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5건 현재페이지 147/290

  • KIEP 20주년 발간자료목록
    KIEP 20주년 발간자료목록

    본자료는 1990년 연구원 설립 이후 지난 20년간 발간된 본원의 모든 연구성과물 관련사항을 총정리한 것으로, 연구진이 수행한「정책연구」,「 지역연구」, Policy Analysis 등의 국∙영문 보고서와「오늘의 세계경제」등 현안자료, 월간「KIE..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0.12.10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 보고서


    - 정기간행물


    - 현안자료

    국문요약
    본자료는 1990년 연구원 설립 이후 지난 20년간 발간된 본원의 모든 연구성과물 관련사항을 총정리한 것으로, 연구진이 수행한「정책연구」,「 지역연구」, Policy Analysis 등의 국∙영문 보고서와「오늘의 세계경제」등 현안자료, 월간「KIEP 세계경제」, 격월간 「OECD FOCUS」, 학술지「대외경제연구」등 정기간행물을 포함한 전체 발간물 리스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 2009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09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09 보고서 요약집

    KIEP 발간일 2010.11.30

    경제발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Policy Analysis/연구보고서/세미나자료모음/중장기통상전략연구/전략지역심층연구/지역연구시리즈/무역투자연구/연구자료/Working Papers/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동북아연구시리즈/SNU-KIEP EU센터 연구시리즈/단행본

    국문요약
    2009 보고서 요약집
  • 2009 보고서 요약집
    2009 보고서 요약집

    2009년도 연구보고서 요약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0.11.30

    경제발전,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연구보고서/중장기 통상전략 연구/전략지역연구/지역연구시리즈/무역투자연구시리즈/연구자료/Working Papers 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동북아연구시리즈/SNU-KIEP EU센터 연구시리즈/ 단행본/대외경제연구 2009년 제1호 (13권 1호, 통권 30호) 대외경제연구 2009년 제2호 (13권 2호, 통권 31호)
    국문요약









    2009년도 연구보고서 요약집
  • EU 로비 제도(European lobbying)의 현황과 사례 연구
    EU 로비 제도(European lobbying)의 현황과 사례 연구

    현재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의회가 위치하고 있는 브뤼셀에는 2만여 명의 로비 관련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EU 로비가 발달하게 된 원인은 유럽통합과정에서 나타난 EU 기관과 이익단체 간의 상호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EU 기관들은 자체인력만으로..

    강유덕 발간일 2010.11.18

    경제통합, 산업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연구의 구성 및 방법


    제2장 EU 로비와 이익단체
    1. 로비의 정의
    가. 로비의 어원과 정의
    나. EU 로비의 분류
    2. EU 이익단체(Euro-groups)의 종류
    가. 생산자이익 관련 단체
    나. 시민이익 관련 단체


    제3장 EU의 정책결정구조
    1. EU 기관(European Institutions)
    가.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나. EU 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각료이사회)
    다.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2. EU 규범의 종류
    가. 규정(regulation)
    나. 지침(directive)
    다. 결정(decision)
    라. 권고(recommendation)와 의견(opinion)
    마. 기타 EU법
    3. EU의 정책결정절차
    가. 협의절차(consultation procedure)
    나. 공동결정절차(co-decision procedure)
    다. 동의절차(assent procedure)
    4. EU 정책결정과정에서 로비의 역할


    제4장 유럽 로비제도의 현황
    1. EU 이익단체들의 현황과 특징
    가. 엘리트적 포럼 위주의 로비
    나. 기업 로비의 발달
    다. 산업단체를 통한 로비
    라. 대유럽의회 로비의 증대
    2. 로비에 대한 규제 추이와 현황
    가. 집행위원회의 규제
    나. 유럽의회의 규제
    다. 로비규제에 대한 비교: 미국 vs. EU


    제5장 EU 기관별 로비분석
    1. 집행위원회
    가. 집행위원회와 EU 로비의 관계
    나. 집행위원회에 대한 로비
    2. 유럽의회
    가. 유럽의회의 업무방식
    나. 유럽의회와 EU 로비
    다. 유럽의회에 대한 로비
    3. 각료이사회
    가. 각료이사회의 업무방식
    나. 각료이사회에 대한 로비
    4. 유럽이사회(European Council)


    제6장 사례연구
    1. REACH(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인증 및 제한)
    가. EU의 화학물질규제와 REACH
    나. REACH와 EU 로비
    다. 로비에 대한 시사점
    2. 자동차 CO2 배기량 규제
    가. 자동차 부문의 규제 현황과 CO2 규제
    나. 자동차업계의 로비
    다. 로비에 대한 시사점
    3. 유전자변형식품(GMO) 규제
    가. GMO의 현황과 GMO 관련규제
    나. GMO 규제의 과정과 로비
    다. 로비에 대한 시사점


    제7장 결론 및 시사점
    1. 성공적인 로비의 방향
    가. 정책결정과 외부영향력
    나. 로비의 방법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가. EU 산업단체의 활동과 한국의 통상정책
    나. EU의 글로벌 규범과 우리나라의 대응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현재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의회가 위치하고 있는 브뤼셀에는 2만여 명의 로비 관련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 EU 로비가 발달하게 된 원인은 유럽통합과정에서 나타난 EU 기관과 이익단체 간의 상호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EU 기관들은 자체인력만으로는 규제입안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시장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외부자문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익단체들은 자신들의 입장전달을 위해 이러한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여 왔다. 본 연구는 EU 기관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EU 로비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소개하고, 로비의 원리와 채널을 분석한다. 또한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EU 기관과 이익단체 간에 전개되었던 상호작용과 쟁점을 파악하고, 향후 한·EU 관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국제무역의 비교우위 패턴 분석과 정책시사점
    국제무역의 비교우위 패턴 분석과 정책시사점

    세계경제위기에 따라 지난해 크게 위축된 세계무역은 2010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s)이 심화됨으로써 향후 세계경제의 지속성장에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무역계에서는 일본, 독일 등 수출..

    최낙균 발간일 2010.11.15

    무역구조,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방법론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비교우위 패턴의 변화추이
    1. 비교우위의 개념
    2. 현시비교우위(RCA)지수
    가. 측정방법
    나. 분석결과
    3. 대칭적 현시비교우위(RSCA)지수
    가. 측정방법
    나. 분석결과
    4. 무역집중도지수
    가. 측정방법
    나. 분석결과
    5. 산업내무역과 비교우위의 변화
    가. 산업내무역과 비교우위 측정방법
    나. 분석결과
    6. 분석결과 요약


    제3장 동태적 비교우위 패턴 분석
    1. 마르코프 전이행렬 분석
    가. 이론적 배경
    나. 분석결과
    2. 한계 산업내무역지수 분석
    가. 이론적 배경
    나. 분석결과
    3. 비교우위 패턴의 고착 및 수렴 여부에 대한 분석
    가. 골토니언(Galtonian) 회귀분석모형
    나. 분석결과
    4.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비교우위의 창출요인 분석
    1. 기존의 실증연구
    2. 기본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가. 기본 모형
    나. 추정방정식
    다. 데이터베이스
    3. 분석결과
    가. 추정결과의 안정성 검증
    나. 주요국별 분석결과
    다. 산업별 추정결과
    4.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한국의 현시된 비교우위 패턴 분석
    1. 분석모형
    2. 분석자료
    3. 인적자본 부존도와 비교우위의 변화
    가. 대세계 무역에 대한 비교우위
    나. 주요 교역대상국에 대한 비교우위
    4.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1. 수출상품의 다변화 및 업그레이드
    가. 수출상품의 다변화와 비교우위제품 발굴
    나. 수출상품의 업그레이드
    2. 산업내무역 및 기술경쟁력의 심화
    가. 산업내무역의 심화
    나. 기술경쟁력 강화
    3. 비교우위 창출요인의 다양화 및 인적자본의 축적
    가. 비교우위 창출요인의 다양화
    나. 인적자본의 축적


    참고문헌


    부록
    1. 비교우위의 창출요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2. 주요국의 무역 추이


    부표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세계경제위기에 따라 지난해 크게 위축된 세계무역은 2010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s)이 심화됨으로써 향후 세계경제의 지속성장에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무역계에서는 일본, 독일 등 수출대국뿐만 아니라 중국 등 신흥경제국들의 무역흑자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와 반대로 미국 등 선진국은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초반 이래 국제무역에서 비교우위가 국별 및 산업별로 어떻게 변해왔으며, 국제비교우위를 창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세계경제위기를 전후하여 비교우위의 패턴이 어떻게 변해왔으며, 그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양한 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비교우위의 창출요인이 무엇인지를 포착하기 위해 생산요소, 기술격차, 지리적 요소 등 다양한 변수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적 분석을 시도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무역구조 및 비교우위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인적자본(human capital)은 산업별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EU, ASEAN, 인도,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 등 주요 10개국에 대하여 다양한 비교우위지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Balassa의 현시비교우위(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지수를 분석해보면 한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의 RCA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산업별로 분석해보면 1992~2009년 기간 중에 한국의 경우 농업, 광업, 기타 제조업 등의 RCA 지수가 하락추세이며 비교열위상태인 것으로 나타난다. 섬유, 화학, 금속산업의 경우 비교우위상태이지만 RCA 지수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기술수준별로 제조업분야의 RCA 지수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경우 고급기술과 중위저급기술 분야의 RCA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국의 경우 중국, 일본, ASEAN, 미국, EU, 멕시코 등은 주로 고급 및 중위 기술수준의 RCA 지수가 상승세인 데 반해,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은 주로 저급기술분야의 RCA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 대조적이다.
    대칭적 현시비교우위(RSCA: Revealed Symmetric Comparative Advantage)지수를 산출해보면, 한국, 중국, ASEAN, 유럽, 브라질, 러시아 등의 경우 비교우위상태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한국의 경우 2006년에 RSCA 지수는 12.6을 기록하였으나 2007년과 2008년에 계속 하락하다가 2009년에 다시 12.0으로 급격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ASEAN의 경우 RSCA 지수가 최근 소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EU의 경우에도 1990년대 후반 이후 2.0~4.2의 수준에서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ASEAN과 EU는 RCA 지수와 더불어 RSCA 지수도 안정적인 점이 특기할 만하다.
    무역집중도지수를 통해 수출이 여러 제품에 분산되어 있는 정도를 측정해보면, 중국, EU 등의 무역집중도는 10 이하로 나타남으로써 무역구조가 여러 제품에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한국, 일본, ASEAN, 인도, 브라질 등의 경우 상대적으로 특정 제품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인도, 멕시코, 러시아 등의 무역집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한국의 산업내무역지수는 1990년대 초반에 32수준이었으며 다소간의 등락을 거듭하기는 하였으나, 최근에는 36~41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우리나라의 무역에서 산업내무역이 아직까지 산업간무역보다 비중은 낮지만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국의 수치를 보면 ASEAN, 미국, EU, 멕시코의 경우 우리보다 크게 높은 반면, 중국, 일본,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은 우리보다 낮은 수준이다. 
  •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 잠재력 및 발전 전망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 잠재력 및 발전 전망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이 주요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국제유가가 2000년대 초반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고, 앞으로도 하락보다는 상승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박영호 발간일 2010.11.09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바이오에너지의 개념 및 특성

    제2장 아프리카의 에너지 수급 현황 및 바이오에너지 개발 의의
    1. 아프리카의 에너지 이용 실태: 전통적 바이오매스에 의존
    2.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의 의의
    가. 에너지원의 다변화: 전력난 해소
    나. 농촌소득 증대
    다. 환경과 보건적 측면

    제3장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 잠재력
    1.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생산 현황 및 여건
    가. 바이오에너지 생산 현황
    나. 바이오에너지 생산여건: 넓은 경작지와 적합한 기후조건
    2.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작물재배 현황
    가. 식용작물
    나. 비식용작물
    3.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생산 전망

    제4장 아프리카 주요국의 바이오에너지 개발정책
    1. 남아공
    2. 나이지리아
    3. 모잠비크
    4. 탄자니아

    제5장 주요국의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산업 진출동향 및 전망
    1. 개요
    2. 주요 국가별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시장 진출동향 및 특징
    가. 유럽
    나. 미국
    다. 중국
    라. 일본

    제6장 맺음말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이 주요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국제유가가 2000년대 초반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고, 앞으로도 하락보다는 상승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대체에너지 개발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여기에 환경문제가 국내 및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면서 친환경 에너지로서 대체에너지 개발이 각광받고 있다.
    대체에너지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태양광, 풍력 등과 함께 석유를 대신할 수 있는 주요 에너지로 바이오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아프리카, 특히 사하라이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 바이오에너지 개발의 가장 큰 의의는 심각한 전력난 해소에 있다.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가장 어두운 대륙으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절대적인 에너지 빈곤상태에 빠져 있다. 아프리카의 전력부족문제는 단순히 산업적 영역을 뛰어넘어 보건, 교육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빈곤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발전소 건설 등 전력공급 확충을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단기간 내에 전력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바이오에너지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하게 되면 기존 전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원의 다변화가 가능하다.
    바이오에너지는 특히 인구의 70% 이상이 살고 있는 농촌지역의 1차 에너지원으로서 전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인구밀도가 낮고 제반 인프라가 극히 열악한 아프리카의 농촌현실을 감안할 때 농촌지역으로까지의 송배전망을 구축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므로 해당 지역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사용하는 바이오에너지 개발이 각광받고 있다.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의 또 다른 의의는 환경과 보건적인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전력사정이 극히 열악하여 5.5억 명의 아프리카 인구가 나무 등과 같은 재래 에너지원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는데, 이에 따라 산림파괴가 예상보다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프리카의 산유국들조차 원시적인 바이오매스 자원에 과다하게 의존하고 있다. 산림파괴와 이에 따른 환경문제는 채취경제에 의존하고 있는 아프리카에 더욱 많은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과다한 바이오매스 이용에 따른 실내공기 오염으로 많은 여성과 아동이 호흡기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바이오에너지 개발은 고유가에 따른 에너지원의 다변화와 환경보호 이외에도 농촌지역의 소득증대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아무래도 농촌지역의 토착에너지원(indigenous energy sources)을 활용하는 것인 만큼 생산, 가공처리, 수송, 교역 등의 과정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농촌지역의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과 연결될 수 있다. 브라질은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에너지의 대량생산과 소비를 통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어나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용창출과 농가소득 향상 등의 성과를 얻고 있다.
    아프리카는 광범위한 유휴 농경지와 풍부한 노동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어느 지역보다 바이오에너지 개발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OECD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아프리카가 전 세계 바이오에너지 작물 재배면적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물론 아프리카의 바이오에너지 산업발전에는 적지 않은 장애요인과 과제가 남아 있다. 남아공을 비롯하여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다른 어느 개도국에 비해 일찍이 바이오에너지 산업에 관심을 보여오고 있지만, 나머지 많은 국가의 경우에는 정부차원의 전략적이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찾아보기 어렵다. 브라질이 바이오에너지 개발의 선두주자를 유지하고 있는 배경에는 기술 및 경험 축적, 상용화의 성공 및 넓은 소비시장도 있지만, 이에 앞서 체계적이고 중장기적인 바이오에너지 산업 육성정책이 자리하고 있다.
    열악한 인프라도 커다란 걸림돌이다. 아프리카의 열악한 도로사정으로 인해 지역 간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운송비용이 매우 비싸다. 더욱이 바이오에너지의 수출은 더욱 어렵다. 높은 수송비용 때문에 바이오에너지 생산업자들은 수지타산을 맞추기 어렵다. 열악한 인프라 사정은 다른 개도국에서도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아프리카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예컨대 일본에서 코티디부아르까지 자동차 한 대를 배로 운송하는 비용은 1,500달러인 반면에, 이를 코티디부아르에서 에티오피아까지 운송하는 비용은 무려 5,000달러를 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야자유를 싣고 인도네시아에서 케냐 몸바사 항구까지 가는 수송비는 톤당 40달러라고 한다. 그러나 몸바사에서 육로를 통해 우간다 수도 캄팔라까지는 톤당 100달러가 넘게 든다고 한다. 거리로 보면 1/6에 불과하지만 비용은 2배 이상 소요되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내륙국가에서는 수출상품을 연안지역으로까지 실어나르는 데 수반되는 운송비용이 수출가격의 무려 3/4에 해당할 정도이다. 그리고 내륙지역에서 어렵게 항구까지 상품을 운송한다고 해도 이를 선적할 항구 또한 크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극히 열악한 아프리카 역내 인프라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는 것으로, 아프리카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그만큼 취약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높은 농지비용과 인건비 등으로 인해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을 해외에서 저렴하게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아프리카 진출에는 이와 같은 현지사정과 물류상의 난점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개발협력(ODA) 측면에서 바이오에너지 개발이 비중 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데 관련 산업의 동반진출협력을 고려해볼 수 있다. 예컨대 IT 협력진출(특히 농촌지역)에 있어 현실적으로 부딪치는 문제 중 하나는 통신기지국 설치, 운영, 충전 등을 위한 전력시설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인데, 이때 바이오에너지 개발협력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GSMA(GSM Association), MTN, 에릭슨 등 외국 통신기업들은 무선통신 기지국을 위한 전력을 조달하기 위해 바이오연료를 이용하고 있는데, 기지국 현지에서 생산 중인 팜유, 자트로파 등 바이오연료를 활용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아프리카 바이오에너지 개발은 농업부문에 미칠 영향, 특히 식량문제를 고려해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바이오에너지 개발은 식량문제와 상충관계에 있으므로 식용작물 재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사탕수수, 곡물 등과 같은 식용작물(1세대 바이오에너지 원료)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은 식량안보와 관련되는 문제로 광범위한 사용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비식용 바이오매스(2세대 바이오에너지 원료)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바이오 작물이 바로 자트로파(Jatropha)이다. 자트로파는 열대 야생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비식용작물로 황무지에서 잘 자라며 바이오디젤 원료로서의 매력이 크다. 자트로파는 아프리카의 자연여건상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오일함량이 많은 관계로 차세대 바이오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더욱이 간단한 기계로 농가에서 직접 오일을 짜낼 수 있는 이점도 가지고 있어 향후 아프리카에서 생산 붐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바이오에너지 개발은 농경지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으나, 아프리카의 광활한 유휴 토지를 감안한다면 이 같은 우려는 불식될 수 있을 것이다.
  • 2009 CRES Visiting Scholar’s Paper Series
    2009 CRES Visiting Scholar’s Paper Series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989년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발족한 이래 우리나라의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해 왔으며 세계유수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계지역연구센터는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방문..

    Heungchong Kim ed. 발간일 2010.11.05

    경제통합,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Acknowledgement

    Contributors

    1.Comparative Study on Changing Pattern of IndustrialStructure Between China and Korea

    2.Effects of Structural Change and Income Distribution on Employment: Experience of India and Korea

    3.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vestment and SocialObjectives: An Examination on Social Welfare Investment of Chinese State Owned Enterprises

    4.Genesis, Evolution, and the Changing Role of SEZs in Asia:A Comparative Analysis of Taiwan, Korea and India

    5.Enhancing the Rural Development Policy Space: Will theSaemaul Movement be Adaptable to Africa?

    6.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nd Baikal Region in Russia for the Periodtill 2025

    7. General directions of Integration Processes Extension of theRepublic of Uzbekistan into International EconomicalSystem

    8.Vietnam-Korea Trade: Complementarity, Competitivenessand Implications for Further Trade Expansion

    9. Asia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fter the Global Crisis:Challenges and China’s Response
    국문요약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989년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발족한 이래 우리나라의 세계지역연구를 선도해 왔으며 세계유수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계지역연구센터는 국내외의 연구자간 교류를 활성화하고 지역연구역량을 강화하고자 방문학자 프로그램을 2008년도부터 시행해 오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 각국의 유수한 학자와 지역연구 전문가를 초청하여 연구성과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협력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CRES Visiting Scholar’s Paper Series’는 이 프로그램의 하나의 성과물로서 이를 통하여 지역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합니다.
  •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논의 동향 및 쟁점 분석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 논의 동향 및 쟁점 분석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선진국들은 기후변화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삼고 있는 반면, 개도국들에게 기후변화는 빈곤해소만큼이나 큰 도전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할 때, 개도국에 대한 특별한 고려는..

    정지원 외 발간일 2010.10.15

    경제개발,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기후변화와 개발의 연관성
    1. 기후변화가 개발에 미치는 영향
    가. 개도국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나. 기후변화와 개발목표 달성의 관계
    2.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비용
    가. 기후변화 영향에 적응하는 비용
    나. 기후변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비용

    제3장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 현황 및 논의 동향
    1. 국제사회의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현황
    가. 국제기구의 지원 현황
    나. 주요국의 개도국 지원 이니셔티브
    다. 일본의 'Cool Earth Partnership'
    2.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관한 논의 동향
    가. 유엔 기후변화 협상 동향
    나. 주요 정상회의
    다. OECD 개발원조위원회

    제4장 주요 쟁점 및 시사점
    1. 유엔 협약의 개도국 지원과 기후변화 ODA
    가. 기후변화 ODA의 역할
    나. 원조 전환
    다. 통계 보고와 거버넌스
    2. 우리나라의 개도국 지원 현황 및 과제
    가. 지원 현황
    나. 시사점

    제5장 결 론
    국문요약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선진국들은 기후변화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삼고 있는 반면, 개도국들에게 기후변화는 빈곤해소만큼이나 큰 도전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에 대처할 때, 개도국에 대한 특별한 고려는 이미 1992년 유엔 기후변화협약이 도입될 당시부터 있었으나, 최근 유엔 기후변화협상에서 재원 이슈가 부각되면서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개발협력사회는 2015년까지 MDG를 중심으로 한 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기후변화와 개발의 통합적인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개도국의 개발경로와 성과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은 다시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개발의 문제는 독립적으로 다루기보다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그 관계성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는 「기후변화의 개발에 통합」이라는 지침서를 발표하고, 개발 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함은 물론 더 나아가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발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개발의 문제를 개도국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해보고자,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 동향을 정리하고 주요 쟁점들을 분석한다. 기후변화와 개발의 상호 인과관계에 따라 선진국의 개도국 지원은 역사적 책임에 따른 부담(기후 재원)과 전 세계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의 고려(기후 ODA)의 두 가지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재원과 기후 ODA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역할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둔다.
    우리나라는 2008년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동아시아 기후 파트너십’을 추진하기로 밝힌 바 있다. 또한 녹색성장 전략을 통해 2020년까지 녹색 ODA의 비중을 30%까지 확대할 것이라는 목표를 수립한 상태이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환경 ODA와 기후변화 재원을 둘러싼 원조 전환 문제, 대개도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에 대한 통계보고, 다양한 재정 메커니즘 거버넌스 등의 쟁점들을 정리하고 향후 녹색 ODA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Democracy and Trade Policy: The Role of Interest Groups
    Democracy and Trade Policy: The Role of Interest Groups

    민주화가 진전됨에 따라 다양한 이익집단들이 정부의 무역자유화 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다양한 이익집단의 증가와 무역 정책에 대한 그들의 참여가 궁극적으로 정부의 무역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

    이경희 발간일 2010.10.13

    무역정책, 정치경제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Democracy, Interest Groups, and Trade Policy
    1. Level of Participation by Interest Groups
    2. Coalition Patterns and Competing Structure of Interest Groups
    3. Influence of Interest Groups


    III. Models and Data
    1. Theoretical Model: Grossman-Helpman Model (1994)
    2. Empirical Model and Estimation Techniques
    3. Time-Periods and Data


    IV. Empirical Results
    1. Consistency Check
    2. Hypotheses Test
    3. Sensitivity Analysis


    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민주화가 진전됨에 따라 다양한 이익집단들이 정부의 무역자유화 정책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민주화 이후 다양한 이익집단의 증가와 무역 정책에 대한 그들의 참여가 궁극적으로 정부의 무역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한다. Grossman and Helpman (1994)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익집단의 증가가 보호무역을 초래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무역정책에 대한 다양한 이익집단의 참여는 오히려 무역자유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소수의 특정 이익집단이 정부로부터 보호를 요구할 때는 이 이익집단의 영향력이 강하게 반영되지만 다수의 이익집단이 동시에 무역정책에 영향을 미칠 때는 이익집단의 요구가 서로 상쇄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민주주의 체제하에서 이익집단에 대한 ‘개방주의 (openness)’와 ‘다원주의(pluralism)’ 정책이 궁극적으로 무역자유화 정책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 East Asian Financial and Monetary Cooperation and Its Prospect: Beyond the CMI
    East Asian Financial and Monetary Cooperation and Its Prospect: Beyond the CMI

    본 논문은 ASEAN+3 체제의 지역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와 아시아채권시장 발전방안(Asian Bond Market Initiative),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활발해진 역내 단일통화에 대..

    박영준 발간일 2010.10.13

    경제협력, 금융통합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East Asia’s Financial Cooperation
    1. East Asia’s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s
    2.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III.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in East Asia
    1. ASEAN+3 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
    2. AMRO as a New Regional Surveillance Unit 21

    IV. Way Forward for Effective ASEAN+3 Surveillance
    1. Systemic Risk and Regional Surveillance
    2. Looking Beyond the Current ASEAN+3 ERPD

    V. The Idea of an Asian Monetary Fund
    1. CMIM as a Precursor to Asian Monetary Fund
    2. East Asia vs. Euro-Zone

    VI. Asian Currency Competition and Movement Toward a Regional Currency

    V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논문은 ASEAN+3 체제의 지역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와 아시아채권시장 발전방안(Asian Bond Market Initiative),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활발해진 역내 단일통화에 대한 논의에 대해 살펴본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가 보다 실효성있는 지역 금융 안전망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역내 경제 감시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신설 예정인 경제조사국(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의 감시기능은 더욱 강화 되어야 하며, 현재 운영 중인 ASEAN+3 경제동향 점검 및 정책대화(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이와 함께 본고에서는 조정국(Board of Coordination)을 별도로 설치하여 ASEAN+3 경제동향 점검 및 정책대화의 정책 권고안에 대한 회원국의 이의신청이나 법률적 자문 등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현행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가 아시아통화기금과 같은 지역통화협력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CMIM 사무국의 설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