무역질서 정착으로 교역의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과 국리민복을 추구하는 국가들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들은 자유무역협정의 체결 등을 통해 좀더 앞선 무역자유화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FTA에 참가하는 국가들이 특성 산업의 육성,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 원활한 자원분배 등의 많은 경제적 혜택을 누리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생략)
  • The Impact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on Bilateral Trade
    The Impact of FDI from South Korea to China on Bilateral Trade

    본 연구는 한국의 중국내 해외직접투자가 한중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한국기업의 중국내 투자 중 가공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는 양자간 무역, 특히 중국의 수입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반면 가공무역은 한..

    Liu Xiangfeng 발간일 2005.12.30

    무역구조, 해외직접투자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n FDI in China

    III.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FDI on Bilateral Trade
    1. Bilateral trad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2. The complementarity of Korean FDI and bilateral trade

    IV. The Influence of South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China on Processing Trade
    1. Trade with South Korean enterprises that invested in China
    2. Processing trad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ilateral trade
    3. International trade through Korean FDI-processing trade

    V. Strengthened Cooperation in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1. China should adjust the direction of investment cooperation and optimize its trade structure
    2. The need for the two countries to strengthen closer economic cooperation to increase FDI and trade opportunities

    VI.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는 한국의 중국내 해외직접투자가 한중 양자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한국기업의 중국내 투자 중 가공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는 양자간 무역, 특히 중국의 수입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반면 가공무역은 한국에 대한 중국의 무역적자 폭에 영향을 줌에 따라, 양국간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의 중국내 해외직접투자에서 특징적은 것은 수출중심의 노동집약적 가공 부품조립 산업이다. 중국의 시급한 과제는 범 지역적으로 확산되는 경제의 세계화와 해외투자자본을 적절히 활용하여 수출극대화를 기하는 것이다. 중국은 경쟁우위의 제품생산을 발전시키고 수출우위의 기업을 지원하며 기계, 전자, 고도의 기술상품 생산을 통해 수출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중국정부는 한국기업의 중국내 투자 유치 및 고도의 기술상품 생산기지 건설을 적극적으로 장려할 것이다.
  • 최근 해외자본유출의 원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최근 해외자본유출의 원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자본시장의 세계적 통합과 한국의 무역흑자, 그리고 지속적인 자본축적 등은 한국이 더 이상 자본유입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자본유출을 효율적으로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과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는 외환자유화의 일정을 제시하고 이를 ..

    윤덕룡 외 발간일 2005.12.30

    금융정책, 자본시장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자본유출 현황 / 송원호
    1. 도입
    2. 자본유출의 전반적 현황
    가. 공식적 자본유출
    나. 비공식적 자본유출
    3. 비공식적 자본유출의 특징 및 경제적 영향
    가. 비공식적 자본유출의 변동성 및 평균
    나. 비공식적 자본유출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다. 비공식적 자본유출과 경기변동
    라. 비공식적 자본유출과 자본자유화의 진전
    4. 종합적 평가

    제3장 자본유출의 원인 분석 / 윤덕룡ㆍ전종규
    1. 도입
    2. 자본수익률 격차에 의한 자본유출 현상
    3. 사유재산권 제도와 자본유출
    4. 실증 분석
    가. 자본수익률 격차에 의한 자본유출 현상 평가
    나. 사유재산권 제도와 자본유출 현상
    5. 결론 및 시사점

    제4장 국내 자본의 해외투자 결정요인: 중력모형을 이용한 분석/ 신관호ㆍ오용협
    1. 도입
    2. 연구의 방향: 무역량, 해외직접투자, 은행 해외대출
    3. 선행연구
    4. 연구방법
    가. 확장 중력모형
    나. 데이터
    5. 모형의 추정결과
    가. 무역량에 대한 중력모형 추정결과
    나. 해외직접투자(FDI)에 대한 중력모형 추정결과
    다. 은행의 해외대출에 대한 중력모형 추정결과
    6. 정책적 시사점 및 정책 제안

    제5장 해외자본도피 주요 사례: 자본도피 추정 및 정책적 시사점/ 양두용ㆍ백승관
    1. 도입
    2. 자본도피의 정의 및 측정
    가. 잔여방법
    나. Hot Money 방법
    다. Dooley 방법
    라. 送狀 작성의 오류 (Trade misinvoicing)
    3. 자본도피 결정요인들에 관한 기존 주요 실증연구 개관
    4. 자본도피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 경제성장
    나. 소득분배
    다. 정부의 재정
    라. 금융 시스템
    5. 주요 자본도피 사례
    가. 라틴아메리카의 자본도피
    나. 체제전환국의 자본도피
    6. 실증분석
    가. 자본도피 추정
    나. 설명변수
    다. 실증분석 모형과 결과
    7.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6장 주요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정책방향
    1. 자본유출 현황관련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방향
    2. 자본유출 원인관련 분석의 주요 시사점과 정책방향
    3. 해외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정책방향
    4. 해외 자본도피 주요 사례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정책방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자본시장의 세계적 통합과 한국의 무역흑자, 그리고 지속적인 자본축적 등은 한국이 더 이상 자본유입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자본유출을 효율적으로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과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는 외환자유화의 일정을 제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생략)
  •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
    동북아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

    교역과 투자 면에서 동북아 경제협력은 지난 10여년간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빠른 기능적 경제통합과는 대조적으로 교역과 투자 면에서의 제도화는 부진하였다. 동북아 경제협력 초기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던 에너지, 철도 및 환경 부문..

    이창재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동북아 경제협력의 현황과 국제정치적 여건
    1. 교역·투자에서의 기능적 통합
    가. 세계 교역 및 투자에서 동북아지역의 위상
    나. 기능적 통합의 진전
    다. 제도화 모색
    2. 주요 부문별 경제협력 현황
    가. 에너지협력
    나. 철도협력
    다. 환경협력
    3. 동북아 경제공동체 형성의 국제정치적 여건
    가. 동북아 지역협력에 대한 주요국별 입장
    나.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국제정치적 쟁점과 여건
    다. 동북아 안보협력과 경제협력의 상호관계

    제3장 부문별 협의체 및 협력체 구성
    1. 동북아 에너지협의체
    가. 사례연구
    나. 동북아 에너지협의체의 유형 및 성격
    2. 동북아 철도협의체
    가. 국제 철도협력 사례연구
    나. 동북아 철도협의체 구성방안과 기능
    3. 동북아 환경협력체
    가. 사례연구
    나. 동북아 환경협력체 형성을 위한 추진과제

    제4장 동북아 경제협력체의 단계적 실현전략
    1. 동북아 경제협력체
    가. 동북아 경제협력 장기목표의 필요성과 조건
    나. 장기목표로서의 동북아 경제협력체
    2. 단계적 추진전략
    가. 동북아 경제협력체 형성의 기반조성
    나. 부문별 협의체(협력체) 및 동북아 경제협의체
    다. 동북아 FTA
    3. 한국의 역할

    부 록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교역과 투자 면에서 동북아 경제협력은 지난 10여년간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빠른 기능적 경제통합과는 대조적으로 교역과 투자 면에서의 제도화는 부진하였다. 동북아 경제협력 초기부터 관심의 대상이었던 에너지, 철도 및 환경 부문에서는 그동안 무수한 논의와 담론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성과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 (생략)
  •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와 정책과제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와 정책과제

    그동안 역동적인 성장패턴을 보여온 동아시아 지역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압축적인 성장을 달성하면서 북미자유무역지대(NAFTA), 유럽연합(EU)에 이어 3대 경제권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1990년대 중반까지 급속한 공업화를 기반으로 순차적인 경제발..

    권율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개혁,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

    제2장 ASEAN+3의 기능적 통합과 상호 의존성
    1. ASEAN+3 교역ㆍ투자 구조의 특징
    가. ASEAN+3의 교역 현황과 구조
    나. ASEAN+3의 직접투자패턴과 특징
    2. ASEAN+3의 역내 분업구조와 상호 의존성
    가. 역내 교역ㆍ투자 구조와 특징
    나. RCA 지수로 본 ASEAN+3 국가의 비교우위 분석
    다. ASEAN+3 교역구조의 상호 보완성 분석
    3. 중력모형을 통해서 본 ASEAN+3 역내 무역의 특성
    가. 중력모형의 설정
    나. 분석결과
    4. ASEAN+3의 기능적 통합에 대한 평가

    제3장 ASEAN+3 협력체제의 성립과 발전
    1. ASEAN+3 협력체제의 추진배경
    가. 제도적 통합의 필요성
    나. ASEAN+3 협력체제의 추진경위
    2. ASEAN+3 협력체제의 주요 특징
    가. ASEAN 주도의 협의체
    나. 다층적 협력체제
    다. 다양한 민간협의체제
    3. ASEAN+3 협력체제의 성과와 과제
    가. 경제협력사업의 확대
    나. 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
    다.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구도변화

    제4장 ASEAN+3 금융협력의 성과와 과제
    1. 동아시아 역내 금융협력의 추진 배경
    2.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과 평가
    가. ASEAN+3 재무장관회의
    나. 아시아 채권시장 논의 현황과 과제
    다. 포스트 치앙마이 구상
    3. 역내 금융협력의 과제와 전망
    가. 동아시아 금융협력 및 통합에 대한 장애요인
    나. 포스트 치앙마이 구상을 위한 지역금융협정의 발전방안
    다. 효과적인 정책협의와 감독체제의 발전방안

    제5장 ASEAN+3 역내 개발협력 현황과 과제
    1. 역내 개발격차 현황
    가. 역내 개발격차 현황
    나. ASEAN+3 체제내 개발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
    2. 역내 개발격차 해소를 위한 주요 프로그램
    가. 메콩(Mekong)강 유역 개발사업
    나. ASEAN 이니셔티브
    다. ESCAP 이니셔티브: 하이파이 계획
    3. 주요국의 역내 개발협력 추진 전략 및 지원 현황
    가. 한국의 전략 및 지원 현황
    나. 중국의 전략 및 지원 현황
    다. 일본의 전략 및 지원 현황
    4. 역내 개발협력의 과제와 전망

    제6장 한국의 대응전략과 정책과제
    1. ASEAN+3 협력체제에 대한 평가
    2. 동아시아 지역협력과 한국의 역할
    3. 중점 추진과제
    가. 역내 협력채널의 다각화
    나.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주도권 강화
    다. 한ㆍASEAN FTA를 활용한 경협확대
    라. 역내 개발격차 완화

    제7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그동안 역동적인 성장패턴을 보여온 동아시아 지역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압축적인 성장을 달성하면서 북미자유무역지대(NAFTA), 유럽연합(EU)에 이어 3대 경제권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1990년대 중반까지 급속한 공업화를 기반으로 순차적인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역내 분업구조에 의한 상호 의존관계가 심화ㆍ발전됨에 따라 기능적 통합이 크게 진전되었다. (생략)
  •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최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는 북·중 경제관계의 급격한 성장을 놓고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현재 중국은 북한에 있어서 제1위의 교역과 투자 및 지원국가로 자리매김 되어 있다. 이것은 현재 세계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

    조명철 외 발간일 2005.12.30

    북한경제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전제
    4. 연구의 방법

    제2장 북한과 중국의 상호 경제정책
    1. 양국의 경제관계에 미치는 주요 변수
    가. 양국의 경제발전전략과 그 변화
    나. 동북아의 정세변화
    다. 양국 내부의 권력관계 변화
    라. 양국의 경제력 수준
    마. 한국에 대한 이해관계의 증가
    바. 지도자간 이데올로기와 전통적 교감의 쇠퇴
    2. 북한의 대중국 경제정책
    가. 대중국 경제정책의 변화과정
    나. 새로운 대중국 경제정책
    3. 중국의 대북한 경제정책
    가. 대북한 인식변화
    나. 대북한 경제정책

    제3장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1. 최근 북한경제의 무역의존도 변화 추이
    2. 최근 양국간 경제관계 현황
    가. 무역
    나. 투자
    다. 원조
    3. 북한의 대중국 무역경쟁력 평가
    4 양국간 무역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가. 무역과 경제성장에 대한 이론적 배경
    나. 대외무역이 성장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다. 무역이 성장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제4장 북한 내부에서 본 대중 경제적 의존실태
    1. 생산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공장의 원자재, 설비 조달
    나. 군수공장의 기계·설비 조달
    다. 개인수공업의 원자재·설비 조달
    2. 상품유통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북한내 유통망과 중국상품 유입
    나. 화교 및 중국자본과 상품유통
    3. 서비스·수송 분야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소규모 서비스업체의 확대와 중국상품 유입
    나. 수송 분야
    4. 금융 측면에서 본 대중국 의존실태
    가. 화교와 사금융
    나. 상품수출 조건부 금융

    제5장 한국의 대응과제
    1. 북·중 경제전망관계가 남북경협에 주는 시사점
    2. 북·중 경제관계 전망
    3. 북·중 경제관계 밀접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가. 긍정적 측면
    나. 부정적 측면
    4. 정책적 대응과제
    가. 경쟁력 있는 제도 구축과 실질적 적용
    나. 물리적 연계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
    다. 새로운 물류·통행·통신·통관체계 확립
    라. 남북한 자유교역의 추진
    마. 남북한 산업의존성 확대
    바. 중국의 경제정책과 경제개발전략 활용
    사. 남·북·중 3각협력 추진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북·중간 무역이 경제성장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분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최근 한국과 국제사회에서는 북·중 경제관계의 급격한 성장을 놓고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첫째, 현재 중국은 북한에 있어서 제1위의 교역과 투자 및 지원국가로 자리매김 되어 있다. 이것은 현재 세계에서 북한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이 가장 큰 나라가 바로 중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이 어떤 이유로든 대북한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면, 북한이 받게 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대단히 클 것이라는 것이 공통된 주장이다. 그렇다면 현재 북한경제가 어느 정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가에 대한 현실 파악이 가장 중요한 문제제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는 교역 및 투자 의존도, 산업생산을 위한 에너지 및 원부자재 의존도,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중국의 경제적 영향정도, 북·중 경제관계가 북한의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략)
  • Rationale for a China-Japan-Korea FTA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Rationale for a China-Japan-Korea FTA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본 연구는 한·중·일 FTA의 필요성을 경제적 편익 증대라는 전통적인 동기와 대외환경변화에 대한 대처라는 상황적 논거 외에도 발상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생략)

    Chang Jae Lee et al.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Foreword

    Preface

    Abstract

    I. Introduction

    II. Need for a CJK FTA
    1. Economic Benefits of a CJK FTA
    2. Effective Response to Regionalism
    3. Need for a CJK FTA: Alternative Thinking

    III. Macroeconomic Effects of a CJK FTA
    1. CGE model
    2. Distinctions from Preceding Studies
    3. Structure of the CGE model
    4. Scenarios of CJK FTA
    5. Outcome of the Analysis

    IV. Effects on the Manufacturing Sector
    1. Features of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e Selection of Sensitive Products
    2. Electronics Industry
    3. Automobile Industry
    4. General Machinery Industry
    5. Textile Industry
    6. Steel Industry
    7. Petrochemical Industry

    V. Effects on Agriculture and Fisheries
    1. Competitiveness of Major Agriculture Products
    2. Effects of Agriculture Opening by a CJK FTA
    3. Trade Specialization of Major Fishery Products
    4. Effects of a CJK FTA in the Fishery Sector

    VI. Implications for the Service Sector
    1. Concept and Significance of Service
    2. Classification of Service and International Trade
    3. Growing Importance of the Service Sector in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Economies
    4. International Status of the Service Sectors in Korea, China, and Japan
    5. Comparison of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Sector of Korea, China, and
    Japan
    6. Sensitive Service Sectors of Korea, China, and Japan
    7. Direction for the Service Sectors in a CJK FTA

    Appendix

    References

    Contributing Authors
    국문요약
    본 연구는 한·중·일 FTA의 필요성을 경제적 편익 증대라는 전통적인 동기와 대외환경변화에 대한 대처라는 상황적 논거 외에도 발상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생략)
  • Feasibility and 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Feasibility and 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최근 들어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의 FT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간 영화시장 개방문제와 함께 한·미 FTA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해오던 농업부문에서 향후 10년간 개방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

    Junkyu Lee and Hongshik Lee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Preface

    Acknowledgements

    Executive Summary

    Chapter I. Introduction
    1. Background for a Korea-U.S. FTA
    2.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ntegrated and Extensive
    3. Content and Organization

    Chapter II. U.S. Strategy for FTAs: Obstacles and Opportunities for Korea
    1. U.S. Trade Negotiating Strategy
    2.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for FTA negotiations
    3. U.S. Trade Policy on Separate Areas in FTAs
    4. Chapter Conclusion: Comparison with Korean FTA Strategy

    Chapter III. Korea-U.S. Economic Relations, Issues and Competitiveness
    1.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
    2. Current Bilateral Trade Related Issues
    3. Comparison of Competitiveness Using Three Methods
    4. Chapter Conclusion

    Chapter IV. Macro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1. Analysis of Macro Economic Effects
    2. Effects of a Korea-U.S. FTA on Korean Service Sector
    3. Chapter conclusion
    Chapter V. The Political Economy of a Korea-U.S. FTA
    1. Korea as an FTA Partner for the United States: Why?
    2. The United States as an FTA Partner for Korea: Why?
    3. Trade Micro-Politics: Product Issues
    4. Trade Macro-Politics: Coalitions, Presidents and Parties
    5. Conclusions and Consequences for East Asia

    Chapter VI. Conclusions
    1. Effects of a Korea-U.S. FTA
    2. Non-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3. Opportunity Cost of Not Having a Korea-U.S. FTA
    4. Policy Implications

    Annex

    References

    Contributing Authors
    국문요약
    최근 들어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의 FT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간 영화시장 개방문제와 함께 한·미 FTA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해오던 농업부문에서 향후 10년간 개방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고령농의 자연은퇴 진전과 선진국형 사회보장지출에 의한 농가소득 지원 가능성 증대가 전망되면서, 한·미 FTA의 실현가능성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생략)
  • Economic Effects of a Korea-China FTA and Policy Implications(I)
    Economic Effects of a Korea-China FTA and Policy Implications(I)

    세계 각국은 FTA추진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다. 아시아 경제권이 서서히 통합되어 가고 있고,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인한 경제 추격이 가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중국과의 FTA를 대비한 국내산업보호 및 육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

    Hongshik Lee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
    원문보기
    목차
    Preface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1. Background of a Korea-China FTA
    2. Pursuit of a Korea-China FTA
    3. Overview of Methodologies

    II. Korea and China's FTA Strategies
    1. Korea's FTA Strategy
    2. China's FTA Strategy

    III. The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1. Trade Patterns
    2. Investment Patterns
    3. A Competitiveness Analysis in Korean and Chinese Industries
    4. Comparison of Tariff Rates of Korea and China

    IV.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a Korea-China FTA
    1. Analysis of the Macroeconomic Effects
    2. Effects of a Korea-China FTA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V. Conclusion
    1. Potential Economic Effects of a Korea-China FTA
    2. Policy Implications
    3. Limitations and Future Work

    References

    Contributing Authors
    국문요약
    세계 각국은 FTA추진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다. 아시아 경제권이 서서히 통합되어 가고 있고, 중국의 고도성장으로 인한 경제 추격이 가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중국과의 FTA를 대비한 국내산업보호 및 육성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중국과의 협동연구 1차 과제로서, 한국과 중국의 FTA체결 시 발생할 거시경제적인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대중 FTA를 대비하여 한국경제가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GTAP모형을 이용한 CGE분석과 중력모형에 기반한 외국인직접투자(FDI)분석을 통하여 거시적인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