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58/290

  • Prospects for European Foreign Policy
    Prospects for European Foreign Policy

    리스본 조약에 대한 2005년 네덜란드와 프랑스, 2008년 아일랜드의 국민투표 부결은 유럽연합(EU)에 큰 충격을 주었다. 현재 다른 EU 국가들이 리스본 조약을 비준하고 있지만 아일랜드는 2009년 봄이나 되어야 다시 국민투표에 부칠 것으로 보인다..

    Fraser Cameron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The World Facing Europe in 2025

    II. The Development of CFSP
    The EU's Foreign Policy Record
    ESDP - the Defence Dimension

    III. The Internal/External Interplay

    IV. The Making of EU Foreign Policy

    V. The New High Representative/Vice President (Foreign Minister)
    The External Service
    Other Changes
    Energy

    VI. The Trade Paradigm
    Effective Multilateralism
    Future Prospects

    References
    국문요약
    리스본 조약에 대한 2005년 네덜란드와 프랑스, 2008년 아일랜드의 국민투표 부결은 유럽연합(EU)에 큰 충격을 주었다. 현재 다른 EU 국가들이 리스본 조약을 비준하고 있지만 아일랜드는 2009년 봄이나 되어야 다시 국민투표에 부칠 것으로 보인다. 국민투표 부결의 이유가 무엇이었든 간에, 유럽에 닥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EU 차원에서 일관되고 효율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아프리카나 중동에서의 문제, 다시 부상 중인 러시아, 중국의 발흥, 테러와의 전쟁, 핵확산, 에너지 안보나 기후 변화 등 여러 가지 국제적인 도전을 놓고 볼 때, 유럽의 통일된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생략)
  • EU 문화정책의 유럽통합에 대한 파급효과와 동아시아 통합에 대한 시사점
    EU 문화정책의 유럽통합에 대한 파급효과와 동아시아 통합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는 유럽헌법의 비준 실패 등 최근 들어 유럽통합의 심화 과정에서 관찰되었던 일련의 통합피로증현상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유럽연합이 문화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유럽의 문화정책의 목적, 수단, 그리고..

    박성훈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유럽통합에서 문화정책의 의의와 역할 1. 최근 유럽통합의 현황 및 문제점 가. 통합의 진전에 따른 공동체-회원국 이해관계 갈등 나. 통합의 접근방법에 대한 논란 다. 공동체 의식과 문화정책의 필요성 인식 2. 문화정책의 의의와 역할 가. EU 문화정책의 맹아 나. EU 문화정책의 역할 제3장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요체 및 주요 프로그램 1.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배경 및 목적 가. 1970~80년대의 문화정책 나. 마스트리히트 조약에 의한 문화정책의 법적 근거 마련 다. 변모하는 2000년대의 문화정책 2.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주요 수단 가. 유럽의 상징물 사용 나. 문화/교육 분야의 교류프로그램 다. 유럽 차원의 각종 문화행사 실시 3.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주요 프로그램 가. 문화정책 초기의 대표적 문화프로그램 나. Culture 2000 프로그램 4.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전반적 평가 가. 공동체 정책으로서의 EU의 문화정책 나. 문화정책과 EU의 정체성 다. 다른 나라(지역)의 벤치마킹 사례를 통해 본 평가 제4장 유럽연합 문화정책의 새로운 방향: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1.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및 과정 2. 유럽문화수도 개최도시 선정방식 및 과정 가. 개최도시 선정방식의 변천 나. 개최도시 선정과정과 선정기준 3.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추진 경과 및 현황 가. 초기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1985~89년) 나. 1990년대의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다. 2000년대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4.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평가 및 향후 전망 가.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특징 나. 다른 지역의 벤치마킹 현황 다.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평가 제5장 2007년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사례연구 1. Luxembourg 2007의 주요 내용 및 효과 가. 개최 배경 나. Luxembourg 2007의 주요 특징 다. 목표 및 주요 프로그램 라. 평가 마. 경제효과 2. Sibiu 2007의 주요 내용 및 효과 가. 개최 배경 나. 주요 특징 다. 주요 프로그램 라. 평가 마. 경제효과 제6장 2008년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 사례연구 1. Liverpool 2008의 주요 내용 및 효과 가. 개최 배경 나. 주요 특징 다. 목표 및 주요 프로그램 라. 평가 및 경제효과 2. Stavanger 2008의 주요 내용 및 효과 가. 개최 배경 나. 주요 특징 다. 주요 프로그램 제7장 EU의 새로운 문화정책 방향이 동아시아 통합에 주는 시사점 1.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현황 및 특징 2. 동아시아 통합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문화정책의 중요성 가. 동아시아 지역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럽과의 차이점 나. 동아시아 문화정책의 중요성과 역할 3. 문화정책을 활용한 동아시아 지역통합의 향후 방향 가. 정체성·소속감 형성을 주목적으로 하는 동아시아 문화정책 나. 동아시아 공통의 문화콘텐츠의 개발 다. 동아시아 국가간 이해관계 균형 도모 제8장 요약 및 결론 1. 동아시아 문화정책의 입안 및 추진을 위한 시사점 2.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1985~2006년도 문화수도 프로그램의 특징 및 운영 체계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본 연구는 유럽헌법의 비준 실패 등 최근 들어 유럽통합의 심화 과정에서 관찰되었던 일련의 통합피로증현상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유럽연합이 문화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점에 착안하였으며, 유럽의 문화정책의 목적, 수단,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주도 면밀하게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문화정책과 관련된 시사점과 동아시아가 문화수도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기후변화 대응조치와 국제무역규범 연계에 대한 논의동향
    기후변화 대응조치와 국제무역규범 연계에 대한 논의동향

    교토의정서에서에 따라 온실가스 의무감축국들이 도입하는 기술규정 및 표준, 국경조정조치, 유연성체제 등 조치들은 무역 및 투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들 일부는 WTO의 관련 규범과 상충될 개연성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대응조치는..

    윤창인 발간일 2008.12.30

    환경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구성

    제2장 기후변화협약 및 WTO의 목적과 원칙
    1. 기후협약과 교토의정서
    가. 기후변화협약(UNFCCC)
    나.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2. WTO의 목적과 원칙
    가. 목적
    나. 원칙
    3. 기후협약 및 WTO의 목적과 원칙 비교
    가. 목적
    나. 원칙
    다. 소결

    제3장 무역 관련 기후변화 대응 조치
    1. 교토의정서의 무역관련 조치
    2. 기후변화 대응조치 도입에 따른 문제
    가. 경쟁력 저하
    나. 해외이주
    3. 주요 무역 관련 조치 및 도입
    가. 기술규정 및 표준
    나. 보조금
    다. 탄소 및 에너지세와 국경조정조치
    라. 유연성체제
    마. 토지이용활동
    바. 자발적 협약

    제4장 기후조치 관련 WTO 규범
    1. 개요
    2. GATT
    가. GATT원칙
    나. 동종제품
    다. 조세
    라. 환경예외
    마. 무역기술장벽(TBT)협정
    바. 보조금·상계조치(SCM)협정
    사. 무역관련투자조치(TRIMs)협정
    아. 농업협정
    3. GATS

    제5장 무역관련 기후조치와 WTO 규범의 관계
    1. 시장접근
    가. 기후친화적 상품에 대한 시장접근
    나. 기후비친화적 상품에 대한 시장접근 제한
    2. 국내조치와 WTO 규범의 상충 및 조화
    가. 보조금
    나. 표준 및 라벨링
    다. 정부조달
    라. 탄소세
    마. 지식재산권
    바.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3. 신축성 메카니즘과 WTO
    가. 배출권거래
    나. 프로젝트 메커니즘
    4. 토지이용활동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가. 연구의 배경
    나. 주요 기후 대응조치
    다. 기후대응 조치 관련 WTO 규범
    라. 기후대응조치와 WTO 규범의 관계
    2. 정책적 시사점
    3. 후속 연구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Stiglitz Urges Tariffs on U.S. Exports to Cut Global Warming
    <부록 2> 부속서 1국가의 현행 기후변화 대응조치
    <부록 3>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연합 기본협약(UNFCCC)
    <부록 4>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연합 기본협약에 대한 교토의정서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교토의정서에서에 따라 온실가스 의무감축국들이 도입하는 기술규정 및 표준, 국경조정조치, 유연성체제 등 조치들은 무역 및 투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들 일부는 WTO의 관련 규범과 상충될 개연성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대응조치는 자국의 관련 산업 및 기업의 경쟁력 약화와 해외이주 우려를 유발한다. 무역의존도가 높고 CO2 배출 세계 9위이면서 포스트-교토체제에서 의무부담국이 될 가능성이 큰 우리나라에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2009년 12월 코펜하겐정상회의에 앞서 포스트-2012 협약과 WTO 규범과의 관계, PPM 관련 조치와 국제무역 그리고 강제적 감축조치에 따른 경쟁력 약화산업·업체들의 공정경쟁 여건 확보 점검이 요구된다.
  • 시장개방과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시장개방과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분석

    최근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는 일자리 창출임에 틀림없다. 특히 한미 FTA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면서시장개방과 일자리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아웃..

    서진교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방, 노동시장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와 문제점

    제3장 시장개방 및 아웃소싱과 고용변화
    1. 제조업 부문의 관세율과 고용변화
    2. 글로벌 아웃소싱과 고용변화

    제4장 시장개방과 글로벌 아웃소싱이 고용에 미친 영향분석
    1. 이론적 모형
    2. 계량모형
    가. 분석방법
    나. 자료
    3. 분석결과
    가. 관세율과 고용
    나. 글로벌 아웃소싱과 고용
    다. 대용변수를 사용한 검증
    라. 숙련노동과 비숙련노동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 문헌

    부록: 시장개방의 장기 고용효과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최근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는 일자리 창출임에 틀림없다. 특히 한미 FTA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시장개방과 일자리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아웃소싱이 우리나라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장개방과 아웃소싱이 고용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은 학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시장개방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분석
    시장개방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분석

    한·미 FTA를 계기로 우리 경제 전체의 종합적인 생산성 증대 효과에 관심에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시장개방이 어떤 경로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는지 그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시장개방이 생산성을 제고하는 메..

    서진교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방, 생산성
    원문보기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과 방법론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본 연구의 구성과 체계

    제2장 시장개방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1. 이론적 배경
    2. 선행 실증 분석
    3. 한국의 시장개방과 산업에 대한 기본 분석
    4. 시장개방과 생산성에 대한 실증분석
    가. 실증분석모형
    5. 분석 결과
    가. 관세율과 총요소생산성
    나. 수입침투도와 총요소생산성
    6. 동태 분석

    제3장 시장개방과 효율성
    1. 서론
    2. 시장개방과 기술적 효율성에 관한 문헌소개
    3. 추정모형
    4. 자료
    5. 추정결과
    6. 대안모형(Alternative Specification)의 추정결과
    7. 수입침투도
    8. 결론

    제4장 시장개방과 경쟁의 심화
    1. 연구의 배경
    2. 선행연구
    3. 추정모형
    4. 추정방법 및 자료
    가. 추정방법
    나. 자료
    5. 추정결과
    6. 결론

    제5장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분해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한·미 FTA를 계기로 우리 경제 전체의 종합적인 생산성 증대 효과에 관심에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시장개방이 어떤 경로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는지 그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시장개방이 생산성을 제고하는 메커니즘으로 효율성 향상과 기술발전에 주목하고, 시장개방과 생산성, 효율성, 기술발전 및 경쟁심화에 미치는 영향을 1988-2005년 우리나라 제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은 학술적인 측면에서 뿐 아니라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Intra-regional Trade of ASEAN Plus Thre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East Asian..
    Intra-regional Trade of ASEAN Plus Three: Trends and Implications for East Asian..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ASEAN+3 국가들의 무역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무역의 역내 제도화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역내 산업간 무역 비중과 ASEAN+3 체재 내 무역의 상호의존도가 고조되고 있으나, 최종 수요는 동아시아 외 지역에 있다..

    Bui Truong Giang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무역구조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Observations on the evolving trend in ASEAN+3 Trade Relations:
    1. Observation 1: East Asia's trade grows fast and driving world trade
    2. Observation 2: The North-South pattern in trade relations between the ASEAN-10 and the ASEAN+3 has been the key facilitator of the ASEAN+3's intra-regional trad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3. Observation 3: The shifting roles of key drivers in East Asia's trade are happening
    4. Observation 4: Intra-industry trade is rising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intermediate products

    II. Logics behind deeper Institutionalization of ASEAN+3 Economic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1. Logics behind deeper Institutionalization of ASEAN+3 Economic Relations
    2. Implications for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III. Some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국문요약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ASEAN+3 국가들의 무역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 무역의 역내 제도화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역내 산업간 무역 비중과 ASEAN+3 체재 내 무역의 상호의존도가 고조되고 있으나, 최종 수요는 동아시아 외 지역에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따라서 역내 자유무역협정이 적절한 정책적 접근이라 하겠다. 특히 지역경제통합 과정을 시장 중심에서 제도지향적으로 전환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의 외부 의존도를 줄이고 내부 의존을 증가시키면 세계 무역 구조에서 동아시아 지역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유무역협정은 ASEAN 및 한국, 중국, 일본이 지역경제의 최종시장으로써 동아시아의 내생수요를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체계적 추진방안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체계적 추진방안

    아프리카의 저개발 문제가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난 2000년 UN 정상회의에서 채택된밀레니엄 개발목표(MDG)를 계기로 아프리카의 빈곤해소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아프리카에 대한 개발협력 지원은 지구촌..

    박영호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아프리카 저개발의 특징 및 발전전망
    1. 아프리카 저개발 현황 및 특징
    가. 아프리카 저개발의 다양성
    나. 광범위한 빈곤과 구조적 기아
    다. 경제규모의 영세성과 '모노컬처'형 경제구조
    라. 구 식민종주국과의 종속적 경제구조
    마. 아프리카 리스크
    2. 아프리카 저개발의 원인
    가. 아프리카 저개발 원인의 주요 논점
    나. 자연&#8231;지리적 요인
    다. 정치&#8231;사회적 요인
    라. 경제 산업적 요인
    마. 인적자본 측면
    바. 대외경제 요인
    3. 아프리카의 발전전망
    가. 비관론적 입장(Afro-pessimism)
    나. 낙관론적 입장(Afro-optimism): 발전 시그널
    4. 아프리카의 발전과제

    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개발원조 현황 및 특징
    1. 아프리카 개발원조의 세계적 추이
    가. 전체 개발원조 규모
    나. 원조의 배분 구조
    다. 원조의 수단
    라. 원조 지원 분야
    2. 밀레니엄 개발목표(MDG)와 아프리카: 평가와 향후 전망
    가. 아프리카의 MDG 추진 개요
    나. 아프리카의 7대 분야별 MDG 추진현황
    3.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개발원조 특징 및 원조유형 분석
    가. 유형별 개발원조 분류
    나. 유형별 아프리카 개발원조 특징
    다. 유형별 아프리카 개발원조 결정요인

    제4장 한-아프리카 협력확대 잠재성: 아프리카의 다중적 가치
    1. 한-아프리카 경제협력의 현주소
    가. 교역 및 투자 관계
    나. 빈약한 투자 관계
    다. 개발원조
    2. 아프리카와의 협력 의의
    3. 자원개발시장의 다변화
    가. 아프리카 자원개발 의의
    나. 석유개발 잠재력
    다. 광물자원 개발 잠재력
    4. 건설&#65381;플랜트 시장확대
    5. 틈새 수출시장 개척

    제5장 한국의 아프리카 개발협력 기본방향
    1.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기본목표
    가. 아프리카 빈곤해소에의 기여
    나. 21세기 협력 파트너십 구축
    2. 비교우위 분야(한국)와 협력니즈(아프리카)의 조합
    3. 특정국가에 대한 집중적 지원: 원조사업의 효율성 제고
    가. 개발협력국(DCC)
    나. 전략적 협력국가(SCC)

    제6장 대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1. 개발경험전수
    가. 개발경험전수의 의의
    나. 개발경험 공유의 가능성
    다. 잠재적 가능국가 검토
    라. 발전경험전수사업 추진방법
    2. 민간부문과의 파트너십(PPP) 구축
    가. PPP 개념 및 의의
    나. 주요국의 대 아프리카 PPP 활용사례
    다. PPP를 활용한 개발컨설팅: 개발조사 사업 확대
    3.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 신탁기금의 활용성 제고
    가. AfDB의 신탁기금 현황
    나. 우리나라의 AfDB 신탁기금 운용현황
    다. 활용전략 및 정책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아프리카의 저개발 문제가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난 2000년 UN 정상회의에서 채택된밀레니엄 개발목표(MDG)를 계기로 아프리카의 빈곤해소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아프리카에 대한 개발협력 지원은 지구촌 시대에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로서 뿐만 아니라 보다 성숙된 선진국을 지향하는 글로벌 코리아가 제시하는 비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개발원조가 아프리카 빈곤퇴치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양국의 협력관계를 본궤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분명한 원조철학과 이에 기초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개발협력에 있어 목표와 원칙은 무엇이며 그 방향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 틀을 모색하고 있다.
  • The Next APEC Membership from Latin America: A Contextual Approach
    The Next APEC Membership from Latin America: A Contextual Approach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들에게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역동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동아시아 경제는 아직도 개척이 덜 된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대표되는 아태지역의 수요증가는 중남미국가들에게 원자재, 중간재, 서비..

    김원호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The Issue of the Admission of New Members

    III. The Asia-Pacific, Latin America, and APEC

    IV. Colombia and the Asia-Pacific Region

    V. Differentiation of Economic Spectrum in South America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들에게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역동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동아시아 경제는 아직도 개척이 덜 된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대표되는 아태지역의 수요증가는 중남미국가들에게 원자재, 중간재, 서비스 부문등 전례없는 생산과 수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중남미 국가들은 전통적인 유럽 및 미국시장 편중으로부터 벗어나 아태지역으로의 무역구조 다변화를 지향하고 있다. 현재 APEC에는 멕시코, 칠레, 페루 등 3개국 만이 가입되어 있다. 2010년으로 모라토리움이 연장된 신규가입 건과 관련, 중남미 국가중 콜롬비아는 그간 실무그룹 참여 등 적극적인 추가가입 노력을 펴왔으며 알바로 우리베 대통령은 2008년 APEC 회의에 유일한 비회원국 정상으로 초청받아 이 기회를 활용해 캐나다와 FTA, 중국과는 BIT에 서명하였다. 콜롬비아의 아태지역과의 무역투자 규모는 최근 비약적으로 늘고는 있으나 아직 미미한 편이다. 그러나 중남미 지역의 일부 주도국들이 글로벌화에 역행하는 경제정책 노선을 택하는 기류 속에서도 우리베 정부는 지역통합과 개방경제라는 APEC의 두 대의명분에 합치되는 노력을 펴왔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국내적 개혁을 이끌 수 있도록 모멘텀을 제공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콜롬비아의 APEC 가입을 받아들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콜롬비아 뿐만 아니라 중남미지역의 다른 나라들에게도 정치적 및 경제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the APEC: Another Common Denominator 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the APEC: Another Common Denominator or..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APEC에서 협상의제가 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만약 CSR이 협상의제가 된다면, 이는 모든 APEC 회원국에게 기업활동을 규제하는 또 다른 공동의 규제를 부과하게 될 것이다. 만약 협상의제가 되지 않..

    최병일 발간일 2008.12.30

    경제협력, 기업경영
    원문보기
    목차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Current Literature on CSR

    III. Current State of Play of CSR in the APEC

    IV. International Framework on CSR
    A. The ILO Tripartite Declaration of Principles Concerning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Social Policy
    B. The OECD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C. The UN Global Compact
    D. ILO Core Labor Standards
    E. ISO 26000

    V. A Way Forward to CSR at the APEC

    VI.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APEC에서 협상의제가 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지고 있다. 만약 CSR이 협상의제가 된다면, 이는 모든 APEC 회원국에게 기업활동을 규제하는 또 다른 공동의 규제를 부과하게 될 것이다. 만약 협상의제가 되지 않는다면, 회원국은 그러한 부담에서 자유로워질 것이다. 본 논문은 CSR이 APEC에서 의제가 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다른 포럼들 및 APEC과의 관계에 따라 발전된 몇몇 국제적 CSR 규범들에 대해 논의한다. APEC 회원국들이 가진 위장된 협상의제에 대한 민감성, 그리고 대부분 국제적 CSR 규범들이 자발적인 성격을 갖추고 있음을 고려할 때, APEC에서 CSR을 거론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원적 접근법을 택하는 것이다. 첫째, APEC은 자발성에 바탕을 두고 APEC CSR 규범을 발전시킨다는 중기적 목표를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APEC은 CSR의 모범적 시행과 보급, 고취, 공적 약속 및 네트워킹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CSR 역량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Free Trade Agreements in the APEC Region: An Evolutionary Path to Bogor Goals
    Free Trade Agreements in the APEC Region: An Evolutionary Path to Bogor Goals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오랫동안 다자주의 체제의 신봉자로서 GATT/WTO 체제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으나, 1990년대 말부터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정책을 병행하여 추구하는 새로운 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APEC 회원..

    박성훈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자유무역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Analysis of FTA Initiatives of APEC Member Economies 1. General Tendency towards Regionalism in the Region 2. FTA Activities with Other APEC Member Economies 3. FTA Activities with non-APEC Countries III. Increasing FTA Activities of APEC Member Economies and Bogor Goals 1. Potential of Increasing FTAs to be Stumbling Block to the Bogor Goals 2. Potential of Increasing FTA Activities to be Building Block to the Bogor Goals IV. APEC's Response to Increasing FTA Activities of Member Economies: An Evaluation 1. Rethinking the Instruments to Achieve the Bogor Goals 2. Approaches Addressing the Problem of Increasing FTA Activities 3. Evaluation of APEC Activities and Prospects V. Roadmap towards Achieving the Bogor Goals through intra-APEC FTAs 1. A Possible Roadmap of APEC towards the Bogor Goals 2. Challenges for Each Step of the Roadmap VI. Conclusion
    국문요약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은 오랫동안 다자주의 체제의 신봉자로서 GATT/WTO 체제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으나, 1990년대 말부터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정책을 병행하여 추구하는 새로운 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APEC 회원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지역주의 전략을 주도면밀히 분석한 후 APEC 차원에서 보고르목표에 더 가까이 접근하기 위해 이러한 지역주의화 경향을 여하히 활용할 수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생략)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