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65/290
-
한국의 중장기 통상전략의 정치경제와 소프트 파워 통상전략
통상정책 및 통상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 중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통상정책은 그 역사적 연원이나 정책 수립과정이 매우 정치적이기 때문에 통상정책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근대 통상정책은 유..
이근 발간일 2007.12.30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통상정책의 정치경제적 접근 필요성
1. 통상정책 및 통상전략에 대한 기존의 정치경제학적 연구
2. 통상정책과 외교안보정책과의 관련성: 위험요인(risk)의 관리와 최소화
가. 근대국가의 출현과 통상정책
나. 위험요인(risk) 관리의 외교안보 정책
3. 통상환경의 변화와 통상정책수단의 한계
가. 국내정치적 환경의 변화
나. 자유주의 경제정책에 대한 국제적 합의
다. 새로운 국가의 역할
제2장. 외교안보 전략을 통한 중장기 통상환경의 개선
1. 주요 시장의 불안정성, 불확실성 관리
가. 현 세계 정치경제 환경에 대한 평가
나. 주요 시장의 급변성 고위험 요인(Volatile High Risks)
다. 주요 시장의 중저위 위험요인(Mid-Low Level Risks)
2. 주요 시장의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외교 및 통상 전략
가. 고위험 요인 관리 및 최소화 전략
나. 중저위 위험요인의 관리 및 최소화
제3장. 소프트파워와 중장기 통상전략
1. 소프트파워(soft power, 연성권력)의 개념과 중요성 증가 배경
2. 소프트파워 통상전략 구축을 위한 이론적 틀
가. 소프트 자원의 권력전환 메커니즘
3. 소프트파워의 통상전략: 시장확대 전략
가. 상황변화 가속화 전략의 사용
나. 소프트파워 네트워크 효과 전략의 활용
다. 정체성 형성 및 이미지 조작의 소프트파워 전략 활용
라. 신뢰성 영향력의 소프트파워 활용
4. 소프트파워의 통상전략: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전략
가. 상황변화 가속화 전략의 사용
나. 소프트파워 네트워크 효과 전략의 활용
다. 정체성 구분과 이미지 조작의 소프트파워 전략 활용
라. 신뢰성 영향력의 소프트파워 활용
5. 국별·지역별 소프트파워 통상전략
가. 북미지역
나. 동아시아
다. 유럽
라. 러시아·중앙아시아 지역
마. 라틴아메리카지역
바. BRICs
사. 중동·아프리카 지역
6. 소프트파워 통상정책 추진의 기타 일반목표
가. 국제통상 규범, 원칙, 제도, 표준설정 및 주도 능력이 있는 국가
나. 의제설정 및 협상의 논리적, 이론적 연구 및 근거를 제시하는 학계 및 싱크탱크가 강한 국가
다. 인도주의적 외교와 선진적인 가치 추구 외교를 함으로써 상대국으로 하여금 안보부문 뿐만 아니라
경제부문에서도 위협을 덜 느끼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 국가
라. 대중문화 및 지식·서비스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
마. 경제와 관련하여 특정 이미지를 강하게 각인시킨 국가
바. 뛰어난 인적자원을 보유한 국가
제4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통상정책 및 통상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 중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통상정책은 그 역사적 연원이나 정책 수립과정이 매우 정치적이기 때문에 통상정책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근대 통상정책은 유럽의 근대국가 형성이라는 매우 정치적인 과정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발전되어 왔고, 또한 통상정책의 수립과정에는 특정 통상정책으로 인해 손익을 달리하는 다양한 세력이 정치적으로 갈등하거나 경쟁하는 과정이 동반되어 왔다. 또한 자국에 유리한 통상환경의 확보 및 개선 등은 순수 경제적인 수단만을 가지고는 달성하기 어렵다. 예컨대, 시장의 불확실성 제거는 경제적인 수단뿐만 아니라 위험요인(risk)을 최소화하는 정치·안보적인 비경제적인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상정책은 경제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요인이 밀접하게 개입되어 있는데, 기존의 통상정책 연구 및 전략개발은 이러한 요인을 크게 간과하고 있었다. (생략) -
미국 민주당의 경제정책방향 및 시사점
기본적으로 미국의 대외통상정책 규제에 대한 권한은 의회에 있다. 즉, 외국과의 통상을 규제하는 법률제정권이 의회에 있으며, 의회가 행정부에 권한을 위임하지 않는 한 대통령은 외국과의 통상에 관한 새로운 법률을 제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
이준규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관계, 경제전망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민주당 경제정책 및 주요 대선후보의 정책 비교
1. 민주당의 비전 및 공약
2. 주요 대선 후보의 정책 방향
제3장. 민주당과 공화당의 주요정책 비교
1. 대외통상정책
가. 무역 및 투자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2. 재정정책
가. 재정수지 및 소득불평등 현황
나. 양당의 정책
3. 환경 및 에너지 정책
가. 미국의 에너지소비 현황
나. 양당의 정책기조
다. 기후변화에 대한 미국 의회의 최근 움직임
4. 의료제도 개혁
가. 미국의 의료제도 현황
나. 양당의 입장 차이
제4장. 민주당의 향후 경제정책 기조와 통상정책 방향
1. 해밀턴 프로젝트
가. 해밀턴 프로젝트의 기본원칙
나. 주요 정책제안
2. 미국의 신통상정책
가. 합의 내용
나. 각계의 반응
제5장. 110차(2007~2008) 의회 주요 의결 사안
1. 최저임금 인상법안
2. 이라크 철군 조건 전비법안
3. 무역증진권한 연장 여부
제6장.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
1. 최근 한ㆍ미 경제 현안 및 전망
가. 한ㆍ미 교역 및 투자 현황
나. 한ㆍ미 FTA 협상 결과 및 최대 현안
2. 대응방향 및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기본적으로 미국의 대외통상정책 규제에 대한 권한은 의회에 있다. 즉, 외국과의 통상을 규제하는 법률제정권이 의회에 있으며, 의회가 행정부에 권한을 위임하지 않는 한 대통령은 외국과의 통상에 관한 새로운 법률을 제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규정 때문에 미국 통상정책의 최종적인 권한은 의회에 있으며 의회가 전권을 행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미국의 의회선거 여부에 따라 미국의 경제정책은 물론 대외통상정책이 변화하며, 전세계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줌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각국은 미국의 의회선거는 물론 대선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생략) -
한·일 기업의 동아시아 생산네트워크 비교연구: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 일 자동차산업이 한 중 일 3국에 형성한 생산네트워크의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 중 일 3국 중에서도 특히 중국에 형성된 한 일 양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네트워크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 있다. ..
정성춘 외 발간일 2007.12.30
산업정책,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선행연구 및 방법론
제2장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1. 기본개념
2.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형성의 주요인
3.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주요 특징
제3장 자동차산업의 현황과 업계의 대응
1. 머리말
2. 자동차산업의 환경변화와 자동차업계의 대응전략
가. 시장환경 변화
나. 완성차업체의 대응
다. 부품업체의 대응
3. 중국 자동차산업의 현황
가. 과잉생산능력과 경쟁심화
나. 중국 승용차시장의 최근 동향
제4장 일본 자동차산업의 생산네트워크
1. 일본 국내에서의 생산네트워크
가. 일본형 개발시스템의 특징
나. 일본형 생산시스템의 특징
다. 일본형 부품거래시스템의 특징
라. 일본형 시스템의 변화
마. 실태
2. 중국에서의 생산네트워크
가 개요
나 일본계 자동차업체의 생산거점 현황
다 일본계 자동차업체의 판매 현황
라 자동차 부품업체의 해외사업 현황
3. 사례연구: 광저우(廣州) 생산네트워크
가. 개요
나. 광저우(廣州) 생산네트워크의 주요 특징
제5장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네트워크
1. 한국 국내에서의 생산네트워크
가. 개관
나. 한국 자동차산업 현황
다. 부품공급구조
라. 해외진출
2. 중국에서의 생산네트워크
가. 한국기업의 중국진출과 생산 현황
나. 중국내 네트워크 구조
3. 사례연구: 베이징 생산네트워크
가. 일반사항
나. 조달전략
다. 판매전략
라. 연구개발 및 생산전략
마. 향후 전망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1. 한ㆍ일 기업 생산네트워크의 비교
2. 과제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일본 자동차 관련 부품소재업체의 중국진출 사례
2. 한국 자동차부품의 대중국 수출입 실적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한 일 자동차산업이 한 중 일 3국에 형성한 생산네트워크의 실태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한 중 일 3국 중에서도 특히 중국에 형성된 한 일 양국 자동차산업의 생산네트워크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 형성된 생산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은 중국 생산네트워크를 고찰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대체적으로 하나의 기업이 해외에 형성하는 생산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본국에 형성되어 있는 생산네트워크의 구조를 따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생략) -
인도 산업발전 전망과 한·인도 산업협력 확대방안: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인도 산업협력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산업분석은 철강, 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일반기계 등 인도의 6개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정책, 산업성..
이순철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협력,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 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인도 산업정책 변화와 비전
1. 인도 산업정책 변화
2. 최근의 인도 산업정책 및 비전
가. 인도 중단기 산업정책 및 비전
나. 인도 산업의 중장기 비전
다. 인도의 무역자유화
제3장 인도 산업 및 무역구조 변화
1. 인도 산업 및 무역구조 변화
가. 산업구조 분석
나. 제조업구조 분석
다. 교역구조 분석
라. 투자 및 기업 동향 분석
2. 인도 주요 산업의 현황과 구조 변화 추이
가. 자동차
나. 철강
다. 석유화학
라. 전자
마. 섬유
바. 일반기계
제4장 인도 주요 산업의 발전 전망과 평가
1. 인도 산업의 발전 및 무역의 잠재성 전망
가. 이론적 배경 및 분석방법
나. 산업 발전 전망
다. 무역 변화 전망
2. 인도 산업발전의 평가와 과제
제5장 한ㆍ인도 산업협력 방향 및 과제
1. 산업협력의 주요 특징
가. 한ㆍ인도 교역협력 현황 및 특징
나. 직접투자 협력 현황 및 특징
2. 대인도 교역협력분야 분석
가. 자동차
나. 전자
다. 섬유
라. 철강
마. 석유화학
바. 일반기계
3. 양국간 산업협력 과제
가. 교역 및 투자 규모 확대
나. 남아시아 생산거점 확보 및 허브화
다. 제조업 분야별 협력 및 대응전략
라. 한국의 하드웨어와 인도의 소프트웨어 협력 확대
4. 산업협력 방향 및 방안
가. 산업협력 방향
나. 산업협력 방안
다. 산업분야별 협력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인도 산업협력 방향 및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산업분석은 철강, 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일반기계 등 인도의 6개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정책, 산업성장, 무역구조 등의 현황과 성장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주요 산업과의 상관관계를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고찰한 후 한국과의 산업협력 가능방향 및 방안을 제시한다. (생략) -
한국 경제발전경험의 대(對)개도국 적용가능성: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후진국의 경제발전은 앞서 발전한 나라에 대한 학습과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가장 뚜렷이 발견되지만 . 정부 정책이라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즉 앞서 발전한 나라의..
박복영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개발,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한국 발전경험 공유의 의의 1. 왜 발전경험 공유 인가? 가. 발전경험 의 수요 나. 발전경험 의 공급 2. 왜 한국의 발전경험 인가? 가. 공유대상으로서의 한국 발전경험 나. 발전경험 공유사업 현황 다. 발전경험 공유사업의 개선과제 3. 연구의 내용과 한계 가. 연구의 목적과 범위 나. 보고서의 구성 다.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2장 아프리카경제 현황과 잠재적 적용대상 국가 1. 아프리카의 저성장 2. 아프리카 저성장의 원인 가. 대내적 제약조건 나 대외적 제약조건 다. 대외적 정책요인 라. 대내적 정책요인 3. 아프리카의 변화와 성장 가능성 가. 1990년대 이후의 지속적 성장 나. 경제성장의 배경 다. 평가 4. 한국 발전경험의 잠재적 적용가능 국가 가. 적용가능 국가의 추출 나. 우리나라와의 초기조건 비교 제3장 한국의 산업화 전략과 아프리카에의 적용 가능성 1. 서론 2. 한국의 산업화와 산업화 전략 가. 배경 나. 수출지향적 산업화 다. 선별적 산업정책 3. 한국 산업화 전략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개론 나. 농업 개발 다. 공산품 수출 라. 선별적 산업정책 제4장 1960년대 한국 산업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서론 2. 산업정책의 의의 3. 한국 산업정책의 전개와 특징 가. 전사(前史): 식민지공업화 나. 1950년대의 수입대체공업화 다. 1960년대 초 한국과 현재의 아프리카: 경제적 지표의 비교 라. 1960년대의 산업정책 4.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국가들의 산업정책 가. SSA 경제 개관(1960년대 중반 이후) 나. 기존 구조조정프로그램(SAPs)의 특징과 문제점 다. 제조업 발전과 공산품 수출증대를 위한 산업정책의 필요성 5. 결론 제5장 사례연구: 한국 섬유산업의 발전과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서론 2. 수입대체, 수출주도, 그리고 수출대체 가. 수입대체 나. 수출주도 다. 수출대체 3. 한국 섬유산업의 발전과 산업육성정책(1953~1980년) 가. 수입대체 공업화와 섬유공업(1953~1960년) 나. 수출대체정책과 섬유공업의 발전(1961~1980년) 다. 한국 섬유산업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특징 4. 아프리카의 섬유산업: 사하라 이남 일부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 모리셔스(Mauritius) 나. 레소토(Lesotho) 다.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5. 시사점 결론을 대신하 여 제6장 한국 무역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머리말 2. 한국의 주요 무역정책 및 특징 가. 수입대체정책 나. 수출진흥정책 다. 무역자유화정책: 개방정책 3. 한국 무역정책에 대한 평가 가. 수입대체정책 나. 수출진흥정책 다. 무역자유화정책: 개방정책 4.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아프리카국가들의 무역 현황 및 문제점 나. 한국 무역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제7장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1. 머리말 2.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주요 유형과 특징 가. 개발원조 나. 차관 다. 외국인직접투자(FDI) 3. 한국 자본조달정책에 대한 평가 가. 개요 나. 평가 및 문제점 4.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가. 아프리카국가들의 자본조달 현황 및 문제점 나. 한국 자본조달정책의 대(對)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다. 외국인직접투자 제8장 한국형 기술발전 모델과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서론 2. 후발국 경제발전을 보는 시각들 가. 워싱턴 컨센서스, 동아시아 컨센서스 및 북경공식 나. 후발국 경제발전에서 기술발전의 역할 3. 한국형 기술발전 모델의 이해 가. 기술발전 단계별 지식창조와 학습 나. 다양한 지식흡수 경로의 적절한 활용 다. 정부의 역할 4. 아프리카 개도국에의 적용 가능성과 시사점 가. 전반적 경제발전전략면에서의 시사점 나. 토착역량 개발과 토착기업의 기술발전 다. 빈곤함정 탈출을 위한 정부 개입과 기술발전 라. 기술발전을 위한 외부지식 흡수와 학습의 다양한 통로 활용 제9장 한국 발전과정의 거버넌스와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1. 머리말 가. 경제성장과 거버넌스 나. 문제의식과 접근방법 2. 한국의 부패와 반부패 가. 경제발전과정의 부패 나. 부패 유발요인 3. 아프리카의 부패와 경제성장 가. 아프리카의 부패 수준 나. 부패와 반부패의 사례 4.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가.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간 부패유발의 유사성 나. 우리나라의 부패억제요인 다. 아프리카에 대한 시사점 제10장 맺음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후진국의 경제발전은 앞서 발전한 나라에 대한 학습과 모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하드웨어적인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가장 뚜렷이 발견되지만 . 정부 정책이라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이다. 즉 앞서 발전한 나라의 정책 방향과 결과, 그리고 정책 실패까지도 후발국들이 최선의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 중요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선발국의 발전경험을 후발국과 공유하는 것은 후진국의 빈곤감축과 경제성장 촉진에 기여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생략) -
러시아의 WTO 가입과 한국의 무역투자 증진방안
WTO 미가입국 가운데 최대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러시아는 시장경제체제를 정착시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 무역대국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국제무역에 참여하기 위해 WTO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1993년 6월 WTO의 전신인..
이재영 외 발간일 2007.12.30
무역정책, 해외직접투자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범위, 방법 및 구성 제2장 러시아의 WTO 가입 배경 및 추진 현황 1. WTO 가입 추진배경 2.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기대효과 3. WTO 가입 진행과정과 러시아 국내의 반응 4. WTO 가입 관련 제도 개혁 제3장 러시아의 무역 및 투자 장벽 1. 경제 및 무역 현황 2. 무역장벽 가. 관세 나. 관세 이외의 조세 다. 비관세장벽 3. 서비스 및 투자 장벽 가. 서비스장벽 나. 투자장벽 제4장 WTO 가입협상에 따른 시장개방의 주요 내용 및 평가 1. 부문별 주요 내용 및 쟁점 가. 상품시장 접근 나. 서비스시장 접근 다. 농산물시장 접근 라. 지식재산권 2. 러시아 시장개방계획의 평가 가. MFN 관세율 구조 나. 주요 품목별 관세율 구조 및 평가 다. 서비스시장 제5장 한국의 대러 무역투자 현황 및 러시아 무역투자환경 평가 1. 한국의 대러 무역투자 현황 가. 한ㆍ러 교역 현황 나. 한ㆍ러 교역의 산업별 특징 다. 한국과 러시아의 산업별 경쟁력 분석 라. 한국의 대러시아 투자 현황 2. 러시아의 무역투자환경 평가: 설문조사 가. 설문조사 결과 나. 평가 및 시사점 제6장 결론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 증진방안 1. 정부 차원의 대응방안 가. 통상협력의 확대 나. 현지 기업활동의 지원 강화 다. 국내 통상인프라의 강화 라. 개발협력사업의 추진 2. 기업 차원의 대응방안 가. 현지투자의 활성화 나. R&D 투자 및 기술협력 확대 다. 민간 통상네트워크의 구축 참고문헌 부록: 러시아의 WTO 가입 관련 무역투자환경 평가 설문조사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WTO 미가입국 가운데 최대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는 러시아는 시장경제체제를 정착시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세계 무역대국들과 동등한 자격으로 국제무역에 참여하기 위해 WTO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1993년 6월 WTO의 전신인 GATT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한 이래 지금까지 러시아는 WTO 가입을 대외경제정책의 주요 목표로 삼고, 다양한 제도개혁을 추진해왔다. 러시아는 WTO 가입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무역활성화, 산업경쟁력 제고, 산업다각화, 소비자 후생증대 등의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의 WTO 가입은 2006년 11월 미국과 양자협상을 타결하면서 가시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07년 10월 현재 그루지야,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양자협상을 남겨두고 있어, 이르면 2008년 내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의 WTO 가입은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환경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다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WTO 가입 이후 가시화될 러시아의 무역투자환경 변화가 한․러 경제협력에 미치게 될 영향을 분석하고, 한국의 대러시아 무역투자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생략) -
FTA 협상 관련 한국의 전자상거래 주요 쟁점 및 대응
국경을 초월하는 인터넷의 국제적 확산과 더불어 이 인터넷에 기반을두는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발 맞춰 WTO는 1990년대 말에 디지털 전송콘텐트의 자유무역 가능성을 찾는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제품에 대한..
윤창인 발간일 2007.12.30
경제관계,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제2장. WTO의 전자상거래 분야 논의동향
1. 논의의 발단
2. 논의의 전개
제3장. 미국이 체결한 최근 FTA의 전자상거래 범위와 내용
1. 디지털제품의 시장접근에 관한 미국의 전략
2. FTA 초기 전자상거래 조항: 미․요르단 FTA 전자상거래
3. FTA 전자상거래 범위의 확대
제4장. FTA 전자상거래 부문의 주요 쟁점 및 검토
1. 논의된 주요 쟁점
2. 디지털제품에 대한 무관세 관행 법제화
가. 디지털제품(digital product)의 정의
나. 디지털제품의 분류문제
다. 디지털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라. 무관세 법제화
3. 전달매체에 탑재된 디지털제품에 대한 관세평가
가. 쟁점
나. 관세평가방식
4. 디지털제품에 대한 비차별대우
가. 내국민대우 문제
나. 최혜국대우 문제
5. 방송 등 시청각서비스의 배제 문제
가. 쟁점의 주요 내용
나. 쟁점 검토
6. 전자서명 및 인증
7. 협력 및 원칙에 관한 선언적 조항
가. 소비자 보호
나. 개인정보 보호
다. 인터넷 접속과 이용에 관한 원칙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국경을 초월하는 인터넷의 국제적 확산과 더불어 이 인터넷에 기반을두는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발 맞춰 WTO는 1990년대 말에 디지털 전송콘텐트의 자유무역 가능성을 찾는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디지털제품에 대한 예측가능하고 자유로운 무역체제를 지향하는 WTO에서의 다자무역회의는 전자전송에 대한 분류,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관세평가, 적용 무역규범 등 어느 이슈에 대하여도 분명하게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생략) -
한·중 금융 물류허브 경쟁과 한국의 선택
2008년은 우리나라가 경제허브전략(금융ㆍ물류 허브)을 밝힌 이후 횟수로 6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지난 5년 동안 경제허브의 실현을 위한 정부의 개혁 및 개발 사업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을 필두로 한 역내 허브경쟁의 심화와 지난 5년간 변화된 ..
정형곤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개발, 산업정책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가. 주요 선행연구
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한국의 금융ㆍ물류 허브 추진성과 평가
1. 금융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
가. 우리나라 금융허브 추진계획
나. 금융허브 추진성과 평가
2. 물류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
가. 우리나라 물류허브 추진계획
나. 물류허브 추진성과 평가
제3장 베이징 및 상하이 경제권의 금융ㆍ물류 허브 추진성과
1. 중국의 금융ㆍ물류 산업 정책
가. 금융산업
나. 물류산업
2. 베이징-톈진(빈하이신구) 경제권
가. 금융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평가
나. 물류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평가
3. 상하이 경제권
가. 금융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평가
나. 물류허브 추진현황 및 성과평가
제4장 지역간 금융ㆍ물류 산업 경쟁력 비교
1. 금융산업 경쟁력 비교
가. 금융중심지 경쟁력 비교에 대한 선행연구
나. 한국, 베이징-톈진(빈하이신구), 상하이 경제권의 금융산업 경쟁력 비교
다. 금융산업 경쟁력 비교에 대한 결론
2. 물류산업 경쟁력 비교
가. 관련 선행연구 고찰
나. 비교방법론
다. 한ㆍ중 3대 경제권역의 물류산업 경쟁력 비교분석
라. 물류산업 경쟁력 비교에 대한 결론
제5장 우리의 전략적 선택
1. 한국의 선택
가. 금융분야
나. 물류분야
2.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대한 시사점
가. 금융분야
나. 물류분야
참고문헌
부 록
1. 평가기준별 한ㆍ중 3대 경제권의 물류 경쟁력 평가결과
2. 평가속성별 한ㆍ중 3대 경제권의 물류 경쟁력 평가결과
3. 「한ㆍ중 3대 경제권역의 금융산업 경쟁력 분석」 전문가 설문지
4. 「한ㆍ중 3대 경제권역의 물류산업 경쟁력 분석」 전문가 설문지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2008년은 우리나라가 경제허브전략(금융ㆍ물류 허브)을 밝힌 이후 횟수로 6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지난 5년 동안 경제허브의 실현을 위한 정부의 개혁 및 개발 사업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을 필두로 한 역내 허브경쟁의 심화와 지난 5년간 변화된 경제환경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경제허브 전략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생략) -
EU의 세계통상전략
공동통상정책은 공동통화정책 및 공동농업정책과 함께 EU가 배타적인 권한을 누리는 부문이다. 공동통상정책의 배경은 근본적으로 EU가 초 국가적 경제통합을 추진한다는데서 비롯되며, 구체적으로는 역외상품이 일단 소정의 절차를 거쳐 역내에 수..
김세원 발간일 2007.12.30
경제협력,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EU의 특성과 공동통상정책
1. 공동통상정책의 수립 배경
2. 경제통합의 체계와 시장통합의 완성
가. 단계별 경제통합의 추진
나. 초국가적 기구와 공동체 법규
3. 공동통상정책의 논리와 EU의 권한
가. 공동통상정책의 필요성
나. EU의 권한과 공동통상정책의 범위
4. EU의 국제경제적 역할
5. 공동통상정책의 역사적 발전
가. 1960-70년대
나. 1980년대 이후
제2장. EU의 무역구조와 산업의 경쟁력
1. 산업구조의 추이
2. 무역구조, 특화 및 국제경쟁력의 추이
제3장. 공동통상정책의 의사결정과정과 통상협상
1. 공동통상정책의 수립과 의사결정(decision-making)체제
가. 공동통상정책의 법적근거
나. 의사결정과정과 EU-회원국 간 권한배분
다. 유럽의회의 역할
2. 협상의 진행과 중요 참여자들
가. EU이사회와 유럽위원회
나. 유럽의회, 제133조위원회, 회원국 상주 대표위원회 및 정부 간 회의
다. 시민사회
라. 협상결과의 채택
3. 공동통상정책의 형성에 미치는 요인들
가. 구조적인 요인
나. 협상참여자들의 영향력-미국 경우와의 차이
다. 회원국의 성향 및 정치적 요인
제4장. 공동통상정책의 수단
1. WTO체제하에서의 통상정책수단
2. 공동대외관세(CER: common external tariff)
3. 무역방어수단(commercial defence instruments)
가. 반덤핑세(anti-dumping duties)
나. 보조금-상계관세(subsidy-countervailing duties)
다. 긴급수입제한 조치(safeguard measures)
라. 통상장벽규정(TBR: Trade Barriers Regulation)
4. 그 이외 비관세 조치
가. 기술표준, 테스팅(testing), 라벨부착 및 인증서
나. 지적재산권보호
다. 시장접근 제한-의약품의 예
5. 대개도국 통상정책-일반특혜관세제도(GSP)
가. 대 개도국 개발정책과 공동통상정책
나. 일반특혜관세제도(GSP: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제5장. EU의 지역주의와 중요 지역∙국별 통상정책
1. 공동통상정책과 지역주의
가. EU의 지역주의와 국제규범
나. EU의 선택
2. 유럽 내 지역주의
가. EU의 확대와 FTA
나. 유럽경제지역(EEA: European Economic Area)
3. EU의 특혜무역정책
가. 특혜관계의 구도(構圖)
나. EU-ACP제국 간 코토누(Cotonou) 협정
다. '유럽인근정책(European Neighborhood Policy)'과 공동통상정책- 남지중해
(중∙근동 및 동유럽 지역)
4. 중요 지역별∙국별 공동통상정책
가. 북미 지역-미국 및 캐나다
나. 중남미지역
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제6장. 신 통상정책과 한국-EU통상관계
1. 신 통상정책의 배경과 특징
가. 공격적 통상정책기조의 등장배경
나. 신 통상정책기조의 몇 가지 특징
2. 신통상정책의 중요 내용
가. 무역방어수단
나. 시장접근 전략
다. 중요 통상의제
라. 신 FTA 정책
3. EU의 대 한국 통상정책과 한-EU FTA
가. 한국과 EU 간 통상관계의 발전
나. 한국-EU FTA 협상
제7장. 결 론-한국의 통상정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공동통상정책은 공동통화정책 및 공동농업정책과 함께 EU가 배타적인 권한을 누리는 부문이다. 공동통상정책의 배경은 근본적으로 EU가 초 국가적 경제통합을 추진한다는데서 비롯되며, 구체적으로는 역외상품이 일단 소정의 절차를 거쳐 역내에 수입되면 회원국 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라는 통합논리의 연장이기도 하다. EU가 독립적인 권한을 누리기때문에 공동통상정책의 범위는 공동체와 회원국간논란이 끊임없이 제기 된다. 공동통상정책의 범위가 확대될수록 회원국의 경제주권은 그만큼 제약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EU의 권한이 상품무역에 국한됐으나 우루과이라운드(UR)를 계기로 국경을 통과하는 지식재산권 및 서비스부문으로 확대되었다. (생략) -
한·중 교역 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한ㆍ중 FTA에 따른 효과를 추정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일반균형모형(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한ㆍ중 FTA 체결시 중국의 GDP 증대보다 한국의 GDP 증대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
양평섭 외 발간일 2007.12.30
경제통합, 무역정책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방법과 범위
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선행 연구와 중국의 관세인하 전략 검토
1. 한ㆍ중 FTA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가. 거시경제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나. 수출입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2. 중국의 제조업 분야 FTA 관세인하 전략
가. 중국의 FTA 현황 및 전략
나. 중국의 관세인하 전략
제3장 한ㆍ중 교역의 특징과 분업ㆍ경쟁관계 분석
1. 한ㆍ중 교역의 특징
가. 한 중 교역의 확대과정
나. 교역구조의 변화
2. 한ㆍ중 간 분업구조 분석
가. 산업내무역지수 분석
나. 무역결합도 분석
3. 한ㆍ중 간 경쟁관계 분석
가. 무역특화지수
나. 현시비교우위지수와 시장비교우위지수
다. 수출유사성지수
4. 소결: 한ㆍ중 간 경쟁 및 보완관계 평가
가. 한ㆍ중 교역의 특수성
나. 경쟁 및 보완관계 평가
제4장 한국과 중국의 관세율 비교
1. 한ㆍ중 간 관세율 비교
가. 한국과 중국의 평균관세율
나. 관세율별 구성
다. 가공단계별 관세구조
2. 주요 업종별 관세율 비교
가. 자동차
나. 철강
다. 섬유 및 의류
라. 전기전자
마. 기계
바. 석유화학
사. 기타 제조업
3. 소결: 한국과 중국의 관세수준 비교 평가
제5장 중국 진출기업의 매입ㆍ매출 전략 분석
1. 한국의 대중국 투자 현황
가. 대중국 투자 현황
나. 제조업 업종별 투자 현황
2. 중국 진출기업의 매입ㆍ매출 구조 분석
가. 중국 진출기업의 매입ㆍ매출 구조 분석
나. 업종별 매입ㆍ매출 구조 분석
3. FTA 이후 매입ㆍ매출 전략 변화 가능성과 수출입 유발효과 분석
가. 매입ㆍ매출 전략의 변화 가능성
나. 업종별 매입 매출전략 변화 가능성 실태조사 결과
4. 소결: 매입ㆍ매출 전략 변화의 영향과 수출입 유발효과
가. 매입ㆍ매출 전략 변화의 영향 평가
나. 진출기업의 대한국 수출입 유발효과 분석
제6장 중국의 비관세장벽 분석
1. 중국의 비관세장벽 유형
가. 수입제한 조치
나. 주요 기술장벽
다. 환경규제 조치
라. 화학제품에 대한 수입규제
마. 통관 관련규제
바. 국산화 요구 및 투자제한
사. 기타 규제
2. 비관세장벽에 의한 수입규제 평가
가. 수입규제 대상품목의 수입 현황
나. 진출기업의 애로요인 조사
제7장 한ㆍ중 FTA에 대한 시사점
1. 한ㆍ중 FTA 추진시 고려사항
2. 한ㆍ중 FTA에 대한 시사점
가. 한ㆍ중 FTA 추진방향
나. 한ㆍ중 교역 특성을 감안한 관세인하 전략
다. 한 중 FTA 원산지규정의 강화 필요
라. 대중국 비즈니스 환경 개선과제국문요약<가공무역과 중간재 중심의 한ㆍ중 교역구조>
한ㆍ중 FTA에 따른 효과를 추정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일반균형모형(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한ㆍ중 FTA 체결시 중국의 GDP 증대보다 한국의 GDP 증대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출입 효과에 대해서는 대부분 한ㆍ중 FTA 체결로 인하여 제조업에서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흑자가 증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