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76/290
-
Africa in the World Economy: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Challenges
아프리카 경제의 개발 및 성장은 현재 지구상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경제현안 중의 하나로서 이와 관련하여 2000년 9월 UN 이사회에서 전세계 국가 및 개발기구의 합의하에 제창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은 2015년까..
Jan Joost Teunissen 외 발간일 2006.04.05
경제개발, 자본시장원문보기목차Acknowledgements
Notes on the Contributors
Abbreviations
1. Clichés, Realities and Policy Challenges of Africa: By Way of
Introduction
PART I
THE DEVELOPMENT PARADIGM FOR AFRICA
2. Understanding African Poverty: Beyond the Washington Consensus to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pproach
3. The Challenge of African Development: A View from latin America
4. Are the MDGs Helping Africa to Become Independent?
5. Development Beyond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ART II
THE NATIONAL AND REGIONAL CHALLENGES FOR AFRICA
6. Original Sin and Bond Market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7. Role of the State in Financial Sector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
8. Capital Market Development in Uganda
9. Infrastructure, Regional Integration and Growth in Sub-Saharan Africa
10. Infrastructure, Regional Integration and Growth in Africa
11. Challenges for Regional Integration in Sub-Saharan Africa: Macroeconomic
Convergence and Monetary Coordination
12. Is Sub-Saharan Africa an Optimal Currency Area?
PART III
THE INTERNATIONAL CHALLENGES: TRADE AND FINANCE
13. Africa's Development and External Constraints
14. Keeping Africa's Policies on the Right Track
15. An Integrated Approach to Africa's Development Constraints
16. South-South Investment: The Case of Africa
17. Africa's External Constraints: What Developed Countries Should Do국문요약아프리카 경제의 개발 및 성장은 현재 지구상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경제현안 중의 하나로서 이와 관련하여 2000년 9월 UN 이사회에서 전세계 국가 및 개발기구의 합의하에 제창된 새천년개발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은 2015년까지 아프리카 경제의 개발을 위한 8개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목표는 아프리카 경제에 대해 극빈 탈출, 기초교육의 달성, 남녀 차별 철폐, 신생아 조사율 감소 및 임산부 건강 개선, HIV/AIDS으로부터의 안전, 환경문제, 글로벌 경제와의 동반자관계 형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생략) -
Road to Prosperity and Cooperation : Financial Hub in Northeast Asia
Road to Prosperity and Cooperation : Financial Hub in Northeast Asia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외 발간일 2006.03.20
금융정책, 금융통합원문보기목차Contents
Opening sessionxx
Welcoming Remarks / Han, Duck Soo
Welcoming Remarks / Yoon, Jeung Hyun
Keynote Speech
The Role of Financial Development in a Maturing Economy / John Williamson
sessionxx 1 : Development Financing in East Asia
Opening Remarks / Kim, Chang Lok
Subject 1 : Strategic Approach for Development Financing and Rile of Private Capital
Presentation 1
Development Financing in Northeast Asia : Strategic Approach for Private Capital / Thankom Gopinath Arun
Presentation 2
Strategic Approach for Development Financing and Role of Private Capital / Kim, Sang-Loh
Discussion / John Walker ; Jianping Zhao ; Akira Kawamura ; Hyun, Oh Seok
Question & Answer sessionxx / Hanjin Sunhang ; Kim, Sang Loh ; Thankom Gopinath Arun ; Chair
Subject 2 (Korea EXIM Bank) : Application of Public Capital to Development Financing in Northeast Asia
Opening Remarks / Shin, Dong Kyu
Presentation 1
Public Capital to Development Financing in North East Asian Region (NEAR) / Cheong, Young Rok
Presentation 2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East Asia Development Bank and Korea role on it : Tentative plan / Yasuhiro Chiba
Discussion / Junlu Ma ; Konstantin Roslyakov ; Tsogtsaikhan Gombo ; Lee-Jay Cho
sessionxx 2 (KAMCO) : Prospects for Asian Corporate Restructuring Market and Role of KAMCO
Opening Remarks / Kim, Woo Suk
Presentation 1
Prospects for the Asia Corporate Restructuring Market / Robert E. Young Jr.
Presentation 2
KAMCO & NPL Markets is Asia / Rhee, Changyong
Discussion / David Chon ; Helei Qu ; Thomas W. Albrecht
sessionxx 3 (KIC) : Global Trend of and Prospects for Government Investment Management Companies
Opening Remarks / Lee, Kang Won
Presentation 1
Improving the Chances for Success at Government Investment Funds / Bruce Pflaum
Presentation 2
Reserve Management in Singapore: The GIC Experience / Sung, Cheng Chih
Presentation 3
KIC : Present and Future / Lee, Kang Won
Discussion / Mark P. Speciale ; Brian P. Baker ; Evan Hale
Question and Answer sessionxx
Panel Discussion :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Hub in Korea
Questions From The Floor
국문요약Road to Prosperity and Cooperation : Financial Hub in Northeast Asia -
WTO 서비스 국내규제 논의동향과 주요의제
본 보고서는 국내규제 규범 제정에 관한 WTO의 논의를 국내에 소개하고 우리의 대응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GATS와 국내규제의 관계를 통해 WTO 국내규제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고 전문직서비스작업반과 국내 규제작업반..
송영관 발간일 2005.12.31
규제개혁,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 제정 논의 배경 및 동향
1. 규범 제정의 필요성
2. GATS와 국내규제
3. WTO 논의동향 개관
가. 전문직서비스작업반
나. 국내규제작업반
제3장. 전문직서비스작업반 주요 논의
1.「회계부문 자격상호인정에 관한 지침」
2.「회계부문 국내규제 규범」
가. 개관 및 주요 특징
나. 상세 내용
제4장. 국내규제작업반 주요 논의
1. 총괄적 논의
가. 규범 적용의 범위
나. 투명성 강화
다. 필요성 심사 도입
2. 요소별 논의
제5장.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보고서는 국내규제 규범 제정에 관한 WTO의 논의를 국내에 소개하고 우리의 대응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GATS와 국내규제의 관계를 통해 WTO 국내규제 논의의 배경을 살펴보고 전문직서비스작업반과 국내 규제작업반 논의 동향을 고찰한다. 또한 전문직서비스작업반에서 제정된 회계부문 자격상호인정에 관한 지침과 회계부문 국내규제 규범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국내규제작업반 주요 논의를 분석하여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
Exchange Rate System in India: Recent Reforms, Central Bank Policies and Fundame..
본고는 환율제도를 비롯, 인도 외환체제 개혁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교역재와 비교역재 부문의 가격 차를 이용하여 1993년 환율제도 변경 이후 인도 루피화와 미국 달러화 환율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최근 인..
Vivekanand Jayakumar 외 발간일 2005.12.30
통화정책, 환율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ecent Changes in India's Exchange Rate System and RBI Policies
1. The 1991 Balance of Payment Crisis
2. Changes in the Rupee Exchange Rate Regime
3. Central Bank Actions in the Forex Market
III. Capital Flows, Impossible Trinity, and Foreign Exchange Reserve
Management
1.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in India
2. The Impossible Trinity
3. Foreign Exchange Reserve Management
IV. Fundamental Determinants of India's Real Exchange Rates
1. Introduction
2. Exchange Rate Movements in India
3. Model and Methodology
4. Long Run Movements of Real Exchange Rates
5. Innovation Accounting
6. Implication of the Empirical Test
V. Future Directions for the Rupee and the Reserve Bank of India
1. A Fear of Floating
2. Inflation Targeting
VI. Conclusion
References국문요약본고는 환율제도를 비롯, 인도 외환체제 개혁의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교역재와 비교역재 부문의 가격 차를 이용하여 1993년 환율제도 변경 이후 인도 루피화와 미국 달러화 환율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최근 인도 중앙은행이 고려하고 있는 자유변동환율제와 선진적 통화정책, 특히 인플레이션 타게팅의 전제 조건과 수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1991년 통화 위기 이후 인도의 외환체제 개혁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환율과 통화정책의 안정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문간 가격 차이에 기초한 루피·달러화 환율의 공적분 분석에 따르면 양국에서 교역재 부문과 비교역재 부문의 가격 차이가 1% 증가하면 실질환율은 약 0.6% 증가하였다. 또한 본고는 자본시장 개방과 무역 자유화에 따라 인도경제의 대외의존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인도 중앙은행의 추가적 자유화 조치들은 환율과 통화의 불안정을 고려하여 매우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A Roadmap for the Asian Exchange Rate Mechanism
동아시아 지역의 환율체제 구상은 세계화의 진전으로 대두된 금융안정 필요성에 대해 역내 차원의 협력 없이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현실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생략)
Gongpil Choi and Deok Ryong Yoon 발간일 2005.12.30
통화정책, 환율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Requirements for Regional Financial Stability
III. Creation of ACU: Parallel Currency or Basket Numeraire
IV. AERM: Multilateral Exchange Rate Arrangement with the ACU
V. Other Considerations
VI.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Annex국문요약동아시아 지역의 환율체제 구상은 세계화의 진전으로 대두된 금융안정 필요성에 대해 역내 차원의 협력 없이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현실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생략) -
Exchange Rates, Shocks and Inter-Dependency in East Asia: Lessons from a Multina..
본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 기타 동아시아국가군, 미국, 기타 세계국가군 등 6개 국가 및 지역군 간 경제의 상호의존도를 무역의 의존도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는 다국가 개방거시경제모형을 제시한다. (생략)
Sophie Saglio 외 발간일 2005.12.30
금융위기, 자본시장원문보기목차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rade Openness and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in East Asia
III. A Macroeconomic Model for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1. Foreign trade
2. The model of internal demand
3. Adjustment representative parameters
IV. Symmetric and Asymmetric Shocks and Interdependency in East Asia
1. External symmetric shocks
2. Asymmetric shocks
3. A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East Asian exchange rate regimes
V. Conclusion
References
Annex 1. The Share of Intra and Extra Trade
Annex 2. The Calculations of Indicators
Annex 3. Main Econometric Results
Annex 4. Diffusion Effects국문요약본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 기타 동아시아국가군, 미국, 기타 세계국가군 등 6개 국가 및 지역군 간 경제의 상호의존도를 무역의 의존도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하는 다국가 개방거시경제모형을 제시한다. (생략) -
WTO/DDA 협상 동향 및 향후 전망
개최 배경GATT체제하에서의 제8차 다자무역협상인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결과 1995년 규범중심의 다자무역체제의 기틀이 되는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하였다. UR협상에서는 관세 외에 서비스무역,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규범을 마련하는 성과를..
강문성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개방, 다자간협상원문보기목차배경 및 요약
I. 행사 개요
II. 발표 및 토론내용
부록
발표논문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개최 배경
GATT체제하에서의 제8차 다자무역협상인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결과 1995년 규범중심의 다자무역체제의 기틀이 되는 세계무역기구(WTO)가 출범하였다. UR협상에서는 관세 외에 서비스무역,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규범을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관세, 농업,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미결과제를 남겨두었다. WTO 출범 이후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2001년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제4차 WTO 각료회의에서 제9차 다자무역협상인 DDA(도하개발아젠다) 출범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생략) -
21세기 한·멕시코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비전과 협력과제
□ 지난 2001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멕시코 정상회담의 주요 부속사업으로 설립된 「한국-멕시코 21세기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그간 4차례의 회의를 개최하고 그 후의 집필작업을 통해 「한국-멕시코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구축을 위한 구상..
한·멕시코 21세기위원회 발간일 2005.12.30
경제협력,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보고서를 제출하며
위원회 활동 경위
한ㆍ멕시코 동반자관계의 비전과 협력 과제 / 양수길, 카시오 루이셀리
Ⅰ. 목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구축
Ⅱ. 21세기 두 나라 공통의 당면과제
Ⅲ.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비전
Ⅳ. 한ㆍ멕시코 관계의 현황
Ⅴ.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구축을 위한 주요 추진과제
부록: 한ㆍ멕시코 협력의 부문별 현황과 기회
제1장 공통된 국가이익과 협력의 틀 / 김성한, 에우헤니오 앙기아노
1. 정치적 여건
2. 두 나라에 대한 공통적 도전
3. 한ㆍ멕시코 관계의 비전
4. 쌍무협력의 제도적 틀 강화
제2장 경제관계: 무역과 투자 / 김원호, 훌리안 벤투라
1. 서론
2. 무역관계
3. 투자관계
4. 자유무역협정의 필요성
제3장 산업관계 / 김도훈, 알도 플로레스
1. 공통된 과제: 산업구조의 선진화
2. 협력의 원천: 상호 보완성
3. 유망한 협력 분야
4. 산업협력 추진의 제도적 틀
제4장 문화교류 / 고혜선, 알프레도 로메로
1. 문화협력 쇄신의 필요성
2. 한ㆍ멕시코 문화교류의 역사
3. 2000~02년 교육문화교류 프로그램
4. 2003~06년 교육문화교류 프로그램
5. 문화교류 심화를 위한 추진 과제국문요약□ 지난 2001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멕시코 정상회담의 주요 부속사업으로 설립된 「한국-멕시코 21세기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그간 4차례의 회의를 개최하고 그 후의 집필작업을 통해 「한국-멕시코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구축을 위한 구상: 21세기 공동번영을 위한 협력의 비전과 대책」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완성하여 양국 외무장관에게 제출하는 바임. (생략) -
한 · EFTA FTA의 주요 내용
본 연구는 2005년 12월 15일 한국과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국가 정부간에 정식으로 서명된 한-EFTA FTA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 FTA를 통해 우리는 선진경제권과의 FTA로 FTA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양국간 산업의 상호보완성으로..
외교통상부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05.12.30
경제통합원문보기목차발간에 부쳐
I. 한·EFTA FTA 협정의 의의 및 기대효과
1. 협상 경과
2. 협정의 의의 및 기대효과
II. 한·EFTA FTA 협정의 주요 내용
1. 협정문 구조
2. 분야별 협정문의 주요 내용 전문
제1장 일반 조항
제2장 상품무역
제3장 서비스무역
제4장 금융서비스
제5장 경쟁
제6장 정부조달
제7장 지식재산권
제8장 조직규정
제9장 분쟁해결
제10장 최종조항
별도 협정문 47
3. 양허안의 주요 내용
III. EFTA에 대하여
1. EFTA 소개
2. 우리나라와 EFTA의 경제관계
부록: 한·EFTA FTA 협정문 목차
국문요약본 연구는 2005년 12월 15일 한국과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국가 정부간에 정식으로 서명된 한-EFTA FTA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 FTA를 통해 우리는 선진경제권과의 FTA로 FTA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양국간 산업의 상호보완성으로 상호 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우리 제품의 EFTA 시장진출이 확대될 것이며, 농업과 서비스업 등의 경쟁력 강화로 우리 산업의 균형적 발달에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의 투자환경이 개선되어 EFTA 국가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으로부터의 투자가 활성화될 것이다. 한편, 개성공단 생산제품에 대한 관세특혜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남북경협사업에 도움을 줄 것이며, EFTA를 비롯한 여타 유럽에서 우리나라 상품의 인지도가 증가하고 향후 EU와의 FTA 추진을 위한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본인식하에 협정문의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주요 양허안의 내용, 그리고 EFTA 국가들에 대한 소개 및 양국간 경제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
중국의 산업고도화 및 기업성장의 현황과 시사점: 중국 위협의 재평가
본 연구는 중국경제의 부상과 한ㆍ중 경제협력의 심화과정에서 초래된 중국으로 인한 기회, 위협, 위험 중에서 특히 중국 위협의 내용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생략)
지만수 외 발간일 2005.12.30
경제발전,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 지만수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가. 문제제기 : 중국 위협의 정확한 인식
나. 연구의 목적과 범위
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교역구조 분석: 중국 위협의 현황 / 최의현
1. 중국의 교역구조와 수입대체 위협
가. 중국의 교역상품 구조
나. 가공무역 중심의 교역구조
다. 수입대체 위협의 현황
2. 수출고도화 위협에 대한 평가
가. 해외시장에서 시장점유율 변화
나. 한ㆍ중 현시비교우위의 변화
다. 한ㆍ중 수출경합도 분석
3. 교역구조 고도화와 외자기업
가. 외자기업의 비중
나. 외자기업에 의한 수출고도화와 그 한계
제3장 중국 산업정책의 성격과 최근 동향 / 이남주
1. 적극적 산업정책과 중국 위협
2. 중국 산업정책의 변화
가. 산업간 불균형 해소(1979~1991년)
나. 육성정책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모색(1992~1997년)
다. 시장지향형 산업정책의 형성(1998~2001년)
3. 산업정책의 효과
가. 경쟁제한적 산업정책의 효과
나. 경쟁촉진적 산업정책의 효과
다. 산업정책의 효과에 대한 평가
4. 최근 산업정책의 경향과 전망: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가. 5개년계획의 산업정책
나. 자동차산업정책
다. 철강산업정책
라. 향후 산업정책의 전망
제4장 주요 산업의 고도화: 내부구조의 평가 / 김석진
1. 검토의 기본 시각
2.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 실태와 전망
가. 산업구조의 장기적 변화
나. 최근 신흥 주력산업의 부상과 전망
3. 주요 업종별 발전 현황과 전망
가. 철강
나. 석유화학
다. 자동차
라. 전자
4. 종합적 평가
제5장 중국 대기업의 성장과 한계 / 지만수
1. 중국 대기업의 현황과 특징
가. 대기업의 정의
나. 대기업의 현황과 특징
2. 글로벌 기업과의 비교
가.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중국기업
나. 글로벌 대기업과 중국 대기업의 비교
3. 중국 대기업의 연구개발 능력과 국제비교
가.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나. 중국 연구개발 투자의 국제비교
4. 주요 대표기업에 대한 평가
가. 전자산업: 하이얼, 격심한 경쟁 속의 다각화와 국제화
나. 자동차산업: 제일자동차, 합자를 통한 기술습득
다. 철강산업: 바오산강철, 외국기술 도입과 집단화
제6장 중국기업의 국제화와 그 의미 / 백권호
1. 중국기업 해외진출의 현황
가.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태동과 시작
나. 해외직접투자 현황과 추이
다. 업종별 추이
2. 중국기업 해외진출의 주요 동기
가. 정부정책 변화의 동기
나. 기업의 동기
3. 주요 해외직접투자 사례
가. TCL의 해외직접투자
나. 경동방의 하이디스 인수
다. 롄샹(lenovo)의 IBM 인수합병
라. 상하이 자동차의 쌍용자동차 인수
4. 중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평가와 전망
가. 중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평가
나.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전망
제7장 결론: 위협의 재평가와 대응전략 / 지만수
1. 중국의 위협에 대한 종합적 평가
가. 중국 위협의 재평가
나. 중국 위협의 산업별 평가
다. 중국 진출 외자기업의 위협에 대한 재인식
2. 중국 위협에 대한 대응방향
가. 인식의 전환
나. 산업과 기업의 대응방향
다. 정부의 역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중국경제의 부상과 한ㆍ중 경제협력의 심화과정에서 초래된 중국으로 인한 기회, 위협, 위험 중에서 특히 중국 위협의 내용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