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70/290
-
Financial Liberalization, Crises, and Economic Growth
자본시장 개방에 대해서는, 금융시장 발전을 통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liberalization effect)를 갖는다는 시각과 경제위기를 초래하여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효과(crisis effect)를 가져온다는 시각이 상존한다. (생략)
이인구 외 발간일 2007.10.30
경제발전, 금융자유화원문보기목차I. Introduction
II. The Empirical Model
1. The Benchmark Regression Model
2. The Alternative Model
3. Data
III. The Results
1.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Crises
2.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3. Financial Liberalization, Crises and Economic Growth
4. Financial Liberalization, Crises and Interest Rates
I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국문요약자본시장 개방에 대해서는, 금융시장 발전을 통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liberalization effect)를 갖는다는 시각과 경제위기를 초래하여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효과(crisis effect)를 가져온다는 시각이 상존한다. (생략) -
한·중 FTA 반덤핑분야: 제도 및 예상 쟁점
한국과 중국은 2004년 11월 한·중 FTA 공동연구 실시에 합의한 이래 2005년부터 2년간 한·중 FTA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양국간 산·관·학 공동연구가 한창 진행 중으로, 공동연구의 결과가 나오는 시점에는 한·중 FTA 협상이 본격적으로..
정지원 외 발간일 2007.08.10
반덤핑제도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제2장. 한·중 반덤핑규제 현황 및 사례
1. 한국의 對중국 반덤핑규제
가. 현황
나. 사례
2. 중국의 對한국 반덤핑규제
가. 현황
나. 사례
다. 중국의 對한국 반덤핑규제 원인
제3장. 한·중 반덤핑제도
1. 한국의 반덤핑제도
가. 개요
나. 관련 개념
다. 덤핑조사 및 피해판정
2. 중국의 반덤핑제도
가. 개요
나. 관련 개념
다. 덤핑조사 및 피해판정
제4장. 한·중 FTA 반덤핑분야 예상 쟁점
1. 중국 반덤핑제도의 문제점
가. 개념의 정의 관련
나. 조사절차 관련
다. 사법심사제도
2. 한국과 중국의 반덤핑규정과 WTO 반덤핑협정
가. 국내산업의 범위
나. 조사신청 기각 및 종료사유
다. 정상가격과 수출가격의 비교
라. 가격약속 위반시 소급적용 문제
마. 재심
바. 보복조치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국문요약한국과 중국은 2004년 11월 한·중 FTA 공동연구 실시에 합의한 이래 2005년부터 2년간 한·중 FTA 공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양국간 산·관·학 공동연구가 한창 진행 중으로, 공동연구의 결과가 나오는 시점에는 한·중 FTA 협상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것으로 보인다. (생략) -
중국의 WTO 가입 5주년 결산: 중국의 대외경제정책과 한·중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2006년 12월 11일로 중국이 WTO에 가입한 지 5주년을 맞이하였다. WTO 가입 이후 중국의 무역정책, 외국인투자, 해외투자정책, 지역협력정책에 많은 전략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변화가 한국의 대중국 교역과 투자환경에 영향을 미치면서 한중..
양평섭 외 발간일 2007.07.30
경제협력,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구성
제2장. WTO 가입 시 약속사항에 대한 이행 평가
1. 상품분야 합의 및 이행상황
가. 무역권 개방: 무역업등록제 실시
나. 관세인하
다. 비관세조치의 철회
라. 반덤핑(Anti-dumping) 및 세이프가드(Safeguard)
마. 무역 관련 투자조치(TRIMs)
2. 서비스분야 합의 및 이행상황
가. 유통(도소매)
나. 금융
다. 운송 및 물류
라. 통신
마. 기타 서비스업
3. 기타 분야 합의 및 이행상황
가. 투명성 제고
나. 지식재산권 보호
다. 정부조달(Government Procurement)시장 개방
라. 기준·인증 제도
4.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시장개방도 평가
가. WTO 가입 합의에 대한 이행상황 평가
나. 중국경제의 개방도 평가
제3장. WTO 가입 이후 중국의 대외경제정책 변화
1. 무역정책 변화
가. 중국의 무역구조 변화
나. 무역정책 기조의 변화
다. 주요 무역 관련 제도 변화
2. 외국인투자정책 변화
가. 외국인투자 유입 현황과 특징
나. 외국인투자에 대한 시비론 제기
다. 외국인투자정책의 변화
3. 해외투자전략: 引進來에서 走出去로
가. 해외투자 '走出去' 전략 추진
나.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동기
다. 중국의 해외투자 현황과 특징
4. FTA 전략
제4장. WTO 가입 이후 한중 간 무역투자 관계 변화
1. 한중 간 무역관계의 변화
가. 한중 간 교역: 제2 확대기를 거쳐 안정화 단계에 진입
나. 주요 교역품목의 변화
다. 가공단계별 교역구조
라. 기술수준별 교역구조 변화
마. 교역 주체별 교역구조
2. 한국 대중국 투자의 변화
가. 대중국 투자의 폭발적 증가
나. 투자동기의 변화
다. 업종별 분포
라. 서비스분야의 대중국 투자 활성화
마. 기업규모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진출 확대
바. 단독투자기업의 선호
제5장. 시사점
1. 대중국 경제협력에 미치는 영향
가. 중국 무역 정책 및 제도 변화의 영향
나. 외국인투자정책 변화에 따른 대중국 투자 위축 가능성
다. 대중국 투자의 수출유발 효과 둔화 가능성
2. 대응방안
가. 무역분야의 대응방안
나. 대중국 투자 방안
다. 중국의 해외투자 확대에 대한 대응방안
라. 한중 FTA를 통한 대중 비즈니스환경 개선 노력 필요
참고문헌국문요약2006년 12월 11일로 중국이 WTO에 가입한 지 5주년을 맞이하였다. WTO 가입 이후 중국의 무역정책, 외국인투자, 해외투자정책, 지역협력정책에 많은 전략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변화가 한국의 대중국 교역과 투자환경에 영향을 미치면서 한중 경제관계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생략) -
동북아 대도시권 동태적 경쟁력의 비교연구
대도시지역이 세계경제를 견인할 것이라는 주장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했으며, 최근 중국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대도시권간 경쟁이 점차 가시화되기 시작한 동북아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일본과 중국 사..
김원배 외 발간일 2007.06.30
경제발전, 경제통합원문보기목차서문/김원배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대상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5. 연구의 구성
제2장 지역경쟁력의 개념과 경쟁력 영향 요인
1. 지역경쟁력 개념
2. 경쟁력 지표의 선정
3. 분석 틀의 구성: 지역 재구조화를 통한 경쟁력의 동태 분석
제3장 동북아 대도시권의 재구조화 과정
1. 대도시권의 일반 현황
2. 대도시권 재구조화 과정의 분석
가. 도쿄권
나. 오사카권
다. 나고야권
라. 서울권
마. 부산권
바. 베이징권
사. 상하이권
아. 광저우권
3. 대도시권 재구조화의 비교 분석
제4장 동북아 대도시권의 경쟁력 변화과정
1. 대도시권 경쟁력의 변화 추이
2. 대도시권 경쟁력 영향요인 분석
3. 대도시권 경쟁력의 종합적 이해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주요 결론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부록
1. 국제 워크숍 프로그램
2. 지역별 지표국문요약대도시지역이 세계경제를 견인할 것이라는 주장은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했으며, 최근 중국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대도시권간 경쟁이 점차 가시화되기 시작한 동북아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경제적 위상을 확고하게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는 주요 대도시권의 구조변화와 이에 따른 경쟁력 변화 추이를 객관적으로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생략) -
Determinants of Intra-FDI Inflows in East Asia: Does Regional Economic Integrati..
본 연구는 아세안 및 한∙중∙일 3국 등 동아시아 역내 국가를 대상으로 하여 동아시아국가에서 다른 동아시아국가로 유입되는 해외직접투자(FDI)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을 패널데이터를 통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특히 환율수준, ..
김정식 외 발간일 2007.06.15
경제협력, 외국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I. Introduction
II. Determinants of FDI and Economic Integration
III. Intra-FDI Inflows in East Asia
IV. Determinants of Intra-FDI Inflows in East Asia
1. Model
2. Methodology and Data
3.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국문요약본 연구는 아세안 및 한∙중∙일 3국 등 동아시아 역내 국가를 대상으로 하여 동아시아국가에서 다른 동아시아국가로 유입되는 해외직접투자(FDI)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을 패널데이터를 통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특히 환율수준, 환율의 안정성, 경제개방도, 거시경제의 안정성 등 거시경제지표 변수의 유의성을 검증한다. (생략) -
원문보기목차Policy Analyses
Policy Analyses I (in Korean)
Conference Proceedings
Policy References (in Korean)
Policy References I (in Korean)
Working Papers
APEC Study Series
CNAEC Research Series
KIEP Working Papers on Regional Studies
Regional Report (in Korean)
Regional Study Series국문요약2006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
원문보기목차연구보고서/Policy Analyses
세미나자료 모음
연구자료/정책자료
Working Papers
APEC Study Series
동북아연구 시리즈/CNAEC Research Series
지역연구시리즈/지역리포트/지역연구회 시리즈
단행본국문요약2006 연구보고서 요약집 -
중앙아시아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전략
중앙아시아는 제2의 중동이라 불릴 정도로 풍부한 에너지 및 지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대 신흥시장으로 부상한 러시아, 중국, 인도 등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는 고도..
이재영 외 발간일 2007.04.10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이재영
제2장 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평가 / 고재남
1. 부상하는 중앙아시아와 한국
2. 중앙아시아의 인문·지리 환경 개관
3. 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평가
가. 미국의 전진정책과 주요국간 세력경쟁의 심화
나. 석유, 천연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의 매장
다. 활발한 다자 지역협력
라. 전통적·비전통적 안보이슈의 상존
마. BRICs 국가의 전략적 이해관계 교차점
4. 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전망
제3장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정치 상황과 전망 / 박상남·이재영
1. 주요국의 정치상황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스탄
라. 타지키스탄
마. 투르크메니스탄
바. 아제르바이잔
2. 중앙아시아의 정치 발전 전망
제4장.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 상황과 전망 / 이철원·신현준
1. 주요국의 경제상황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스스탄
라. 타지키스탄
마. 투르크메니스탄
바. 아제르바이잔
2. 중앙아시아의 경제발전 평가와 장기 전망
가. 경제발전 평가
나. 시장성·성장성 평가
다. 향후 전망
제5장. 주요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 분석 / 이재영·박상남·이지은
1. 중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
가. 서론
나.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관계
다. 중국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
라. 결론 및 한국에의 시사점
2. 터키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
가. 서론
나. 터키의 대 중앙아시아 외교정책
다. 터키의 중앙아시아 진출사례
라. 결론 및 한국에의 시사점
3. 일본의 중앙아시아 진출전략
가. 서론
나. 일본의 대중앙아시아 전략
다. 일본의 중앙아시아 원조외교
라. 일본의 에너지 전략과 중앙아시아 진출 현황
마. 결론 및 한국에의 시사점
제6장.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협력관계와 대응방안 / 이재영·박상남
1. 한국과 중앙아시아간의 협력관계
2. 한국의 대응방안
가. 에너지자원 확보
나. 지정학적 가치 확인
다. 유라시아대륙 진출의 교두보 확보
라. 고려인의 입지 강화 및 안전 보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중앙아시아는 제2의 중동이라 불릴 정도로 풍부한 에너지 및 지하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대 신흥시장으로 부상한 러시아, 중국, 인도 등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지역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높은 인구증가율을 바탕으로 시장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어 경제협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세계 각국은 중앙아시아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생략) -
2007 세계경제 지역별 10대 이슈
2007년에도 세계경제는 성장세를 지속할 것인가? 글로벌화를 지향하면서 경제통합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경제의 향방은 우리에게 중요한 질문이 아닐 수 없다. (생략)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발간일 2007.03.13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머리말
중국
01. 2007년 중국 수출 1조 달러 진입
02.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는 중국의 금융개혁
03. 2007년 위안화 환율 전망
04. 중국 외환보유 1조억 달러의 의미와 시사점
05. 중국 1인당 GDP 2,000달러 시대 진입
06. 중국 친(親)노동정책 강화 예상
07. 중국 17차 당대회와 후진타오 2기 지도부 출범
08. 2008 북경 올림픽 개최 준비
09. 내외자기업 동등대우 시대의 도래
10. 홍콩 반환 10주년
일본
01. 일본경제 2007년 경기 전망
02. 소비세율 인상 논쟁
03. 금리인상 가능성
04. 엔화 환율 전망
05. 경기확대 지속을 위한 설비투자의 역할
06. GDP 2% 성장을 견인하는 개인소비의 향방
07. 새로운 경제성장 로드맵 추진
08. 고령화와 고용 연장
09. 양극화와 재도전 지원
10. 아베정부의 지지율
동남아ㆍ오세아니아
01. ASEAN 공동체 노력 가속화 및 동아시아 통합 논의 혼란
02. 한ㆍASEAN FTA 상품협정 발효 및 서비스ㆍ투자협상 진행
03. ASEAN, 중국과의 경제협력 확대 가속화
04. 자연재해와 동남아시아경제
05. 인도네시아 경기 전망 및 한국과의 경제협력 강화
06. 베트남경제, 고도성장과 외국인투자 붐 지속 전망
07. 2007년 싱가포르경제, 성장 둔화 전망
08. 쿠데타 이후 태국 정치ㆍ경제 현황 및 전망
09. 미국ㆍ말레이시아 FTA 협상
10. 호주의 대(對)동아시아 정책 강화
인도
01. 인도경제의 안정적 고도성장 가능성
02. 조정국면이 예상되는 인도 자본시장
03. 경제 고성장을 위한 FTA 추진 확대
04. 인도의 소비문화 변화와 소비확대
05. 도ㆍ농간 소득격차 심화
06. 제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개시
07. 지속적 경제성장 위한 제조업 육성 확대
08. 인도 경제특구(SEZ) 신청 열기 가속화
09. 인도기업들의 해외기업 인수 및 합병(M&A) 본격화
10. 확대되는 인도 식품산업
중동ㆍ아프리카
01. 국제유가와 중동경제 전망
02. 이란 핵문제를 둘러싼 국제적 긴장
03. 혼돈과 분열로 치닫는 이라크
04. 중동 건설ㆍ플랜트시장 활황 지속
05. GCC, 급속한 인구증가와 그 파급효과
06. GCC의 다각적 FTA 추진
07. 중동에 적극 다가서는 중국과 인도
08. 남아프리카공화국, Post-BRICs 신흥시장으로 부상
09. 리비아의 국제사회 복귀와 경제개혁
10.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 가속화
북미
01. 미국 경기의 연착륙 가능성 증가
02. 달러화의 제한적 약세
03. 미국의 대(對)중 경제정책
04. 지정학적 변수
05. 미국 2008년 대선레이스 시작
06. 미국 금리정책의 향방
07. 미국 쌍둥이(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 이슈
08. 미국 무역정책 변화
09. 미국 에너지 및 IT산업 정책 변화
10. 캐나다 보수당정부 집권 정책 변화
중남미
01. 중남미 좌파정부 경제정책과 지속 가능성
02. 미주자유무역지대(FTTA) 협상과 MERCOSUR·EU FTA 협상 전망
03. 남미 에너지통합 가속화 전망
04. 중남미 고성장 지속문제
05. 중남미·아시아 FTA 현황
06. 브라질 경제성장정책의 성공 가능성 및 경제회복 전망
07.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위기와 향후 전망
08. NAFTA 농업시장 완전개방에 대비한 멕시코 농업정책
09. 멕시코 제도혁명당 분열에 따른 정치변동 가능성
10.'포스트 카스트로'쿠바의 정치ㆍ경제 전망
유럽
01. 2007년 EU 경제 전망
02. EU 헌법 비준문제로 양분된 유럽
03. 신 리스본 전략 이행과 성과
04. 주요국 대선 및 정치 현황과 전망
05. 유연안전성 정책 강화
06. 이민정책의 재정립
07. EU 가입 이후 신규회원국의 경제변화 추이
08. 유럽경제⋅통화동맹(EMU)의 확대 추이 및 전망
09. EU의 새로운 통상정책과 한ㆍEU FTA
10. EU의 새 에너지정책과 전망
러시아/CIS
01. 국제유가 변동과 러시아경제
02. 다가오는 러시아 국가두마 선거
03. 러시아, WTO 연내 가입
04. 러시아정부, 환율 절상과 인플레이션 해결 노력
05. 러시아의 자원민족주의 강화와 국영기업의 에너지자산 독점
06. 러시아/CIS 천연가스 공급가격 갈등
07. 중앙아시아, New Great Game 증폭
08. 아제르바이잔, 신(新) 실크로드 물류 허브로 부상
09. 우크라이나, 정치혼란으로 대내외 경제정책 난항
10. 투르크메니스탄의 니야조프 사후(死後) 정치ㆍ경제 전망국문요약2007년에도 세계경제는 성장세를 지속할 것인가? 글로벌화를 지향하면서 경제통합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경제의 향방은 우리에게 중요한 질문이 아닐 수 없다. (생략) -
한·미 FTA 서비스부문 교역 현황 및 시사점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면 크게 영향 받을 부문의 하나로 서비스(FTA) 부문이 거론되고 있다. 미국은 분명 세계 제1의 서비스 경쟁력 보유국이다. 이에 비하여 한국은 서비스부문의 생산성 및 경쟁력이 미약하여 시장 개방 혹은 자유화가 시기..
윤창인 외 발간일 2007.02.07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3. 연구의 구성
제2장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1. 경제의 서비스화 심화
2. 한국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가. 총부가가치에서의 서비스부문 비중
나. 서비스부문 종사자 현황
다. 서비스부문 수출입 현황
3. 미국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가. 총부가가치에서의 서비스부문 비중
나. 서비스부문 종사자 현황
다. 서비스부문 수출입 현황
4. 한국경제와 미국경제의 서비스화 종합
제3장 세계 서비스교역과 한미 양국의 위상
1. 국제적 서비스교역의 확산
가. 서비스교역의 확산 배경
나. 세계의 서비스교역 개황
2. 한미 서비스부문의 국제적 위상
가. 서비스교역의 규모별 위상 .
나. 양국의 對세계 서비스교역 동향
다. 양국 對세계 상품 및 서비스 수출 비교우위
제4장 공급방식별 서비스교역 현황 및 비교우위
1. 서비스교역의 분류 및 측정
가. 서비스의 분류와 공급방식
나. 서비스의 공급방식 및 공급방식별 무역통계
2. 국경간공급 서비스부문별 우위 비교
가. 비교방법
나. 서비스별 우위 비교
다. 한미 양국간 서비스교역에 기초한 무역특화지수
라. 양국의 서비스별 비교우위 종합평가
3. 한미 양국의 상업적 주재에 따른 서비스교역
가. 한국의 미국 서비스부문 투자
나. 미국의 한국 서비스부문 투자
다. 미국의 한국 관련 투자 통계
4.한미 자연인의 일시적 이동에 따른 서비스교역
가. 자연인의 이동 유형 및 WTO 양허 현황
나. 자연인의 이동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서비스교역
제5장 한 미 서비스시장의 자유화 수준 및 주요 장벽
1. 한미 양국 서비스 협상(GATS)에서의 양허수준
가. 한국의 양허 현황
나. 미국의 양허 현황
다. 양국 서비스부문의 양허 종합
2. 한미 양국의 민감 서비스부문
3. 한국과 미국의 서비스부문 주요 장벽
가. 한국 서비스시장의 주요 무역장벽
나. 미국 서비스시장의 주요 무역장벽
제6장 한미 FTA 서비스부문 주요 쟁점과 정책 대응방향
1. 한미 FTA 서비스부문 협상의 기조
2. 주요 쟁점 서비스부문에 대한 검토
가. 통신서비스
나. 방송서비스
다. 법률서비스
라. 금융서비스
마. 온라인콘텐츠와 융합서비스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지역무역협정의 확산과 서비스
2. 서비스시장의 개방과 경쟁력 강화
3. 한미 FTA 협상과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한·미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되면 크게 영향 받을 부문의 하나로 서비스(FTA) 부문이 거론되고 있다. 미국은 분명 세계 제1의 서비스 경쟁력 보유국이다. 이에 비하여 한국은 서비스부문의 생산성 및 경쟁력이 미약하여 시장 개방 혹은 자유화가 시기상조라는 주장과, 경쟁력이 약하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를 가미한 시장자유화와 개방으로 경쟁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되고 있다. 본 보고서는 후자의 입장을 옹호하며 한·미 FTA는 한국 서비스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한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