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57/290
-
헝가리의 주요 산업: 자동차,IT,금융,제약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헝가리는 서유럽과 동유럽, 북부유럽과 남부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발칸 및 CIS 시장의 진출 거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헝가리는 사회주의 계..
이철원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헝가리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경제동향 2. 산업구조 3. 주요 산업정책 가. 중기 전략적 국가발전계획 나. 투자유치정책 Ⅲ. 자동차 산업 1. 산업 개황 가. 개황 나.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헝가리의 입지 2. 자동차 산업 관련 정책 가. 완성차 및 부품산업에 대한 투자인센티브 강화 나. Pannon 자동차 클러스터 단지 조성과 정부 참여 다. 자동차 산업의 R&D 인프라 강화 3. 산업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생산동향 나. 판매동향 다. 수출입 동향 4. 자동차 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 투자 개요 나. 최근 외국인 투자 동향 5. 자동차 산업 및 주요 기업의 성장 잠재력 가. 자동차 산업의 성장 잠재력 및 전망 나. 주요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및 미래 전략 Ⅳ. IT 산업 1. 산업 개황 가. 중․동구 IT 산업 나. 헝가리 IT 산업 2. IT 산업 관련 정책 가. IT산업 육성 나. 전자정부 구축 다. 통신시장 자유화 및 민영화 3. IT 산업 세부부문별 동향 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나. 통신서비스 다. IT서비스 4. IT 산업 전망 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나. 서비스 Ⅴ. 금융 산업 1. 산업 개황 가. 금융 산업의 구조 나. 외국 금융기관의 진출 2. 금융 산업 관련 정책 가. 금융체제 개혁 나. 건정성 규제, 은행감독체계 강화 및 은행민영화 3. 금융 산업 세부부문별 동향 가. 은행 산업 나. 보험 산업 4. 금융 산업 전망 가. 은행 산업 나. 보험 산업 Ⅵ. 제약 산업 1. 산업개황 및 입지 가. 산업개황 및 특성 나. 유럽 의약품 시장에서 헝가리의 위치 2. 제약 산업 관련 정책 가. 시장관리 기구와 제도 변화 나. 주요 관련 정책 3. 세부 부문별 동향 가. 시장동향 및 구조 변화 나. 생산동향 다. 수출입 현황 라. 의약품시장 구조 4. 제약 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투자 규모 및 주요 외국계 회사 나. 최근 외국인 투자 동향 및 경향 5. 성장 잠재력 및 전망 가. 헝가리 제약 산업 SWOT 분석 나. 주요 선도기업 사업분석(SWOT) Ⅶ. 협력 방향 및 진출 전략 1. 한-헝가리 경제협력 기본 방향 가. 경제협력 잠재력 나. 경제협력 기본 방향 2. 주요 산업별 협력방향 및 진출전략 가. 자동차 산업 나. IT 산업 다. 금융 산업 라. 제약 산업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 부록 5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헝가리는 서유럽과 동유럽, 북부유럽과 남부유럽의 중앙에 위치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발칸 및 CIS 시장의 진출 거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헝가리는 사회주의 계획경제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위해 일찍부터 경제개혁을 추진, 중·동구(CEE: Central and Eastern Europe) 지역에서 가장 모범적인 체제전환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
UAE의 주요 산업: 건설,정보통신,관광,금융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세계 5위의 원유매장량(점유율 8.2%)을 보유한 에너지부국 UAE는 최근 중동지역의 물류 중심지에서 비즈니스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UAE의 2007년 GDP(명목) 규모는 1,926억 달러로 전년에 비..
박철형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I. UAE의 경제구조와 경제정책
1. 경제동향 및 전망
가. 경제동향
나. 경제 전망
2. 산업구조 및 주요 특징
가. 산업구조
나. 주요특징
3. 주요 산업정책
가. 국가발전전략 개관
나. 경제발전전략
다. 산업다각화 정책
라. 외국인투자 정책 및 조세제도
마. 통상 정책
바. 노동정책 및 노무제도Ⅱ. 건설업
1. 건설시장 현황
2. 주요 정책 및 제도
가. 정책 방향
나. 건설 및 부동산 관련 규정
다. 건설업 위기관리 대책
3. 지역 및 부문별 동향
가. 두바이
나. 아부다비
4.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5. 외국인투자 동향 및 성공사례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투자 성공사례
6. 전망 및 평가Ⅲ. 정보통신업
1. 개황 및 특징
2. 정보통신 정책
3. 부문별 동향
가. 유선통신
나. 이동통신
다. 인터넷 및 IT시장
다. IT제품 수입시장 동향 및 경쟁구조
4. 외국인투자 및 해외진출 현황
가. IT부문 외국기업 진출현황 및 정부의 유치전략
나. UAE 통신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5. 전망 및 평가
가. 통신시장
나. 인터넷 및 IT시장Ⅳ. 관광업
1. 산업 개황 및 특징
2. 관광산업 정책 가. 두바이 나. 아부다비
3. 세부업종 및 관련부문 동향
가. 호텔업
나. 레저산업
다. 문화산업
라. 소매업(소핑)
마. 항공 바. 대중교통
4. 선도기업의 사업현황
가. Tatweer
나. Emirates Group
5. 외국인투자 동향 및 성공사례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투자 성공사례
6. 전망 및 평가
가. 전망 V. 금융업 1. 금융업 개황 및 특징
2. 부문별 주요 정책 및 제도
가. 중앙은행
나. 은행업
다. 이슬람금융
라. 외국인투자 규제 및 촉진 제도
3. 부문별 동향
가. 은행업
나. 이슬람금융
다. 자본시장
4. 외국인투자 및 해외진출 현황
가. 외국금융기관 현지진출 현황
나. UAE 은행의 해외진출 현황
5. 전망 및 평가VI. UAE 진출 전략
1. UAE의 진출환경 분석
가. 투자환경
나. 수출환경
2. 업종별 진출방향
가. 건설업
나. 정보통신산업
다. 관광업
라. 금융업참고문헌
부록: 건설업 현지 유관기관 및 업체 리스트
국문요약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세계 5위의 원유매장량(점유율 8.2%)을 보유한 에너지부국 UAE는 최근 중동지역의 물류 중심지에서 비즈니스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UAE의 2007년 GDP(명목) 규모는 1,926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7.4% 성장하였으며, 2008년에는 6~7%대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08년 하반기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경제 침체와 함께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2009년 UAE의 경제성장률은 3~4% 수준으로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생략) -
카자흐스탄의 주요 산업: 석유,IT,건축자재,의약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카자흐스탄은 2000년 이후 에너지산업 발전을 바탕으로 연평균 9~10%대의 고도성장을 거듭하였으나, 최근 국 제 유가가 정점대비 절반가격으로 하락함에 따라 2008년 경제성장률은 4%대를 기..
이철원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발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카자흐스탄의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2. 산업구조 3. 주요 석유산업정책 가. 중기 산업혁신발전전략 나. 카자흐스탄 산업공단 추진 4. 투자환경 가. 외국인 투자유치정책 나. 외국인 투자 제도 다. 비즈니스 환경 평가 Ⅲ. 석유산업 1. 개황 2. 주요 육성정책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탐사 및 개발(Upstream) 나. 석유 정제 부문 (Downstream) 다. 석유 수출 4. 주요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및 전략 가. Chevron 나. Eni Kazakhstan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Ⅳ. IT 산업 1. 개황 가. IT산업 개요 나. 통신 인프라 2. 주요 IT산업정책 가. 전자정부(e-government) 구축 나. 정보화 격차 해소 사업 다. 알라타우 IT 시티 건설 4.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하드웨어 나. 유선통신 다. 이동통신 라. 인터넷․브로드밴드 5 주요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및 전략 가. Kar-Tel(VimpelCom) 나. Altel 다. Microsoft 6. 성장 잠재력 및 전망 Ⅴ. 건축자재 산업 1. 개황 가. 건축자재산업의 개요 나. 건축자재 수요동향 2. 건축자재 산업 관련 정책 가. 건축자재산업 정책동향 나. 건축산업 위기에 대한 정부대책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품목별 시장동향 나. 건축자재 유통구조 다. 건축자재 가격동향 4. 외국기업의 진출 현황 5. 성장잠재력 및 전망 가. 건축자재 산업 성장 요소 나. 카자흐스탄 건축자재 경쟁력 다. 카자흐스탄 건축자재 선도 기업 및 마케팅 전략 Ⅵ. 의약산업 1. 개황 가. 의약산업 개요 나. 카자흐스탄 의약산업 최근 동향 다. 카자흐스탄 의약품 소비동향 2. 주요 의약산업 정책 가. 의약산업 국가정책 나. 의약 산업 관련법 3. 주요 부문별 동향 가. 카자흐스탄 제약 산업 동향 나. 의약품 유통구조 및 가격동향 다. 의약품 수출입 동향 4. 성장잠재력 및 전망 Ⅶ. 협력 방향 및 진출 전략 1.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기본 방향 가. 전략적 중요성 나. 시장의 중요성 다. 경제협력 기본 방향 2. 주요 산업별 협력방향 및 진출전략 가. 석유 산업 나. IT 산업 다. 건축자재 산업 라. 의약 산업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카자흐스탄은 2000년 이후 에너지산업 발전을 바탕으로 연평균 9~10%대의 고도성장을 거듭하였으나, 최근 국 제 유가가 정점대비 절반가격으로 하락함에 따라 2008년 경제성장률은 4%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산업 구조가 석유·가스 등 에너지부문에 편중돼 있어 카자흐스탄 경제구조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카자흐스탄 정부는 산업혁신 발전전략, 경제특구 설립추진, 외국인투자 촉진정책 등을 통해 기존의 에너지 수출에 편중된 산업 구조를 다각화시키고 장기적으로 고부가 가치 산업경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경제성장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필리핀의 주요 산업: 자동차,바이오연료,TV방송,프랜차이즈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필리핀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역상대국으로 지난 2007년 6월 한·ASEAN FTA가 발효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필리핀 경제는 9천만에 가까운 인구와 다양하고 풍부한 천연자원..
정재완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필리핀의 경제동향 및 산업구조 1. 필리핀 경제의 특징 2. 최근 필리핀 경제 동향 가. 국내부문 나. 해외부문 3. 필리핀의 산업구조 가. 산업구조 개관과 최근 동향 나. 주요 산업 4. 필리핀 정부의 주요 경제·산업정책 Ⅲ. 자동차 산업 1. 자동차 산업 및 시장의 특징 2. 최근 필리핀 정부의 자동차 정책 가.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정책 나. FTA와 자동차산업 3. 부문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동향 가. 자동차 생산 동향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수출입 동향 라. 자동차부품산업 동향 4. 외국인투자 현황과 일본의 동남아 자동차 분업체계 가. 외국인투자 현황 나. 일본의 동남아 자동차 생산네트워크와 필리핀 자동차 산업 5.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과 전망 가. 필리핀 자동차 산업에 대한 경쟁력과 SWOT 분석 나. 자동차 산업의 비전과 중장기 전망 다.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과제 Ⅳ. 바이오연료 산업 1.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개요 2. 필리핀 정부의 주요 정책 가. 바이오연료 관련 법규 나. 바이오연료 프로그램 추진 구조 3.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현황 가. 필리핀의 에너지공급 구조 나. 바이오연료 생산 현황 및 계획 다. 시장 상황 라. 바이오연료 산업의 경제 기여도 4. 바이오연료 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 가. 주요 개발 프로젝트 추진 현황 나. 외국계 기업의 프로젝트 진출 5. 필리핀 바이오연료 산업 전망 Ⅴ. 필리핀의 TV 방송 산업 1. TV 방송 산업의 개요 및 특징 2. 필리핀의 방송정책 가. 규제기구 나. 관련 법률 다. 세부 규제내용 3. 방송부문별 동향 가. 공중파 TV(Free to Air TV) 나. 유선방송(Cable TV) 다. IP TV 라. 위성 TV 4. 필리핀의 방송 및 방송 프로그램 시장 개방 현황 가. 외국인투자 동향 나. 방송 프로그램 수출입 동향 5. 필리핀 방송 산업의 성장 전망 가. TV 방송 산업의 경쟁력 나. 방송 산업 성장 전망 Ⅵ. 프랜차이즈 산업 1.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개요 2. 필리핀 정부의 주요 정책 가. 프랜차이즈 산업관련 법규 및 규제사항 나. 정부의 지원정책 3.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현황 가. 산업구조 및 특징 나. 프랜차이즈 산업의 경제 기여도 다.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 방향 4. 외국계 프랜차이즈 진출 현황 가. 외국계 진출 현황 나. 외국계 프랜차이즈의 진출 분야 다. 성공사례 및 요인 5.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전망 Ⅶ. 우리기업의 필리핀 진출 방향 1. 자동차 산업 2. 바이오연료 산업 3. TV 방송 산업 4. 프랜차이즈 산업 참고자료 부록 1. 바이오연료 생산관련 기관 및 기업체 부록 2. 바이오연료 사업의 선두주자 “Chemrez"의 사업 현황 부록 3. 프랜차이즈 산업 주요 유관기관 및 기업체 부록 4. 주요 프랜차이즈 기업의 사업 현황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필리핀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교역상대국으로 지난 2007년 6월 한·ASEAN FTA가 발효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필리핀 경제는 9천만에 가까운 인구와 다양하고 풍부한 천연자원 등으로 인해 다원화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농림수산업의 GDP 비중이 여전히 10%를 상회할 만큼 높은 편이며, 지하경제 규모가 크다. 한편, 필리핀은 1인당 GDP 1천 달러대의 빈국이지만 수도권인 메트로마닐라 지역의 구매력은 상당히 높으며, 해외거주 필리핀인이 보내오는 송금이 GNP의 7%대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 또한 필리핀 시장의 특징이다. 필리핀은 1990년대 후반 동아시아 경제위기와 엘니뇨현상으로 심각한 경기침체를 경험했으나, 2000년대 들어 예전의 성장세를 거의 회복했으며, 2007년은 지난 31년 내 최고인 7.3%의 실질GDP성장률을 기록하였다.(생략) -
태국의 주요 산업: 바이오에너지,금융,자동차,전기전자
*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태국은 1980~90년대 제조업 중심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추진해 연간 10% 내외의 고도성장을 기록하며 동남아의 고도성장을 주도한 동남아의 대표적인 산업국가이다. 또한 자유로운 투자환경..
이재호 외 발간일 2008.12.30
산업구조원문보기목차머리말 국문요약 I. 서론 II. 경제동향 및 산업 구조 1. 태국 경제 특징 2. 주요 거시경제 동향 가. 주요 거시지표 및 동향 나. 대외경제 동향 다. 산업 구조 라. 외국인직접투자 마. FTA 추진 현황 III. 바이오에너지 1. 태국의 바이오에너지 도입 2. 태국의 바이오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 가. 바이오에너지 정책 개황 나. 에너지 전략계획 2003(Energy Strategic Plans 2003) 다. 신재생에너지 개발 전략(Renewable Energy Development Strategy) 3. 세부부문별 현황 가. 바이오연료 수요 현황 나. 바이오연료 생산 동향 다. 바이오에너지산업 전망 4. 바이오에너지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5. 태국 바이오에너지 선도기업: PTT 가. 현황 나. 미래 전략 다. 강점 및 약점 IV. 금융산업 1. 금융시스템 개요와 특징 가. 금융시스템 개요 나. 금융산업의 특징 2. 금융위기 이후 개혁추진 동향과 평가 가. 개혁의 기본 골격과 마스터플랜 주요 내용 나. 주요 분야별 개혁추진 동향 및 성과 다. 금융 감독과 규제 및 소비자 보호 라. 개혁 평가 3. 분야별 구조 및 동향 가. 은행과 금융시장 나. 자본시장 다. 보험시장 라. 이슬람 금융 육성 4. 외자진출 현황과 외국인투자 규제 가. 외국금융기관 진출 현황 나. 외자 진출에 대한 규제 5. 금융산업 전망과 개혁 과제 가. 금융산업 전망 나. 금융산업 성장을 위한 과제 V. 자동차산업 1. 개황 가. 자동차산업의 위상과 전망 나. 자동차부품산업의 발전 2. 국가 주요 정책 가. 자동차산업 발전 전략(Automobile Industry Master Plan 2007-2011) 나. 친환경자동차(Eco-Car) 생산 장려 정책 다. E20 정책 라. 자동차 관세 인하 3. 세부부문별 현황 가. 생산 나. 고용 다. 수출 라. 수입 마. 내수판매 4. 자동차산업의 외국투자 현황 가. 도요타(Toyota Thailand Co.,Ltd) 나. MCI & TSH Co.,Ltd 다. 덴소(DENSO) 라. 한국 자동차 업체 진출 현황 5. 태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과 가능성 가. 태국 자동차 수요 나. 태국 자동차시장 외국인투자 전망 다. 태국의 주요 자동차회사 VI. 전기전자산업 1. 개황 가. 전기전자산업의 위상과 전망 나. 전기전자제품 생산기지로서의 태국 2. 국가 주요 정책 가. 정책기조 및 추진 방향 나. 전기전자산업 발전 정책 다. 태국 투자청(BOI)의 투자유치 정책 3. 세부부문별 현황 가. 고용 나. 생산 현황 다. 수출 현황 라. 수입 현황 4. 전기전자산업의 외국인투자 현황 가. 도시바 컨슈머 프로덕트(태국) 나. 후지쯔(태국)사 다. Cal-Comp Electronics(태국)Public Co.,Ltd 5. 태국 전기전자산업 선도기업 가. 삼성전자(태국) 나. KCE Electronics Public Co.,Ltd. VII. 태국 시장 진출 방향 1. 투자환경 분석 2. 업종별 진출 방향 가. 바이오에너지 산업 나. 금융산업 진출 방향 다. 자동차산업 진출 방향 라. 전기전자산업 진출 방향 참고자료 부록 부록 1. 바이오에너지 관련 주요 회사 목록 부록 2. 자동차산업 관련 주요 회사 목록 부록 3. E20 적용가능한 자동차 모델 부록 4. 전기전자산업 관련 주요 회사 목록국문요약*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는 원문 일부만 공개함. 태국은 1980~90년대 제조업 중심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추진해 연간 10% 내외의 고도성장을 기록하며 동남아의 고도성장을 주도한 동남아의 대표적인 산업국가이다. 또한 자유로운 투자환경, 적극적인 외자유치 정책 및 산업고도화로 2~3차 산업중심의 산업국가의 면모를 갖춘 동남아의 대표적인 신흥경제국이다.(생략) -
EU 지역정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유럽연합(EU) 지역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성과와 한계를 검토한 후 우리나라 지역균형발전정책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과 동북아 통합에 대한 교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EU 지역정책의 변화에 대응해..
김은경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정치경제원문보기목차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EU 지역정책의 정책적 배경
1. 지역(region)의 정의
2. 세계화하의 지역정책과 거버넌스
제3장. EU 지역정책의 시기별 변화 과정
1. 지역정책에 대한 인식의 부재: 1957~73년
2. 지역정책의 형성기: 1973~86년
3. 지역정책의 본격화: 1986년~ 현재
가. 1989~93년 제1차 프로그래밍
나. 1994~99년 제2차 프로그래밍
다. 2000~06년 제3차 프로그래밍
라. 2007~13년 제4차 프로그래밍
제4장. EU 지역정책의 특징과 쟁점
1. 지역정책의 추진 주체 및 방법
2. 정책목표 및 정책수단
3. 재원배분
4. EU 지역정책의 의의와 한계
제5장. EU 지역정책에 따른 회원국들의 정책 변화
1. 영국
2. 프랑스
3. 독일
제6장. 정책적 시사점
1. 한국의 지역정책에 대한 시사점
2. 동북아 경제통합에 대한 시사점
제7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본 연구는 유럽연합(EU) 지역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성과와 한계를 검토한 후 우리나라 지역균형발전정책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과 동북아 통합에 대한 교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EU 지역정책의 변화에 대응해 회원국들의 지역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기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지역정책을 검토하였다. EU의 지역정책은 본질적으로 경제통합을 위한 수렴이라는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한 공동정책이다. 경제적 격차를 가진 다양한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참여하면서 지역간 격차가 회원국들의 결속력과 유럽통합의 확대를 저해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 EU차원의 지역정책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EU의 지역정책은 기본적으로 결속정책이다. 영국, 프랑스, 독일의 사례는 EU의 지역정책이 확대될수록 회원국 중앙정부의 자국내 지역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EU 지역정책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활용하고 회원국의 지방분권의 확대와 결합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앙집권적이고 경직적인 우리나라의 지역균형발전정책은 전면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향후 동북아 차원의 통합력 제고를 위해 유럽의 경험을 바탕으로 결속정책을 어떤 식으로 추진해나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Ten Years after the Korean Crisis: Crisis, Adjustment and Long-run Economic Gro..
Most observers would consider the 1997 Asian crisis as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impressiv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Korean economy went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to overcome the unprecedented shocks of the..
Meral Karasulu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개혁, 금융위기원문보기목차Preface
sessionxx I. THE KOREAN CRISIS AND ECONOMIC CHANGES
1. Korea Ten Years after the Crisis: Collateral and Reserve Accumulation / Michael P. Dooley, Peter Garber, and David Folkerts-Landau
Comments on “Korea Ten Years after the Crisis: Collateral and Reserve Accumulation”: Two Crises of International Economics / Naoyuki Yoshino
2. Inflation Targeting in Korea: Success, Good Luck or Bad Luck? / Yung Chul Park and Charles Wyplosz
Comments on “Inflation Targeting in Korea: Success, Good Luck or Bad Luck?” / Hans Genberg
3. Ten Years after the Crisis: Financial System Transition in Korea / Joon Ho Hahm
Comments on “Ten Years after the Crisis: Financial System Transition in Korea” / Shinji Takagi
4. Corporate Sector Restructuring in Korea: Status and Challenges / Stijn Claessens and Dongsoo Kang
Comments on “Corporate Sector Restructuring in Korea: Status and Challenges” / Youngjae Lim
sessionxx II. CHANGES LOOKING FORWARD: TOWARDS LONG-TERM STABLE ECONOMIC GROWTH
1. Achieving Long-Term Fiscal Sustainability in Korea / Tarhan Feyzioğlu, Michael Skaarup, and Murtaza Syed
Comments on “Achieving Long-Term Fiscal Sustainability in Korea”: Should We Be Concerned by Korea's Exposure to the International Interbank Market? / Robert N. McCauley
2. Household Debt in Korea and Macroeconomic Implications / Meral Karasulu and Jerald A. Schiff
Comments on “Household Debt in Korea and Macroeconomic Implications” / Chang Seok Oh
3. Productivity Growth and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Economy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 Hak K. Pyo
Comments on “Productivity Growth and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Economy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 Chin Hee Hahn
sessionxx III. WHAT IS THE AGENDA FOR THE NEXT 10 YEARS?
1. Changes in Labor Quality among New College Graduates in Korea / Dae Il Kim
Comments on “Changes in Labor Quality among New College Graduates in Korea” / Yeongkwan Song
2. Trade Structure, FTAs, and Economic Growth: Implications for East Asia / Chan-Hyun Sohn and Hongshik Lee
Comments on “Trade Structure, FTAs, and Economic Growth: Implications for East Asia” / Hyun-Hoon Lee
3. Crisis, Adjustment, and Long-run Economic Growth in Korea / Noh Sun Kwark, Changyong Rhee and Doo Yong Yang
Comments on “Crisis, Adjustment, and Long-run Economic Growth in Korea” / Kwanho Shin
Seminar Program
List of Participants
List of KIEP Publications국문요약Most observers would consider the 1997 Asian crisis as the biggest challenge in the impressiv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The Korean economy went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to overcome the unprecedented shocks of the crisis. The resolution of the crisis acted as a catalyst to bring much needed structural change in the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In the process Korea has adopted wide-ranging economic reforms, experienced substantial institutional change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ts legal framework.(생략) -
China and Korea in the World Economy: Comm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en Y..
리다오퀘이 칭화대학 교수는 제1장에서 중국이 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분석한 후, 최근의 세계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도국은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개도국과 선진국은 협력하여 현행 세계금융..
David Daokui Li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관계, 경제협력원문보기목차Foreword
Executive Summary
1. China in the Realm of the World Economy / David Daokui Li
2. Interpretation of China's Economic Comeback / Youngrok Cheong
3. Reflections on 10 Years of Financial Reform in China / Ping Xie
4. Higher Education Reform in China: Market Orientation and Institutional Response / Jun Zhang
5. The Structure of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 Yoocheul Song
6. China's Energy: Challenges and Strategies / Weidou Ni
7. FDI in China and Policy Consideration / Taotao Chen
8.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Economy-wide Effects and Conclusions / Junkyu Lee
9. Why So Little Regional Financial Integration in Asia?: The Role of Liquidity / Doo-Yong Yang
10. Financial Integration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 Hong-Rae Cho
List of Participants국문요약리다오퀘이 칭화대학 교수는 제1장에서 중국이 90년대 후반 아시아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분석한 후, 최근의 세계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도국은 불리한 위치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개도국과 선진국은 협력하여 현행 세계금융질서를 개선하여야 하며, 특히 신흥국가 중에서 중국이 이를 위해 적극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생략) -
한·중 FTA 대비 중국의 FTA 서비스협정 분석과 정책제언
한·중 양국간 교역 및 투자 규모를 고려할 때, 중국은 향후 한국이 추진할 FTA 대상국으로서 한국경제 전반에 주는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이다. 따라서 국내의 정책결정자 및 연구자에게 한·중 FTA는 대단히 중요한 정책적 이슈의 하..
이장규 외 발간일 2008.12.30
무역정책,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발간사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주요 연구내용
제2장 한ㆍ중 경제관계와 중국의 FTA 전략
1. 한ㆍ중 경제관계
가. 한ㆍ중 양국의 대세계 서비스 교역 동향
나. 한ㆍ중간 서비스 교역 추이 및 특징
다. 한ㆍ중간 서비스 부문 투자 현황
2. 중국의 FTA 추진 현황 및 전략
가. 중국의 FTA 추진 현황
나. 중국의 FTA 전략
제3장 중국의 FTA 서비스 협정 분석
1. 기존 협상, 협정문 및 양허안 분석
가. 중ㆍ홍콩 CEPA
나. 중ㆍ아세안 FTA
다. 중ㆍ칠레 FTA
라. 중ㆍ뉴질랜드 FTA 서비스 협정 분석
2. 중국 서비스 협정 양허안 비교
제4장 한국과 중국 경제의 서비스화
1.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가. 생산의 서비스화
나. 고용의 서비스화
다. 교역의 서비스화
2. 중국 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가. 생산의 서비스화
나. 고용의 서비스화
다. 교역의 서비스화
3. 양국 경제의 서비스화 특징
가.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 특징
나. 중국 경제의 서비스화 특징
제5장 한ㆍ중 FTA의 서비스 부문에 대한 경제적 효과
1. 일반적 경제적 효과: CGE 모형 분석에 의한 경제적 효과
가. 기존의 연구결과 검토
나. 기존 연구의 문제점
2. 서비스 분야별 경제적 효과
가. 법률 서비스
나. 유통 서비스
다. 운송 서비스
라. 통신 서비스
마. 금융 서비스
바. 환경 서비스
사. 보건의료 서비스
아. 교육 서비스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1. 주요 연구내용
가. 한국의 FTA 체결 전략
나. 한ㆍ중간 서비스 교역 추이 및 중국의 FTA 전략
다. 협정문ㆍ양허안 분석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라. 한ㆍ중 양국 경제의 서비스화 수준
2. 주요 협상 이슈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한·중 양국간 교역 및 투자 규모를 고려할 때, 중국은 향후 한국이 추진할 FTA 대상국으로서 한국경제 전반에 주는 영향이 지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이다. 따라서 국내의 정책결정자 및 연구자에게 한·중 FTA는 대단히 중요한 정책적 이슈의 하나이며, 이미 한·중 FTA에 대해서는 다수의 선행연구가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한·중 FTA와 관련하여 상품교역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고, 서비스 교역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보고서는 한·중 FTA를 추진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서비스 부문에 대해서는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것은 최근 중국이 체결한 중·뉴질랜드 FTA 및 중·싱가포르 FTA에서도 알 수 있듯이, 중국이 종전과 달리 포괄적인 방식으로 FTA를 체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인구대국인 중국과의 FTA에서는 서비스 교역의 모드 4, 즉 자연인의 이동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
일본의 기체결 EPA의 분석과 한·일 FTA에의 정책 시사점
이 연구는 일본이 체결한 6건의 경제연계협정(EPA)의 협정문 분석에 기초하여 일본의 기체결 EPA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일본이 상품양허 분야에서 자국 농수산물시장의 개방에는 소극적으로 임한 반면, 투자와 지적재산권, 상호인증..
김양희 외 발간일 2008.12.30
경제통합, 자유무역원문보기목차서 언
국문요약
제Ⅰ부 한·일 FTA의 주요 현안과 일본 EPA 정책의 특징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및 방법론
가. 연구 배경과 목적
나. 연구 방법
2.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한·일 FTA의 추진 경위와 주요 현안
1. 한·일 FTA 논의의 추진 경위
가. 협상 개시까지(1998년~2003년 11월)
나. 협상 과정(2003년 12월~2004년 11월)
다. 협상 중단 이후(2005년 1월~2008년 9월 현재)
2. 한·일 FTA를 둘러싼 주요 현안
가. 대일 기술의존
나. 일본기업의 저조한 대한투자
다. 비대칭적인 한·일 관세 구조
제3장 일본의 EPA 정책의 특징
1. EPA 정책의 목표와 전략
2. 일본의 EPA 추진 현황
가. 발효 및 체결
나. 협상 및 협상 중단
다. 기타
3. 일본의 EPA 추진 체계와 협상 방식
가. 협상 체계
나. 협상 절차
4. 기체결 EPA의 개괄
5. 기체결 EPA의 추진 성과와 문제점
가. EPA의 활용 실태
나. EPA가 일본기업의 비즈니스에 미친 영향
6. 소결
제Ⅱ부 일본의 기체결 EPA 분석
제4장 시장접근 관련 제도 및 규범
1. 상품무역
가. 일반규칙
나. 통관 및 전자무역
2. EPA 특혜원산지규정
가. 일본의 EPA 특혜원산지규정(EPA-RoO)의 구성요소
나. 원산품
다. 실질적 변경기준
라. 실질적 변경기준의 보충규정
마. 기타 규정
바. 원산지증명
3. 세이프가드
4. 위생검역
5. 소결
제5장 품목별 관세양허 및 원산지규정
1. 품목별 관세양허
가. 분석방법
나. 산업별 EPA 양허 현황
다. 산업별 실태
라. 평가
2. 품목별 원산지규정
가. 분석방법
나. 산업별 EPA별 원산지규정 현황
다. 소결
제6장 서비스 및 투자
1. 서비스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2. 투자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3. 소결
제7장 기타 무역규범
1. 인적이동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2. 지식재산권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3. 상호인증인정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4. 정부조달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5. 경쟁정책
가. 배경
나.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다. 평가
6. 소결
제8장 주요 협력의제
1. 배경
2. 협정문의 주요 내용 분석
가. 협력 분야 및 협력 형태
나. 협력의제별 합의사항
3. 소결
제9장 결론
1. 일본의 기체결 EPA에 대한 평가
2. 일본의 기체결 EPA의 특징과 한·일 FTA의 예상 쟁점
가. 일본의 기체결 EPA 상대와 한국의 비교
나. 한·일 FTA 협상 당시 주요 쟁점
다. 일본의 기체결 EPA의 특징과 한·일 FTA의 예상 쟁점
3. 한·일 FTA의 향후 전망과 추진방향
4. 한국 FTA 정책에의 시사점
가.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FTA 추진
나. FTA 정책과 지역전략의 연계
다. 한국형 FTA 모델 모색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국문요약이 연구는 일본이 체결한 6건의 경제연계협정(EPA)의 협정문 분석에 기초하여 일본의 기체결 EPA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일본이 상품양허 분야에서 자국 농수산물시장의 개방에는 소극적으로 임한 반면, 투자와 지적재산권, 상호인증인정 등의 규범분야에서는 상대국에서 자국기업에 유리한 경영환경을 조성하는 데 많은 공을 들이며 일종의 일본형 EPA 모델을 확립하였다는 점을 밝혀낸다. 그 결과 한·일 FTA 협상이 재개될 경우 예상대로 양국은 농수산품 개방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는 한편, 규범분야에서는 예기치 못한 복병을 만나게 될 전망이다. 그런데 이 분야에서 한국은 일본에 응수할 만한 나름의 모델을 갖추지 못해 자칫 수세에 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EPA 정책은 한국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준다. 한국은 FTA 정책 수립 및 집행시 보다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고, 동아시아 지역 전략과 연계하며, 우리 나름의 FTA 철학과 비전에 기초한 한국형 FTA 모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